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전 사실 에어팟 구매자들이 부러운 것이

에어팟류 매출에 큰 이바지를 한 구매자는 음향 매니아들이 아니라 평소에 관심도 없는 사람들일 것인데 성큼 20~30만돈을 지불했다는 점이고 그들의 구매력이 참 부럽다는 것이죵.

 

사실 전 과거 에어팟류가 실패할거라 본 이유로 디자인 같은게 아니라 배터리 때문에 꾸준히 교체 해야되는데 20만 가까이하는 금액을 2-3년마다 지불해야 하니 이게 성공하긴 어렵겠다고 판단했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질 않더란 겁니다.

 

전 에어팟, 에어팟 프로 모두 써보고 이 가격에 쓰고 싶진 않다고 결정 내려서 모두 환불 해버렸기에 더더욱이요.

 

물론 당사자들이 모르고 불나방이 된 것인지 아니면 앞으로도 꾸준히 지불할 각오를 한 것인진 모르겠지만....

 

 

그런 의미에서 코드리스계의 혁신은 에어팟이 아니라 QCY-T1이라 생각하고 마무리를 합니다..

댓글
41
1등 방구석트수
2019.12.26. 13:09

만족감을

주는가 못주는 가의 문제죠

 

가격은 솔직히 2, 3년 수준에

그정도면 감안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일시불로 결제했을 때

크게 부담되는 가격도 아니고

 

20, 30만 원을

3년 할부한다고 치면 되거든요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3:10

전 20만원 주고 산 이어폰도 5년째 만족하고 쓰고 있어서 좀 그렇습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3:23

그런 사람들도 있겠죠 ㅇㅇ

모두가 다 똑같을 수는 없으니까

 

다만 블투 이어폰은 예전부터

엄청 큰 시장이었고

현재에도 성장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그런 시장에

애플 팬덤의 엄청난 구매력과

좋은 제품을 가지고 진입했는데

망하는 게 오히려 이상한 거죠...;;;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3:38

음 말씀하신건 결과론적이라 생각됩니다.

 

먼저 좋은 제품이래도 가격이 비싸면 선뜻 손이 안가는게 일반적이고 에어팟 류의 매출에 기여한 사람이 애플 팬덤이라고만은 볼 순 없을테니까요. 차라리 구매자 모두가 팬덤이었다라고 한다면 납득하기가 쉬웠을 겁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3:45

결과론적이 아닙니다. 

애플의 고가 정책 이후에도 아이폰은 잘 팔렸고

에어팟은 결국 애플의 제품이기에 

애플을 쓰는 사람들이 주류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죠

 

참고로 저는 처음 봤을 때부터

잘 나갈거라고 예상했습니다.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3:49

국내에서야 애플 제품 위주로 쓰면 애플 팬덤으로 말하는 분위기지만 해외까지 감안하면 애플 유져 = 애플 '팬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하기에 적절한 단어 선택은 아닌거 같습니다. 다만 기존의 애플 사용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라고 말씀하고 싶은 거라면 동의합니다 :)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4:00

아이폰을 쓰는 순간부터 팬덤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애플은 결국 마케팅으로 승부를 해왔고 애플 제품을 구매를 한다는 행위는 그 마케팅에 넘어갔다는 거니까요.

 

다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팬덤이 구매를 했다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없지만 대부분은 구매를 했다고는 할 수 있죠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4:16

으음 말씀하시는 대로면 윈도우 PC를 쓰는 유져들 대부분은 MS 팬덤일까요?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일단 네이버 사전에서는 팬덤의 뜻을 아래와 같이 적어놓았습니다

 

'가수, 배우, 운동선수 따위의 유명인이나 특정 분야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사람이나 그 무리.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사전과 실생활 용례간의 괴리가 있을 순 있지만 이번 경우는 대체로 큰 차이 없다고 생각하기에 팬덤이라는 말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4:27

윈도우는 다른 대안이 없고 공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오히려 윈도우보다는 리눅스와 비교하는 게 더 합리적입니다.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도 브랜드가 아닌 가격이 중심인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하지만 아이폰은 대체제가 있고 가격이 아닌 브랜드가 중심입니다.

 

그리고 워치를 보세요 워치 또한 점유율로만 보면 에어팟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게다가 그 팬덤이라는 걸 넓게 보면 선호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죠 그리고 그 사람들에게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죠^^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4:40

제가 말씀드린 비유는 '사용자 = 팬덤' 이 아니기 때문에 그럼 대다수의 윈도우 사용자도 팬덤이라고 말씀하실건가 싶어 관련 비유를 들었습니다. 더불어 아이폰 시장에서 윈도우와 비슷한 상황에 처해진 일본도 있습니다. 일본은 스마트폰 = 사실상 아이폰 급의 점유율이니 말이죠. 그럼 일본 사람들은 대부분 아이폰 팬덤일까요? 전 아니라고 봅니다. 이게 이해하기 어려우시다면 갤럭시로 바꿔서 말씀드리면 될까요? 그럼 갤럭시 사용자 = 갤럭시 팬덤이라고 하실 생각이신지 의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용례라고 생각합니다.

 

단어에 대해 나름대로의 해석과 견해를 가지시는 것은 존중합니다만 적어도 토론의 장에서는 과한 해석을 담아 말씀하시는 것은 혼란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4:56

금과 은을 비교할 수는 있지만 금과 다이아몬드를 비교하지 않잖아요. 제가 말하는 건 조건이 완전히 다르니 비교 자체가 불가능 하다는 겁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이야기를 제가 꺼냈죠.

 

일본 같은 경우는 저도 할 말이 없는데 모든 나라가 일본과 같은 건 아니죠 일본이 특수한 겁니다.

 

텍스트로 말을 하고 있어서 제가 편의상 설명을 많이 줄였는데 애플 사용자는 2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생태계를 쓰고 싶어서 쓰는 사람 멋있어 보이고 싶어서 쓰는 사람이요. 다 브랜드가 기준인 사람들입니다. 이건 팬덤이라고 밖에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진성인가 아닌가의 문제지

 

그리고 제가 양보해서 후자가 팬덤이 아니라고 해도 에어팟과 애플 워치는 이제 아이폰과 같은 하나의 사치품입니다. 진성이든 아니든 구매를 하게 된다는 거죠. 그 증거가 바로 애플워치와 에어팟이 각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입니다.

 

애플워치가 생태계를 신경 쓰는 사람들만 쓴다면 지금과 같은 시장의 성장과 크기가 나올 수가 없겠죠.

 

즉 서로 비슷하기에 에어팟 사용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아이폰 유저라고 하는 것입니다.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5:44

먼저 마지막에 적으신  에어팟 사용자 = 대부분 아이폰 유져 일것 이 부분에 대해선 다른 분들도 비슷한 견해일거라 생각하니 다른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다만 제가 꾸준히 드리고자 하는 말은 팬덤이라는 단어의 사용 용례가 적절하지 않음을 알리고 싶어서 관련 예시들은 의도적으로 알아 듣기 쉽게 극단적인 예를들었을 뿐입니다. 그걸 금과 다이아몬드의 비교를 하고 있다고 지적 하시는군요. 

 

그럼 전 애플제품이 고작 다이아몬드마냥 단순한 사치품이기만 한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하면 될까요? 이런 지적도 사실 진흙탕 싸움이 되므로 되도록 피하고자 했지만 비유에서 이미 사치품일뿐이라느 사고방식이 확고하신거 같아서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네요.

 

말씀하신 애플 사용자의 2가지 분류는' 애플 팬덤의 두 분류'라면 모를까 '애플 사용자의 두 분류'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현재 AP성능 때문에 아이폰 쓰는 사람은 어떻게 분류하실 생각이신가요? 안드로이드 AP성능이 좋으면 얼마든지 안드로이드로 떠날 유져들일텐데요.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6:03

제가 특정 단어를 이야기 하면 거기에만 꽃히시네요...;;;

 

일단 저의 말은 100% 모두가 다 그렇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 외의 사람들도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영향을 주지 않는 소수니 없다 치는 거죠.

 

실제로 성능 때문에 아이폰 산다는 사람들 인터넷에서도 몇 없잖아요.

 

그리고 에어팟과 워치가 사치품이 됐다는 것이지

이게 이어폰이나 워치가 아니다라는 것이 아니잖아요...ㅡㅡ

진짜 좋은 코드리스 이어폰을 원하는 사람들 있겠지만

사치품으로서 사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겁니다. 

 

반박을 할 거면

에어팟을 구매한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저 매출에 영향을 줄 정도다라고 반박을 하시거나

애플 워치와 에어팟의 점유율은 상관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셔야죠. 

 

마지막으로 극단적인 비교라고 하시는데

조건 자체가 성립이 되지 않기에 비교가 아예 불가능합니다.

극단적인 예시라는 것도 결국 조건과 상황이 같아야 하는데

아이폰과 윈도우는 완전히 달라요 그래서 제가 리눅스가 비교하기에 더 좋다고 한거죠.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6:59

'아이폰을 쓰는 순간부터 팬덤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다 브랜드가 기준인 사람들입니다. 이건 팬덤이라고 밖에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진성인가 아닌가의 문제지'

 

대체 이걸 누가 100% 모두가 그런게 아니라고 이해할까요. 

제가 처음부터 지적하던게 저런 극단적인 말씀은 좀 자중해달라는 겁니다. 

 

처음엔 몰라도 가면갈수록 팬덤이라는 단어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걸 여러번 드러내셨어요.

 

하도 어이가 없어 일단 이것부터 짚고 넘어가야 할것 같아 저 또한 일부러 극단적인 예시를 세번이나 들어서 말씀드렸더니 의도는 읽지 않고 그 단어에 집착하시고 팬덤이라는 뜻을 멋대로 정의하여 강요하신건 본인 아니신가요? 그래서 금과 다이아몬드 예시도 똑같은 방식으로 지적해드렸던거 뿐입니다. 기분 참 묘하실텐데 제가 느끼는 기분이 딱 그거에요. 원래는 금 다이아몬드 지적도 별로 하고 싶진 않았지만 사치품이라는 이야기도 극단적으로 말씀하시길래 어쩔 수 없이 한겁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7:32

지금 텍스트로 대화하고 글이 길어지다보니까 글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 썼는데

 

제가 저렇게 표현한 이유가 10000 중에 1, 2명 AP 때문에 쓴다고 칩시다. 그걸 가지고 보통 AP 때문에 쓴다고 하지 않죠 아주 적은 소수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타로 분류하거나 표현 자체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 2가지 분류의 사람들은 아이폰만 거의 씁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을 오고가는 경우는 별로 없죠. 그렇기에 팬덤으로 분류를 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사치품이라는 게 왜 극단적인지 모르겠네요? 저는 '아이폰처럼 하나의 사치품이 됐고 그렇기에 진성이든 아닌든 구매를 하게 되는 제품이다.'라고 표현을 했습니다. 생태계나 코드리스에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도 이게 사치품이 되서 구매를 한다는 건데 이게 왜 극단적인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7:58

팬덤이 아이폰을 계속 쓰는 건 맞지만 그 역은 반드시 성립하지 않습니다. 

 

갤럭시로 예를 들면 삼성페이 때문에 갤럭시를 꾸준히 살 순 있어도 그 사람들을 반드시 갤럭시 팬덤이라고 정의하는 사람은 없다는 겁니다. AP 예시는 어디까지나 꾸준한 사용자 = 팬덤이 아닌 사람도 있음을 말씀 드리는 것 뿐입니다. 지금 AP 성능으로 몇년째 탑을 달리니까 그걸 고집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 사람도 팬덤이라 하실 생각이신가요.

 

일본의 예를 무시하더라도 미국을 보세요. 대략 50%의 점유율로 알고 있는데 이 사람들이 그럼 다 팬덤이며 사치품이라 구매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러니 극단적인 표현이라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차라리 국내 소니 스마트폰 점유율을 두고 그 구매자 대부분 소니 팬덤일거라고 추측하는게 설득력이 있을 겁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8:18

그러니까 팬덤 아닌 사람들 자체가 적으니까 저는 언급을 하지 않는 겁니다. 만약 그런 사람들의 비율이 10~20%만 되도 제가 틀렸다고 하겠는데 아니니까요. 

 

그리고 삼성페이 쓰고 만족해서 계속 갤럭시를 쓰는 사람이라면 저는 충분히 갤럭시 팬이라고 정의해도 된다고 봅니다. 갤럭시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고 그 소프트웨어에 만족하고 좋아한다는 거니까요. 갤럭시 팬이라고 갤럭시의 모든 것을 좋아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죠.

 

미국 애플 사용자 대부분이 생태계 구축이나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사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좀 확실하지는 않은데 미국 10대 통계 보면 아이폰을 선호하는 이유 1위가 트렌디하게 보여서 원한다는 거였거든요.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26. 19:45

제발 팬덤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머리속에 염두에 두시고 말씀을 부탁드립니다. 비슷하게 쓰는 경우도 있지만 지금 토론에서 팬덤 = 팬 동일시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부정적 뉘앙스가 꽤 큰 단어이기도 하고요. 제가 괜히 사전까지 찾아보고 제시해드린 것이 아닙니다. 

 

설령 팬으로 기준 잡는다해도 본인이 팬의 기준을 어떻게 생각하거나 말거나 갤럭시를 만족하고 쓴다 = 팬 이라는 공식 또한 절대조건이 아닙니다. 그런 사람이 없다는게 아닙니다 절대적인 공식이 아니라는 거에요. 다른 예로 특정 가수 음악 꾸준히 듣고 구매한다하여 그것을 꾸준한 구매층이라고 결론 내리는 건 맞지만 꾸준한 구매층 = 팬이라 결정 짓는건 쉬운일이 아니죠. 팬의 기준을 본인이 어떻게 삼든 상관은 없지만 그걸 타인의 설득을 위한 근거로 쓰진 말아주세요. 

 

그리고 말씀하신 통계도 10대 기준일 뿐더러 1위라해도 그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도 알기 어렵잖아요. 그런 상황에서 뭐든 확언해서 말씀하시는게 더 이해가 안된다 그겁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트수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23:43

여기서 제가 말하는 팬덤이 어떤 의미를 말하는지 아실텐데 왜 지적을 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저는 그 팬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확히 설명했죠 그걸 납득하지 못한다면 저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어차피 의미는 전달이 됐고 표현의 차이에 갈등이 있는 거니까요. 그리고 제가 제시한 특정 주체를 좋아하고 계속 소비하는 소비자를 팬이라고 단정 지어도 된다고 봅니다. 보편적인 생각일 테고요.

 

그 10대라고 해도 자료가 있다는 것이죠 뭐 못 찾을 것도 아니고 제가 찾아주고 싶은데 텍스트로 하다보니 이야기가 너무 길어져서 귀찮네요....ㅡㅡ 뭐 의미는 전달한 거 같고 저도 이 이상은 피곤하니 여기서 끝내려고 합니다.

 

좋은 연말 보내세요^^

[방구석트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방구석트수 님께
2019.12.30. 17:10

계속 소비하는 소비자 = 팬은 보편적인 생각이 아닙니다. 왜 그걸 보편적이라고 하시는지 모르겠군요

사전적 정의는 그대로 싹 씹어드시고 자신의 마음대로 기준을 재단하고 그 기준도 오락가락 하시는 분께서 강요하듯이 주장하셔놓고선 할만큼 했다고 하시네요. 그리고 자료 찾아오실 생각 없으시면 확언하듯이 주장하는 버릇은 좀 고쳐주세요. 귀찮다는 분께서 저랑 댓글 길게 다는건 안 귀찮으시고요?

 

누군들 좋아서 말 가려서 하는줄 아십니까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2등 서린
2019.12.26. 13:10

어차피 모든 전자기기는 소모품이고 교체주기는 보통 2~3년이 적당합니다.

그리고 애플은 적어도 3년 단위로는 기존 유저들에게 기변욕구를 샘솟게 할 매력적인 신제품을 뽑아낼 능력이 있는 회사구요.

에어팟 1세대 초기 구매자의 배터리 수명이 다 깎여나가기 전에 에어팟 2세대 구매자도 구매를 고려할 만큼 매력적인 에어팟 프로를 만든 것만 봐도...

 

무엇보다도 한 번 사서 오래 쓰는 사람들은 애초에 애플의 고객이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가성비가 망이기 때문).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서린 님께
2019.12.26. 13:15

일단 첫줄은 크게 동의하진 않는 편입니다. 전 오히려 제조사들이 그렇게 되도록 부추기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이 마저도 점점 주기가 길어질 것이 뻔하니까요.

 

어쨌거나 보통 스마트폰 기준으로 2-3년이라 잡는데 그 2-3년때마다 20-30만원 추가 금이 들어간다는데 부담감이 전혀 없는건가? 하는 의문이 많이 들곤 합니다. 물론 전 전자기기 매니아니까 막 지르지만 아닌 사람들의 관점은 참 흥미롭긴 하군요.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서린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3:22

데스크탑처럼 쿨링시스템이 잘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명을 더 길게 잡아도 되지만, 스마트폰 정도 사이즈에서는 사실 열에 취약한 전자기기의 특성상 2~3년 이후에는 모든 부분에서 제성능이 안나온다고 봐야 합니다. 음향기기도 마찬가지로, ANC기능 역시 마이크와 드라이버의 노후화로 밸런스가 틀어져서 ANC도 점점 잘 안 되게 됩니다. 제성능이 안 나오는 기기는 수명이 다했다고 봐야죠. 물론 3년 정도 지나면 배터리 상태도 엉망진창이 되구요.

 

뭐 그런 얘기와 별개로 말씀대로 현대사회는 소비를 부추기는(혹은 할 수밖에 없는)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고 있죠. 그렇게 해야 경제가 돌고 성장하니까요. 소비가 둔화되면 단박에 불황을 맞게 됩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불편함이 없거나, 특별한 개선점이 없으면 지갑을 잘 안 여는 것도 맞습니다. 그래서 제조사들은 항상 그놈의 '혁신'에 목을 매는 거고, 애플은 지금 그걸 가장 잘 하고 있는 회사 중 하나입니다. 기술적으로 혁신적이고 말고는 별로 중요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얼마나 어필을 잘 하는가가 중요한데 애플이 그걸 참 잘해요.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서린 님께
2019.12.26. 13:34

제성능의 기준도 결국 매니악한 관점이라 봅니다. 대부분은 스마트폰으로 하는 일이 생각보다 많지 않고 성능을 요구하는 일을 하지 않으며 그나마 신경 쓰는게 배터리일텐데 이것도 충전 인프라가 워낙 잘 갖춰지고 바로바로 충전하는 습관이 갖춰지니까 생각외로 신경을 잘 안쓰는 분위기더군요. 전자기기 커뮤니티를 눈팅해보면 출시한지 4년이 지난 아이폰 6s에서 바꿀 생각 안하는 사람들도 꽤 많아 보이는데 커뮤니티 외부에선 어떤 상황일지 뻔하겠지요.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폴드를쓰는겁니다 이타카노 님께
2019.12.26. 14:08

충전인프라와 무관하게 배터리 수명은 기껏해야 2~3년이 맞습니다. 이건 사용 패턴의 문제와 무관하게 그냥 배터리 자체의 수명의 문제지요.

[갤폴드를쓰는겁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갤폴드를쓰는겁니다 님께
2019.12.26. 14:10

수명이 다되서 아예 못 쓸 지경이 되거나 배가 불러오지 않는 이상은 신경쓰지 않더란 이야기지요.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범죄자호날두 님께
2019.12.26. 13:44

가격이 비싼 코드리스 제품들 중에선 배터리 수명 외 일반적인 AS문제까지 생각하면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잘 갖춰져있고 애케플까지 있는 애플 제품이 낫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늘
하늘
2019.12.26. 13:11

저에게 있어서 뭔가 이어폰/헤드폰은 녹변안생기고 단선안되고

10년이상 소장하면서 듣는 그런 카테고리의 제품이었는데

이게.. 코드리스 시장으로 되면서 스마트폰처럼 교체주기가 생기는 소모품이 되어버려서

개인적으로 너무 아쉽네요 ㅠㅠ

물론 이게 현재의 시장 트렌드니 너무 배척하진 말고 적절히 따라야겠지만요

[하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하늘 님께
2019.12.26. 13:25

유선 이어폰/헤드폰의 수명도 사실 유닛보단 단선 떄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선만 교체해서 연명할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코드리스는 배터리만 교체해서 연명할 수가 없다는 점은 아쉽습니다. 이 마저도 유선 제품은 조심하면 오래쓰는데 코드리스는 내가 조심한다고 어찌 될것은 아니니...

 

여튼 음질 문제 아니더라도 전 유선을 완전 대체할 수 없는 입장인데... 스마트폰들은 유선 리시버 사용을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시아초
2019.12.26. 13:41

모두가 글쓴이 분 처럼 합리적인 소비를 하진 않습니다

구매력같은거 부러워 하실 필요 없어요 ㅎㅎ

[시아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시아초 님께
2019.12.26. 13:52

일단 전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ㅠㅠ 별 필요하지도 않는데 전자기기에 날려먹은 돈이 얼마인지 모르겠군요.

그 때문에 받는 시선도 장난아니었던지라 더 의문인 것도 있습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2019.12.26. 13:48

2~3년마다 30만원정도 매일 사용하는 물건에 투자하는게 극히 일반적인 가정집에서도 어려운 일은 아니죠.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MrHS 님께
2019.12.26. 14:17

어지간한 전자기기들 몇년 쓰는것도 20-30만 주고 샀다 그러면 시선이 장난 아닐거라 생각합니다만은

뭐 여튼 에어팟류 산 사람들에겐 저보고 낭비한다고 뭐라하지 말라 그럽니다 ㅋㅋㅋ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막귀
막귀
2019.12.26. 15:53

저도 코드리스는 소모품이란 느낌이 강해서 30만원 이렇게 주고 사기가 뭐하네요. se535ltd같은건 유닛만 박살 안내면 케이블만 교체해주면 계속 쓸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맘먹고 지를수가있었는데,,한두푼짜리도 아닌데 센터에서 배터리 교체해줄수는 없는건지 모르겠네요. 

 

근데 se535ltd처럼 이뻤으면 질렀을수도

[막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막귀 님께
2019.12.26. 17:21

그 탓에 주변에 QCY같은 제품은 과감히 추천해도  고가제품들은 조심스럽게 추천하고있고 저 또한 조심스러워 집니다. 배터리 교체 서비스 비용만 어찌 해결되면 좋을거 같네요.

 

그나저나 저도 디자인 때문에 사고싶었던 제품은 아직 없었습니다.. OTL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럼펌펌
럼펌펌
2019.12.26. 22:33

저도 프로는 뽐뿌가 와서 힘들지만.. 갠적으로 에어팟이나 버즈처럼 10만 중반대라면 충분한거같아요. 제가 첨 코드리스를 쓰게 된건 어쩔 수 없어서였지만 지금은 줄이 거치적거릴 일이 없으니 통학하는 대학생 입장에선 정말 좋네요.. 대신 분실 위험이랑 케이스 등등에 들어가는 지출이, 막말로 샤오미 가성비 이어폰 하나 값이라서 좀 지출이 커진단 느낌은 들어요.

[럼펌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럼펌펌 님께
2019.12.30. 17:25

통학하시는 분이면 노캔이 참 땡기시겠네요. 전자기기에 조금 신경쓰겠다는 사람들이라면 10만원 초~중반도 괜찮다곤 생각하는데 그냥 음감되는 수준이면 그 이하도 괜찮은게 많다고 생각해서 주변에서 물어오면 용도를 확실하게 물어보고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베르바
베르바
2019.12.27. 12:47

애플케어먹이고 4년쓸예정인데 상당히 긴시간이네요 ㄷㄷ 비싼감도 있지만  이정도면 가격이 괜찮다고 느껴지네요 . 이거만큼 마음에드는 이어폰도 없고 4년후면 더좋은게 나올텐데 휴대폰도 사서4년 쓰기 어렵자나요?

[베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이타카노 베르바 님께
2019.12.30. 17:05

애플이 애플케어 플러스가 있어서 좀 낫긴 합니다만 그래도 보험비+리퍼 1회비용 합해서 10만원 추가금이 나온다는 건 잘 언급을 안하시는거 같습니다. 스마트폰 4년 쓰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것도 점점 예전 이야기가 되어간다는건 위에 다른 분들과의 댓글로도 충분히 설명드렸다고 봅니다. 

[이타카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42 13
핫글 미니 아침부터 개든든.jpg [8] updatefile 품귀문란 08:24 1179 17
핫글 미니 AS는 삼성임을 오늘도 다시 한 번 새깁니다 [4] [성공]함께크는성장 17:52 649 14
핫글 미니 폴드 슬림은 보급형이 아닌 고급형이 맞습니다. [23] 흡혈귀왕 11:29 1197 14
42054 미니 에어핏 프로가 일반모드가 안되는데 이거 왜 그런걸까요 [7] 헤엄치는고래 20.01.12 255 0
42053 미니 개인적으로는 몽구스옹 빨대가 S.LSI쪽 아니었나 싶은... [2] T1Canna 20.01.12 473 0
42052 미니 그램17인치가 가벼운 이유 [28] file 노틀담의꼽추 20.01.12 1921 2
42051 미니 Fold 아닌 Flip [13] file 슈갤럼 20.01.12 766 0
42050 미니 갤럭시 배터리도 추우면 급락하는건 똑같네요 [3] 폴리니 20.01.12 618 0
42049 미니 몽구스옹 미코도 보네요?? [8] 하렌쿠우 20.01.12 590 0
42048 미니 원플러스8프로 긱벤치4 [3] file 범죄자호날두 20.01.12 348 0
42047 미니 아이폰도 번인엔 장사없네요.. [6] 노틀담의꼽추 20.01.12 854 0
42046 미니 마소에서 VSCode 마개조나 해줬으면 좋겠네요... [1] 미니기기_코리아 20.01.12 179 0
42045 미니 고장난 홈팟 처치곤란이네요... [5] T1Canna 20.01.12 659 0
42044 미니 Dex모드 전용 랩탑, NEXDOCK.youtube [5] Aimer 20.01.12 437 0
42043 미니 와이파이 5g랑 일반 네트워크 이렇게 있는데 궁금한 점 [11] 뚜시뚜시 20.01.12 309 0
42042 미니 카메라 궁금해서라도 픽셀 써보고 싶네요 [3] file 포팅롬 20.01.12 285 0
42041 미니 VM 웨어 해보려는데 오류가 뜨네요 도와주세요 크흠..ㅠ [6] file S7엣지 20.01.12 206 0
42040 미니 s20 다음은 뭘까요 [3] file cr 20.01.12 601 0
42039 미니 S11이 아니고 S20가 거의 확정적인가 봅니다. [14] file 열등생 20.01.12 764 0
42038 미니 [pic] LG Q9 One [14] file Stellist 20.01.12 655 0
42037 미니 S20 799달러부터 [3] qazsdf 20.01.12 440 0
42036 미니 갤럭시 S10 Lite의 수퍼 스테디 OIS 시연 영상 IceCat 20.01.12 393 0
42035 미니 아이폰 11 초광각은 사람을 짜증나게 하는군요 [6] 보거 20.01.12 773 0
42034 미니 삼성 최근 행보를 보면... [1] 미니기기_코리아 20.01.12 326 0
42033 미니 Galaxy Bloom이 아니라 Z **** [20] file 슈갤럼 20.01.12 743 0
42032 미니 메쉬와이파이 어떤게 좋을까요 [12] 노답맨10세 20.01.12 686 0
42031 미니 안드10 업글후에 공초하는게좋나요 업글전에 공초하는게좋나요? [11] 갤럭시s10사고싶다 20.01.12 373 0
42030 미니 폰카 센서가 더 발달하면 다음단계는 뭐가 될까요? [15] file 팝카드있으세요 20.01.12 509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