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딱보면알아

미니 삼성은 스마트폰 라인업을 언제쯤 안정화시킬까요

a니 e니 라이트니, 울트라니

a51처럼 뒤에 애매한 숫자는 또 무엇이며,

왜 탭s4에서 탭s6로 가는 것이며

왜 s11에서 s20으로 가는 것이며

왜 영프리미엄이랬던 a시리즈가

20만원대 초저가 모델로 나오는 것이며

도대체가 규칙도 없고 원칙도 없는 

엿장수 맘대로인지..?

이 라인업이 해마다 뒤죽박죽 바뀌고 질서도 없어서

이젠 당췌 뭐가 뭔질 모를 지경이네요

 

삼성도 열심히 할려다보니 새로운 전략과

네이밍을 자꾸 들고 나오는 듯한데

뭔가 장기적인 비전과 내부 교통정리가 부재한 느낌이네요

 

 

 

 

 

 

댓글
15
Eidio
1등 Eidio
2020.01.03. 20:57

A 시리즈는 지금 아주 잘 팔리고 있고 S11 발음하기가 영 좋지 않은 데다 연도와 딱 맞으니까 더 좋고 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만.(다만 21년에는 S21보다는 S30이 나을 듯..)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Eidio 님께
2020.01.03. 21:03

s11은 발음보다도 애플에게 숫자로 뒤쳐지는 이미지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애플은 12 나오는데 이제 11 내면 뒷꽁무니 살살 쫒아가는 이미지니..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Eidio 딱보면알아 님께
2020.01.03. 21:14

걍 아이폰하고 비교해도 어감이 너무 구려요 아이폰 일레븐 프로. 하면 딱 맞아 떨어지는데 갤럭시 에스 일레븐 플러스 하면..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Eidio 님께
2020.01.03. 21:21

그런가요;;

투에니 하고 글자수는 같은데 미묘한 차이가 있나보군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eji
2등 aleji
2020.01.03. 20:56

안 그런 브랜드가 없죠 먹고살려면 몸부림을 쳐야됩니다

잘사는 애플도 XR이 난데없이 11이 되고 프로맥스란게 나오고 뒤죽박죽이듯이

[alej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aleji 님께
2020.01.03. 21:08

안그런 브랜드는 없긴한데

스마트폰 회사들 중에서 삼성 라인업이 제일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것 같네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Gom™
3등 MrGom™
2020.01.03. 21:03

그래도 지금 삼성은 되게 안정화된 편이죠...

 

S / 노트 / A / M 정도로 단순화 되었잖아여

 

Y,M,A,On,C,J 등등 나왔을 때보다는...

[MrGo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MrGom™ 님께
2020.01.03. 21:13

큰 카테고리는 네 개지만 

그 네 개 안에서 자꾸 파편화 되고 있는 것 같네요

a시리즈만해도

10,20,30,40,50,60,70,80,90 포지셔닝이 다 달라요

a라는 단일한 카테고리로 묶기에는 너무 폭이 넓어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best 감자해커
2020.01.03. 21:29

저는 도대체 이런 얘기가 왜 계속 나오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2020년이고 갈수록 전세계 소비자는 계층 소득 환경에 따라서 니즈가 다 다릅니다. 그에 따른 제품파편화가 되는 것이고 지역별 판매모델도 다 다릅니다. 이러한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게 갤럭시a시리즈고 결국 성공해서 먹혔어요.

 

18년도 생각하면 샤오미 화웨이등 치고올라오면서 엄청 침울했는데 19년도 선방했고요. 네이밍이 중요한게 아니라 파는게 중요한 겁니다. 타사들도 요새 다 저래요. 갈수록 파편화 될거고 이를 소화해 내는 곳이 결국 승리합니다.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감자해커 님께
2020.01.03. 23:17

네이밍은 중요하죠. 우리가 제품을 소비할때 단순히 "가성비=가격대비 성능"으로 제품을 소비하기도 하지만 이는 플래그쉽아닌 제품들에서 주로 나타나는 경향입니다.

플래그쉽에는 가성비 그 이상의 것이 필요합니다. 그 이상의 것은 무엇인가 하니,  우리는 소비를 통해 소속감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대부분 사람들이 신경쓰지 않은 가방에 많은 금액을 들이고 브랜드와 제품들의 시그니쳐 네이밍들을 외우죠.  그리고 그 네이밍의 연속성들은 팬층과 매니아층을 형성 시키면서 브랜드에 소속감을 느끼게 만듭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감성'이 여기서 속하는 것이죠.  소비에 '감성'이 들어가면서 우리는 그 브랜드에 크거나 작거나 소속감을 느낍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라운지를 운영하고, VIP멤버쉽을 유지하고, 애플스토어 같은 것들을 만드는 이유들도 그렇습니다. 애플의 경우 이런 전략들을 잘하고 있는 브랜드이죠. 세계판매량 순위를 보면 알겠지만 삼성의 경우 갈수록 플래그쉽은 top10에 속하지 못하고 a10 a50등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층에만 효과적이게 먹히고 있죠. 이게 단기적으로는 호재이나 한계가 있습니다. 삼성의 a시리즈가 잘 팔리는 것도 결국 플래그쉽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 가치의 폭포효과의 도움을 받는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폰의 경우 플래그쉽이 top10에 대륙을 가리지 않고 잘 팔립니다. 왜 아이폰의 휴대폰 마진이 타 회사 대비 매출물량은 작지만 몇배나 많은지는 여기서 갈립니다.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감자해커 님께
2020.01.03. 21:51

a시리즈가 고객의 니즈를 어떻게 반영했고 어떻게 성공했다는 것인가요?

19년 삼성이 선방한 건 화웨이 제제 효과 덕이 큽니다.

그거 아니었으면 이미 점유율이 따라잡혔을 수도 있어요.

 

단순히 다작했다고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는 게 아닙니다.

니즈에 따른 포지셔닝을 정확하게 하고

네이밍을 포함한 마케팅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a시리즈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이미지가 뭔가요?

아무것도 없어요. 

18년까지는 영프리미엄, 쓸만한 제품, 기본기 탄틴한 중급기이었는데

지금은 그냥 잡탕입니다.

소비자에게 분명하게 각인된 게 없다면

그건 실패한 마케팅인 거죠

 

다른 기업들이 다 저렇게 하는 건 아니고

파편화된다고 해서 꼭 저렇게 밍숭맹숭하게 마케팅할 필요도 없는 거죠

계속 이런이야기가 나오는 건 

이렇게 느끼는 소비자들이 꽤 많다는 거고

소비자들이 느끼는 것 그 자체가 마케팅입니다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딱보면알아 님께
2020.01.03. 21:57

음.... 갤럭시a는 모르겠다만 m은 제제 이전에도 잘나갔던거 같아요

결국 그 시장에 맞는 타겟만 잘 정하면 파편화 한들 큰 무리는 없을듯싶네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감자해커 딱보면알아 님께
2020.01.03. 22:05

a시리즈가 한국에 다 파나요? 어떤 나라에서 a시리즈 전부 다 파는곳 있나요?

국가별 맞춤으로 판매하는 겁니다..... 한국에만 팔거 아니잖아요.. 인도에 프리미엄A시리즈만 팔건가요? 인도보다 못사는 나라에는 안팔건가요,?

 

이건 제 개인생각뿐 아니라 각 기업들의 현 상황판단이에요. 대국적으로 보세요. 한국은 계속 프리미엄 마케팅쪽으로 가는 것이고 예전엔 중동이면 중동쪽 특화모델 일부몇개 쫙. 아시아쪽 쫙 뿌렸는데 이게 나라별 먹히는 모델이 다르니 더 세분화된것 뿐입니다.. 갈수록 공략은 더 세분화될겁니다.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V50
V50
2020.01.03. 22:11

어 음... 브랜드도 없이 알파벳 다쓰는 갓-쥐보다는...

[V5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2020.01.04. 09:22

일년에 기반모델,플러스 이렇게 두개 내던 아이폰도 이젠 6개씩 낸다고 하는 상황입니다.  파편화는 피할 순 없어요

그리고 a51을 예로 드셨는데 a50후속작이 a51인건 납득할 만 한 네이밍 아닌가 싶습니다. S20은 란즈크님 같은 경우엔 s11 맞다고 했으니 아직 확정도 아니고요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289 13
핫글 미니 갤북엣지 수령했습니다 [7] file 김링크 24.06.20 527 12
핫글 미니 미국 이동통신사가 돈을 버는 법 [3] AquStar 24.06.20 877 12
핫글 미니 제가 볼 때 One UI 6.1 기본 폰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18] file 미붕붕드링크 24.06.20 1542 11
43960 미니 스위치 OLED 37에 샀습니다 [15] PatGelsinger 22.01.28 859 6
43959 iOS15.4 에어팟 팝업도 바뀌었네요 [3] file 당신말이맞습니다 22.01.31 859 3
43958 미니 S22 vs. S22+ 차이 [6] 우주안녕 22.02.10 859 1
43957 미니 디멘시티 9000 탑재한 Vivo 폰 긱벤치.jpg [20] 스퀴니 22.02.22 859 5
43956 미니 저는 문제 해결되기 전까진 삼페 안쓰려고요 [19] 경전철(이엿던것) 22.03.06 859 2
43955 미니 텔레그램 데탑버전 신세계인데요? [8] ESTETS 22.03.06 859 8
43954 미니 애플 맥 스튜디오, 업체 실수로 벌써 배송 받아 [3] file 프로입털러 22.03.16 859 2
43953 미니 15만원 쿠폰 현금화 방법 뭐가 좋을까요? [6] file 안프프 22.03.26 859 4
43952 미니 뭔짓을 해도 순정이 최고인거 같습니다. [5] file 룬룬 22.04.02 859 5
43951 미니 삼성은 갤럭시에 AKG튜닝 대신 JBL튜닝을 했음 좋겠네요ㅠㅠ [8] 하이바라 22.04.05 859 2
43950 미니 랩탑용 C타입 허브 어떤게 좋아요? [11] file 족구왕 22.05.05 859 0
43949 미니 애플워치 유저분들 네이버페이 업뎃하세요 [7] file 가로사옥 22.07.01 859 7
43948 미니 폴드4 사전예약 가격은 얼마까지 내려갈까요? [8] zxc122 22.07.21 859 0
43947 미니 유니콘 프로 가족 라이센스 사야겠네요 [7] [성공]함께크는성장 22.08.10 859 0
43946 미니 태블릿이 생산성이 이리좋은거였군요 [1] 출사표 22.09.05 859 2
43945 미니 버즈 2 프로 음질 어떠신가요? 저는 좀.. [11] WayBack 22.09.19 859 4
43944 미니 황통수 에디션 한국가격;;; [8] file Terminus 22.09.21 859 1
43943 미니 뒤늦은 아이폰14 프로맥스 개봉사진.jpg [16] file 조형기의운전교실 22.10.07 859 8
43942 미니 원유아이5 업데이트 오늘...?? [14] file 카밀리아 22.10.24 859 7
43941 미니 15.6 혜자버즈2프로 달리세옷! [18] file 오토카모 22.10.31 859 2
43940 미니 삼성전자가 글로벌브랜드가치 5위에 선정되었습니다. [9] file 다람쥐 22.11.04 859 13
43939 미니 대만 학자 "TMSC 1나노 공장 신설하면 전력난 발생할 수도" [2] PatGelsinger 22.11.07 859 4
43938 미니 S7보다 S22 카메라 속도가 더 느리네요 [10] 나코나코 22.11.22 859 0
43937 미니 S23 유출 포스터를 보면 버즈2 라이브는 내년 1분기에도 안나온다는거네요. [2] dencihinji 22.12.26 859 6
43936 미니 걍 무식하게 x86 arm 둘다 박아버렸으면 좋겠네요. 갤북에 [11] file 패주초 22.12.29 859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