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딱보면알아

미니 삼성은 스마트폰 라인업을 언제쯤 안정화시킬까요

a니 e니 라이트니, 울트라니

a51처럼 뒤에 애매한 숫자는 또 무엇이며,

왜 탭s4에서 탭s6로 가는 것이며

왜 s11에서 s20으로 가는 것이며

왜 영프리미엄이랬던 a시리즈가

20만원대 초저가 모델로 나오는 것이며

도대체가 규칙도 없고 원칙도 없는 

엿장수 맘대로인지..?

이 라인업이 해마다 뒤죽박죽 바뀌고 질서도 없어서

이젠 당췌 뭐가 뭔질 모를 지경이네요

 

삼성도 열심히 할려다보니 새로운 전략과

네이밍을 자꾸 들고 나오는 듯한데

뭔가 장기적인 비전과 내부 교통정리가 부재한 느낌이네요

 

 

 

 

 

 

댓글
15
Eidio
1등 Eidio
2020.01.03. 20:57

A 시리즈는 지금 아주 잘 팔리고 있고 S11 발음하기가 영 좋지 않은 데다 연도와 딱 맞으니까 더 좋고 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만.(다만 21년에는 S21보다는 S30이 나을 듯..)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Eidio 님께
2020.01.03. 21:03

s11은 발음보다도 애플에게 숫자로 뒤쳐지는 이미지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애플은 12 나오는데 이제 11 내면 뒷꽁무니 살살 쫒아가는 이미지니..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Eidio 딱보면알아 님께
2020.01.03. 21:14

걍 아이폰하고 비교해도 어감이 너무 구려요 아이폰 일레븐 프로. 하면 딱 맞아 떨어지는데 갤럭시 에스 일레븐 플러스 하면..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Eidio 님께
2020.01.03. 21:21

그런가요;;

투에니 하고 글자수는 같은데 미묘한 차이가 있나보군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eji
2등 aleji
2020.01.03. 20:56

안 그런 브랜드가 없죠 먹고살려면 몸부림을 쳐야됩니다

잘사는 애플도 XR이 난데없이 11이 되고 프로맥스란게 나오고 뒤죽박죽이듯이

[alej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aleji 님께
2020.01.03. 21:08

안그런 브랜드는 없긴한데

스마트폰 회사들 중에서 삼성 라인업이 제일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것 같네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Gom™
3등 MrGom™
2020.01.03. 21:03

그래도 지금 삼성은 되게 안정화된 편이죠...

 

S / 노트 / A / M 정도로 단순화 되었잖아여

 

Y,M,A,On,C,J 등등 나왔을 때보다는...

[MrGo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MrGom™ 님께
2020.01.03. 21:13

큰 카테고리는 네 개지만 

그 네 개 안에서 자꾸 파편화 되고 있는 것 같네요

a시리즈만해도

10,20,30,40,50,60,70,80,90 포지셔닝이 다 달라요

a라는 단일한 카테고리로 묶기에는 너무 폭이 넓어요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best 감자해커
2020.01.03. 21:29

저는 도대체 이런 얘기가 왜 계속 나오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2020년이고 갈수록 전세계 소비자는 계층 소득 환경에 따라서 니즈가 다 다릅니다. 그에 따른 제품파편화가 되는 것이고 지역별 판매모델도 다 다릅니다. 이러한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게 갤럭시a시리즈고 결국 성공해서 먹혔어요.

 

18년도 생각하면 샤오미 화웨이등 치고올라오면서 엄청 침울했는데 19년도 선방했고요. 네이밍이 중요한게 아니라 파는게 중요한 겁니다. 타사들도 요새 다 저래요. 갈수록 파편화 될거고 이를 소화해 내는 곳이 결국 승리합니다.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감자해커 님께
2020.01.03. 23:17

네이밍은 중요하죠. 우리가 제품을 소비할때 단순히 "가성비=가격대비 성능"으로 제품을 소비하기도 하지만 이는 플래그쉽아닌 제품들에서 주로 나타나는 경향입니다.

플래그쉽에는 가성비 그 이상의 것이 필요합니다. 그 이상의 것은 무엇인가 하니,  우리는 소비를 통해 소속감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대부분 사람들이 신경쓰지 않은 가방에 많은 금액을 들이고 브랜드와 제품들의 시그니쳐 네이밍들을 외우죠.  그리고 그 네이밍의 연속성들은 팬층과 매니아층을 형성 시키면서 브랜드에 소속감을 느끼게 만듭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감성'이 여기서 속하는 것이죠.  소비에 '감성'이 들어가면서 우리는 그 브랜드에 크거나 작거나 소속감을 느낍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라운지를 운영하고, VIP멤버쉽을 유지하고, 애플스토어 같은 것들을 만드는 이유들도 그렇습니다. 애플의 경우 이런 전략들을 잘하고 있는 브랜드이죠. 세계판매량 순위를 보면 알겠지만 삼성의 경우 갈수록 플래그쉽은 top10에 속하지 못하고 a10 a50등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층에만 효과적이게 먹히고 있죠. 이게 단기적으로는 호재이나 한계가 있습니다. 삼성의 a시리즈가 잘 팔리는 것도 결국 플래그쉽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 가치의 폭포효과의 도움을 받는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폰의 경우 플래그쉽이 top10에 대륙을 가리지 않고 잘 팔립니다. 왜 아이폰의 휴대폰 마진이 타 회사 대비 매출물량은 작지만 몇배나 많은지는 여기서 갈립니다.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딱보면알아
글쓴이
딱보면알아 감자해커 님께
2020.01.03. 21:51

a시리즈가 고객의 니즈를 어떻게 반영했고 어떻게 성공했다는 것인가요?

19년 삼성이 선방한 건 화웨이 제제 효과 덕이 큽니다.

그거 아니었으면 이미 점유율이 따라잡혔을 수도 있어요.

 

단순히 다작했다고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는 게 아닙니다.

니즈에 따른 포지셔닝을 정확하게 하고

네이밍을 포함한 마케팅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a시리즈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이미지가 뭔가요?

아무것도 없어요. 

18년까지는 영프리미엄, 쓸만한 제품, 기본기 탄틴한 중급기이었는데

지금은 그냥 잡탕입니다.

소비자에게 분명하게 각인된 게 없다면

그건 실패한 마케팅인 거죠

 

다른 기업들이 다 저렇게 하는 건 아니고

파편화된다고 해서 꼭 저렇게 밍숭맹숭하게 마케팅할 필요도 없는 거죠

계속 이런이야기가 나오는 건 

이렇게 느끼는 소비자들이 꽤 많다는 거고

소비자들이 느끼는 것 그 자체가 마케팅입니다

[딱보면알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딱보면알아 님께
2020.01.03. 21:57

음.... 갤럭시a는 모르겠다만 m은 제제 이전에도 잘나갔던거 같아요

결국 그 시장에 맞는 타겟만 잘 정하면 파편화 한들 큰 무리는 없을듯싶네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감자해커 딱보면알아 님께
2020.01.03. 22:05

a시리즈가 한국에 다 파나요? 어떤 나라에서 a시리즈 전부 다 파는곳 있나요?

국가별 맞춤으로 판매하는 겁니다..... 한국에만 팔거 아니잖아요.. 인도에 프리미엄A시리즈만 팔건가요? 인도보다 못사는 나라에는 안팔건가요,?

 

이건 제 개인생각뿐 아니라 각 기업들의 현 상황판단이에요. 대국적으로 보세요. 한국은 계속 프리미엄 마케팅쪽으로 가는 것이고 예전엔 중동이면 중동쪽 특화모델 일부몇개 쫙. 아시아쪽 쫙 뿌렸는데 이게 나라별 먹히는 모델이 다르니 더 세분화된것 뿐입니다.. 갈수록 공략은 더 세분화될겁니다.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V50
V50
2020.01.03. 22:11

어 음... 브랜드도 없이 알파벳 다쓰는 갓-쥐보다는...

[V5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2020.01.04. 09:22

일년에 기반모델,플러스 이렇게 두개 내던 아이폰도 이젠 6개씩 낸다고 하는 상황입니다.  파편화는 피할 순 없어요

그리고 a51을 예로 드셨는데 a50후속작이 a51인건 납득할 만 한 네이밍 아닌가 싶습니다. S20은 란즈크님 같은 경우엔 s11 맞다고 했으니 아직 확정도 아니고요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53 13
핫글 미니 버즈3 프로, 워치 울트라가 벤츠 출신 디자이너 첫 제품이라네요. [33] updatefile Stellist 24.06.25 1218 22
핫글 미니 스마트태그2 업데이트 [11] file a1001 24.06.25 799 11
핫글 미니 이거 왜이렇게 정자같나요 [9] file Pepsi베어 24.06.25 928 9
68075 미니 긱벤치 너무 신경쓰지마세요~ [2] file 크나앙 21.01.30 387 3
68074 미니 선생님들 버즈플러스에서 버즈프로 갈아탈만 합니까? [7] prodigy 21.01.28 387 0
68073 미니 오늘 보름달이 이쁘게 떴군요~ [5] file 쿼드쿼드 21.01.28 387 6
68072 미니 방심하지 마세요 상대는 공홈입니다. [3] 크나앙 21.01.21 387 1
68071 미니 일단 S21U 야간 비디오는 [6] 흡혈귀왕 21.01.21 387 0
68070 미니 디자인적으로는 플러스가 완전체같은데 [8] 라테린 21.01.20 387 4
68069 미니 울트라 공식 가죽케이스 실화인가요? [5] file 크루원 21.01.20 387 1
68068 미니 ONE UI 3.1 기대됩니다 file 시아 21.01.17 387 3
68067 미니 21울트라 인물사진 [6] file 감비아산도나츠 21.01.16 387 2
68066 미니 S21U 512 한정모델인가요?? [2] Rekoj 21.01.14 387 1
68065 미니 여담으로 865나 990이나 GPU피크성능은 a12급이라고 치자면은 [2] 나랏미 21.01.12 387 0
68064 미니 폴드2 안드11올렸는데 [4] Fireuniverse 21.01.12 387 0
68063 미니 내일 세븐모바일로 바꿀려고 하는데 [13] 바보비버 21.01.12 387 2
68062 미니 롤러블이라는 폼팩터가 과연 상용화될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9] 실론 21.01.11 387 1
68061 미니 갤8 오레오로 다운그레이드 중입니다. [10] Hoshizora 21.01.07 387 1
68060 미니 아이패드 비번없이 안되나요? [10] 심플리 21.01.02 387 0
68059 미니 루머)라이젠 5800H + RTX3080 = 250만원 file 스퀴니 21.01.01 387 0
68058 미니 이거만 되면 바로 아이폰 갑니다 [2] 루리루리 20.12.31 387 1
68057 미니 구글포토의 장점은 편리함이라고 생각합니다. [3] AurA 20.12.31 387 0
68056 미니 스펙보다는 디자인이 더 와닿긴 해요 [7] 응애나아기미붕이 20.12.31 387 2
68055 미니 갤럭시핏2 배터리가 한주 한주 빨리다네요.. [2] flair 20.12.23 387 0
68054 미니 SSD도 잘 보고 사야겠군요 [7] file 여가어딥미코 20.12.21 387 0
68053 미니 페이스 ID vs 스크린 지문인식 vs 사이드 지문인식 vs 후면 지문인식 [6] Hoshizora 20.12.11 387 1
68052 미니 화음 자체는 이제 와서는 별 의미 없죠. [8] Havokrush 20.12.02 387 0
68051 미니 s10 노멀같은 비교적 최근 기종에서도 [3] Fervidex 20.11.16 387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