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a시리즈 엄청나죠. 그런데 또 과대평가를 할 필요까진 없어요

SPEC-S865_575px.png

 

 

 

그래프에서 보이는 수치들 중 가장 왼쪽수치는 전력소모인 w를 뜻합니다. 이 수치는 낮으면 좋죠.

가장 오른쪽 수치는 성능을 뜻하는 수치입니다. 이건 높을수록 우수하고요.

 

전성비에서 중요한건 한마디로 맨 오른쪽 수치와 맨 왼쪽의 수치를 종합해서 내놓는 두번째 수치인 joules 입니다.

이게 낮을수록 동일작업량 대비 사용하는 애너지가 적다는 뜻이죠

 

그래프를 보시면 알겠지만 언제나 본가의 전성비는 훌륭한편입니다. 그 좋다는 a시리즈보다도 뛰어나죠.

 

다만 a75까진 워낙 성능이 a시리즈 대비 개차반이라 전성비 좋다한들 의미가 없었죠

아반테가 제네시스보다 연비 좋다고 더 좋은 차 아니잖아요? ㅋㅋㅋㅋㅋㅋ

 

하지만 a76으로 오면서 상당히 성능개선이 이루어졌고 a77은 a11과 동급의 성능을 내주었습니다. 전성비 수치를 보면 a11보다 훨씬 좋습니다. (다만 이는 공정빨도 있어서 저정도의 차이까진 아닙니다.)

 

애플은 싱글은 말할것도 없고 a9부터 부족했던 멀티점수마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고 a11부턴 타사 ap를 씹어먹으면서 독보적인 1인자의 길을 걸어왔습니다.

 

하지만 성능은 비루했지만 전력효율 하난 끝내줬던 본가가 각잡고 빅코어를 만든다? 애플 역시 긴장해야할겁니다

댓글
53
sourire
1등 sourire
2020.03.15. 23:36

A칩의 성능은 OS에 최적화된 커스텀 프로세서도 한 몫하죠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sourire 님께
2020.03.15. 23:38

specint는 대표적인 로우레벨 벤치로 os의 개입이 극도로 적습니다. 정말 순수 ap측정벤치란거죠

 

다만 본인이 설계하고 본인만 쓰기때문에 자신만의 설계철학을 100프로 녹일수있고 또한 긱벤치의 측정항목과 밀접한 설계사상을 녹일수 있다는게 큰 장점이죠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신규유저
2등 신규유저
2020.03.15. 23:36

ARM도 대단하네요

[신규유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신규유저 님께
2020.03.15. 23:40

전성비 하나는 훌륭합니다. 다만 a75까지 빅코어용은 아니었죠.... 너무 저성능 고효율 아키텍쳐란게 ㅡ.ㅡ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신규유저
신규유저 바보중 님께
2020.03.15. 23:59

A칩 절대성능이 압도적인건 캐시 용량도 한몫하는거 같더라구요

L1 L2 L3 캐시 다 스냅보다 훨씬 많더라구요

[신규유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신규유저 님께
2020.03.16. 00:00

캐시량 중요하죠. 그 중요성은 라이젠이 잘 보여주기도 하고요 ㅋㅋㅋㅋㅋㅋ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텐에스맥스씁니다
3등 텐에스맥스씁니다
2020.03.15. 23:37

두번째 그래프에 의하면

 

애플 : 성능도 쩌는데, 전력 많이먹음

스냅드래곤 : 성능은 2탑, 전성비 최고

엑시노스 : 성능도 별로고 전력도 많이먹음

 

이군요...

섹시노스가...

 

와 근데 엑시노스 저렇게 바닥이었나요? 충격

[텐에스맥스씁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rire
sourire 텐에스맥스씁니다 님께
2020.03.15. 23:39

커스텀 아키텍처 문제가 너무 컸습니다.

태업한다 욕들을 정도로 처참했죠.... 그 여파로 커스텀 아키텍처 팀을 해체했습니다.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텐에스맥스씁니다 님께
2020.03.15. 23:39

8nm인 9820이라는걸 감안해야합니다. tsmc의 n7보다도 덩치 및 전력소모에서 불리한 공정이라서 약간의 정상참작은 해줘야합니당.....

9825면 그대로 대입하면 되는데 초큼 아쉽군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워런티비오루
워런티비오루
2020.03.15. 23:38

섹시노스....이럴수록 더 불쌍해지네요

[워런티비오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워런티비오루 님께
2020.03.15. 23:41

어쩌다가 관짝에 있는 m코어 위로게시글이 되었는지 흑흑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워런티비오루
워런티비오루 바보중 님께
2020.03.15. 23:44

몽구스팀...왜 저렇게 만든거야!!!

[워런티비오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워런티비오루 님께
2020.03.15. 23:45

아주 간단합니다. 메모리 점수에나 신경쓰고 꼼수로(?) 점수 올리면 된다구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존버합니다 님께
2020.03.15. 23:40
존버합니다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존버합니다 님께
2020.03.15. 23:41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추운게좋아 님께
2020.03.15. 23:43

거 누가 990도 비교해줬으면 좋겠네요 ㅋㅋㅋㅋㅋㅋ euv쓰고도 압도적으로 차이나면 꼬라지가 말이 아님 ㅜ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emeko
2020.03.15. 23:44

엑시 990이 어떻게 나올지 좀 궁금하네요

[Memek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Memeko 님께
2020.03.15. 23:47

공정빨 오지게 받아도 전성비만 애플급 아닐까요.... 전성비만 좋으면 뭐합니까 성능격차가 어마어마한데 ㅜㅜ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emeko 바보중 님께
2020.03.15. 23:48

어쩌피 이젠 엑시에 성능은 기대하지도 않습니...

[Memek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Memeko 님께
2020.03.15. 23:49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보거
보거
2020.03.16. 00:03

아몰랑 섹시노스가 최고야!

[보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보거 님께
2020.03.16. 00:04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2020.03.16. 00:29

이것은 어디까지나 Peak 성능에서의 전성비 비교이고 비교 상황의 성능 자체가 너무 차이나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습니다. 동일 성능에서는(A13 빅코어를 865 성능까지 내렸을 때는) A13이 전성비도 여전히 앞선다고 봅니다.

(사실 Peak 성능이 A 시리즈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전성비를 내주는 것이 이상한 거죠)

 

Peak 성능에서의 전성비가 61% 수준이라고 해도

결국 동일한 성능에서 비교하게 된다면 2.65GHz였던 A13 빅코어 클럭이 1GHz 중후반대까지 떨어지게 되는데

전압이 2.65GHz의 sqrt(0.61) 즉 약 78%까지 떨어지면 전성비 비슷하게 나오게 될겁니다

클럭이 60%대까지 떨어지는데 전압이 80%밖에 떨어질 리가 없고 훨씬 더 떨어지겠죠.

A12의 클럭/전압 그래프로 생각해 본다면 대략 60%까지는 떨어집니다

A13이 7nm 끝물 우려먹은 AP임과 2.65GHz가 많이 쥐어짜낸 상당히 높은 클럭임을 생각해 본다면 더 떨어질 수도 있고

최소한 80%만큼보다는 더 떨어질겁니다.

 

그런 점에서 봤을 때 동일 성능에서의 전성비가 A13이 여전히 865보다 앞선다고 볼수 있습니다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00:50

마찬가지로 본가의 a77도 2.845ghz의 고클럭입니다. 공정 또한 둘 다 같은 공정의 7np를 썼습니다.

아난드텍 그래프를 보시면 2.43ghz로 낮춘 스냅 전성비가 좋아지는데 1ghz대로 낮추면 전성비는 더 좋아지겠죠

 

a만 클럭을 낮추면 전성비 이길수도 있다는 가정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

 

애플ap의 스케쥴러상 클럭 확 땡겨서 작업을 빠르게 끝내는 구조라서 의미가 없지만 한번 가정해보죠.

현재 a77의 성능은 a13대비 70프로의 성능입니다. 클럭 30프로를 떨구면 어떻게될까요?

a13 전력그래프는 못구해서 a12로 구해왔습니다. 아키텍쳐상 큰 차이가 없기때문에 특성은 비슷하죠

 

 

d1124fc0023ab690f735b26a0f341d5a.png

 

 

클럭 30프로를 떨구면 전력이 본래대비 45프로만 먹는군요. 다시 spec2006 벤치로 돌아와보죠.

퍼포먼스를 맞춰놨으니 그쪽은 안봐도 되고 a13의 소비전력 4.61w에서 0.45를 곱해보죠. 2.075w 나오네요

 

즉, 1.84w를 먹는 a77보다 그래도 전성비는 떨어집니다. 이리재보고 저리재봐도 본가가 우수합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바보중 님께
2020.03.16. 00:44
바보중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00:56

거의 다 왔는데 마지막에서 한가지 실수하신 것이 있습니다 ...

0.45라는 수치가 맞다고 했을 때을 곱할 때는 J에서 곱하셔야 하고 W에서 곱하실 때는 0.45×0.65(클럭하락치, 즉 1-0.35)를 곱하셔야 합니다.

J은 총 전력소모니까 다른 요인이 공통적이면 클럭이나 작업 속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압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반면 W는 클럭에 비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구요

 

즉 동일 성능 전성비가 A13이 우수한 것이 맞습니다.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01:25

다른게시글에 달린 글과 합쳐서 대답하겠습니다.

 

말씀하신 공식은 전압과 클럭이 낮아졌을때 해당 w를 추청할때 쓰는 방식이고 저희는 이미 해당클럭이 낮아졌을때의 w를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그런공식을 쓴다는게 이해가 안간단 말이었습니다. 뭔가 핀트를 잘못잡으신거 같은데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03:55

아.. 0.45라는 숫자가 너무 커서 전력(전압^2에 비례, 클럭에 비례)차이가 아니라 전압^2 차이 얘기하시는 걸로 알고 딴소리를 좀 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렇게 다시 보시면 제가 무슨소릴 하고있던건지 알게되실 겁니다 ㅋㅋㅋㅋ 피곤하니까 실수를 자꾸 합니다. ㅠㅠ

둘다 같은 말을 하고 있었던 거죠 사실

 

0.45가 어떻게 나온 건지...?? 이걸 물어봤어야 했네요

제가 봤을땐 2.5GHz일 때 3.85W이고 1.75GHz일 때 1.27W를 먹는 걸로 보입니다

 

그렇게 보면 32%네요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01:49

예 아까 말한대로 제가 실수했고 1/3이네요. 같은 퍼포먼스로 낮춰야 전성비가 15프로정도 우수해집니다.

근데 처음에 말한대로 애플 스케쥴러상 이렇게 될 수 없죠. 최적화모드 이런것도 없고요.

 

처음부터 불가능한 조건으로 저희는 계속 계산합겁니다. 벤치에서 조건을 붙여버리면 의미가 없죠.

 

애플이 지금 찬양받는건 압도적인 성능때문인거지 전성비 때문이 아니잖아요? 그리고 그럴려고 했으면 진작에 애플은 그렇게 내놨을거고요 

 

제 글도 보면 전력효율이 높았던 본가ap가 과연 빅코어라는 헤라를 만들었을때 애플은 긴장해야하지 않을까였고요 의미있던 시간이네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02:05

저도 새벽에 재미 있었습니다. ㅋㅋㅋㅋ

 

근데 최고클럭만 계속 쓰지는 않습니다. 모든 작업이 부하량을 항상 100% 걸지도 않구요

 

PC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최고클럭으로 계속 찍어 놔도 CPU 점유율이 0%과 100%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는데 이것은 클럭을 고정하지 않았을 시 최고클럭을 항상 요구하지는 않는다는 것구요

 

또한 '같은 성능에서라면 A13가 전성비가 좋고, 최대성능도 A13이 더 높다.' 라는 것을 정리하면 애플이 그래도 ARM보다는 설계능력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성능 전성비를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여튼 새벽에 재밌었네요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02:06

애플 스케쥴로가 확 클럭을 땡겨서 작업을 끝내려고 하는데 피씨도 못그러는 마당에 항상 그럴순 없겠죠 

 

암튼 내년 이맘때쯤에 헤라와 a14로 씹고뜯고 맛보고 즐긴텐데 기대됩니다.

그때도 전성비 자체는 본가가 우위겠지만 과연 동성능대비 전력소모는 어떨지

아니면 병sin같이 a57의 재림을 내놓을지 ㅋㅋㅋㅋㅋ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02:12

아무래도 지금처럼 동성능에서는 A14가 전성비 좋고 대신 성능도 A14가 좋아서 피크성능 전성비는 ARM이 좋은 상황이 계속 가지 않을까 싶죠

헤라나 A14나 성능 급격하게 오른다고 하니깐 두고봐야겠지만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02:18

애플은 핸드폰과 태블릿만 보는게 아니니까 전성비보단 성능을 계속 추구하겠죠

맥북엔 x버전 고클럭버전이 들어갈듯 싶고 맥프로엔 빅코어만 8개 쑤셔넣은거 탑재하지 않을까 싶어요

 

노트북엔 5nm버전으로도 대응가능할듯 싶고 pc는 3nm때려나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13:14

근데 뭔가 이상하네요. ap성능을 스냅 기준으로 맞추고 측정한게 아니라 1ghz기준으로도 체크하면 다시 스냅이 이길걸요?

 

새벽엔 못보고 지나쳤는데 설계역량차이 이건 어찌보면 틀린말이죠. 아직 빅코어가 안나왔으니 빅코어 제작능력이 없던다! 라고 한다면 이건 말이 됩니다.

 

근데 스냅은 최대한 클럭땡겨서 전성비 측정, 이때의 전력소모까지 낮춘 a13을 비교하면 15~20프로정도 a의 성능이 높지만 덩치차이를 생각하면 되려 cpu 설계역량이 떨어지는겁니다.

 

고작 그정도 차이를 내려고 덩치2배가 큰게 아닐텐데 말이죠

 

그냥 스윗스팟 기준으로 재는게 공평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스냅도 미들코어는 빅코어보다 전성비 13프로정도 올랐기도 하고요. 

 

공정이나 아키텍쳐를 보면 a12랑 큰 특성차이는 없을것같은데 좀 더 기다려보죠. 865, 13 둘 다 제대로 된 전력곡선이 안나왔으니까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17:37

사실 스윗스팟이란게 그렇게 막 명료한게 아닙니다 수율마다 다르기도 하고..

프라임코어 클럭이 2.845GHz인데 클럭이 85% 빅코어에서는 2.43Ghz까지 내려가도 전력소모가 88%로밖에  줄어듭니다. 물론 설계차이는 조금 있겠지만.. 865 코어들이 전력소모 커브에서 나름 전성비가 좋은 구간에서 최고클럭이 설정되어있다고 볼수가 있는 반면 A13 클럭은 공정에서  코어에서 나름 한계치까지 뽑아놓은 클럭이고 전력소모가 급증한 클럭이죠

전력소모 커브가 애플이랑 다르다고 판단했는데 따로 적지는 않았고 .물론 항상 무작정 비교할 수는 없는 것은 맞지만 이런 상황에서는 무리가 없다고 봅니다

물론 이것도 추정에 추정을 거쳐서 나온 결과기 때문에 확실하다는 말씀은 못드리고 개인적인 의견이 이렇다~ 정도로만 보시면 될거 같네요

 

다만 동클럭 전성비 비교는.. IPC가 달라서 의미가 별로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동클럭 성능 비교도 IPC 알아내는 것 외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구요)

 

면적은 제가 따로 자료를 찾지 못해서 어떻게 말씀드릴 것이 없네요

그런데 보통 면적이 증가할 때 그만큼 성능이 증가할 수가 없다고는 하지요 대략 면적증가분만큼의 제곱근만큼이라고 하죠

(성능이 증가하거나 면적이 증가하거나 한다는 것은 아키텍처나 공정이 계속 달라진다는 얘기니까 이것도 직접 비교할 수는 없지만요)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18:47

그게 이상하다는겁니다. 말씀하셨던 타사코어 성능을 기준으로 대비 란 조건이 성립되면 그 m3도 a75 대비 전성비가 꿀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타사코어 대비 더 큰 덩치, 더 높은 ipc, 더 많은 전력소모, 타사 대비 저클럭인 m3, a13 

반면에 더 작은 덩치, 더 낮은 ipc, 더 적은 전력소모, 타사 대비 고클럭인 a75, a77

 

 

SPEC-S865_575px.png

 

 

m3를 a75의 성능과 동일하게 맞추면 기가막히게 전력소모량도 같아집니다. 

그렇다면 m3의 전성비는 a75와 동급일까요? 어느 누구도 그렇게 생각하지않죠

실생활에선 이렇게 돌아가지도 않고 벤치에서나 볼 수 있는 수치이기 때문입니다.

 

조건을 붙이는 순간 이럴땐 얘가 이기고 저럴땐 쟤가 이기고 변수통제가 안되기 시작합니다.

벤치가 줄 세우려고 하는건데 그 줄 기준이 흐트려진다? 벤치의미가 없죠

 

그렇기에 전 출시된 상태에서의 ap스펙을 가지고 벤치를 하는게 옳다고 봅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20:45

동급이 맞을까요? 라고 하셨는데.. 사실 근본적으로 논의가 좀 달라서 말씀드릴수 있는것부터 이야기하자면 해당 클럭에서만은 동급이 맞습니다.(물론 전력 커브 모양 경향성 자체와 전력소모 우위는 클럭에 따라 변칙적입니다.) M3가 후진 것은 A75의 최고성능 지점에서만 비교해서 후지다고 얘기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아래에서 설명드립니다

 

잡다한 내용 다 지우고 결론만 얘기하면

A75도 그당시 공정과 제품에서 클럭을 올리게 되면 전력소모가 폭증하고 M3보다 더 오를지도 모릅니다. 다만 클럭을 안 높였고 전력소모가 역전되기 전 클럭에서만 작동했지요

따라서 주어진 클럭테이블 전체에서 M3보다 A75가 효율적이었던 것입니다

아래의 전력곡선을 보면

curves_575px.png

빨강, 주황의 중간 지점 어딘가가 A75일테고 845 빅코어 최고클럭을 기점으로 M3이 전성비를 역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A75쪽은 클럭을 더이상 안 올라가서 실제품 클럭테이블에서 M3가 딸리는 거죠

 

반면 A13와 865의 비교에서는 865의 최고 클럭만큼 높은 성능 지점 이전에 동성능 기준 A13 전성비가 앞서고 만약 있다고 가정해도 A13이 밀리는 지점은 곡선 특성상 저클럭 구간이 되어야 하는디 어떻게 될지 모르는 알수없는 낮은 클럭에서는 사실 어차피 비교적 고성능인 리틀코어가 전력소모 역전을 커버해 줍니다

(전력 곡선이 한 점을 기준으로 교차해서 지나간다고 가정했을 시 그렇습니다. 물론 애플이 항상 더 높을 수도 있는 노릇이죠)

 

9810 M3와 A75의 비교에서 일관되게 A75이 좋다가 M3이 전성비 역전할수 있는 순간에서 A75가 최고클럭을 가지고 있는 모양새랑은 전혀 다르죠

 

그리고 9810의 전성비 얘기가 나온 것은 사실 M3 코어 자체의 전성비가 나쁜것도 있지만

스케줄러가 망급이라 반응성이 나쁜데 고클럭의 전력소모도 퍼먹어서 고클럭의 성능값을 못내는 놈이 고클럭의 전력소모를 하기 때문에 욕을 특히 먹었던 것이고

비교군도 스냅드래곤쪽은 빠릿한 반응성으로 오히려 빠른데 전력소모는 덜 먹는다, 애플쪽은 리틀코어 성능이 좋으면서도 효율이 좋아서, 효율 떨어지는 리틀코어~미들코어에 해당하는 부하에서 돌아갈 때 효율이 상당히 높고 빅코어 자체도 좋다, 이런 거랑 비교되면서 더욱 부각되었던 것이죠

 

설계된 아키텍처와 안맞는 방향성, 스케줄러로 인한 손실, 거기다가 그닥인 성능.. 이런 것들도 종합적으로 버무려져서 망작이 나왔던 것이죠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폴리니 님께
2020.03.16. 20:27

출시된 제품의 특성을 임의로 가정하고 우열을 가린다... 벤치가 의미없어지네여

어디가서 m3 클럭 낮추면 스냅과 전성비 동급이라는 이야기 꺼내봐야 가루만 될겁니다. ㅋㅋㅋㅋㅋㅋ

 

제가 주장한건 전성비이지 설계역량을 말한건 아니었으니까 덩치이야긴 할 필요 없겠군요

 

암튼 잘 알겠습니다 서로간의 견해차이가 있고 이걸로 굳이 피튀기는 논쟁을 할 필욘 없으니까요. 

헤라만을 기다리겠습니다. 

 

--------------------------------------------------------------------------------------------------------

다만 A13와 865의비교에서는 동급 성능에서 A13이 전력소모가 앞서고 어떻게 될지 모르는 점은 낮은 클럭에서라는 점이 중요합니다.(극도로 낮은 클럭에서는 어차피 비교적 고성능인 리틀코어가 전력소모 역전을 커버해 줄테구요)

 

반면 9810 M3와 A75의 비교에서는 일관되게 A75이 좋다가 M3이 전성비 역전하는 순간에서 A75가 최고클럭을 가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는 것이죠

 

이거 뭔말인지 모르겠습니다만 걍 말을 끝내도록 하죠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바보중 님께
2020.03.16. 20:42

얘기를 산으로 보내버린듯한데 수정했으니 한번 보시길.. 주제를 좀 명료하게 바꿨습니다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북극여우
북극여우
2020.03.16. 00:17

s10 배터리가 너무 빨리 녹아 슬픕니다

[북극여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북극여우 님께
2020.03.16. 00:46

s10은 음.... 배터리가 초큼 아쉽습니다. 7lpp만 달렸어도 상당히 좋았을텐데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바보중 님께
2020.03.16. 00:46
바보중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청정수
청정수
2020.03.16. 01:53

성능은 a12급일지어도 전성비는 a13이랑 비슷하거나 더 높다는건가요?

[청정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청정수 님께
2020.03.16. 01:56

ap자체의 전성비는 a13보다 훨씬 뛰어나고 다만 클럭조절을 통해 스냅865와 동급으로 맞춰야만 a13이 이깁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클럭을 조절할 방법도 없고 스케쥴러 철학을 보면 그렇지도 않기 때문에 걍 전성비는 레퍼런스가 훨씬 뛰어나다 정도만 아시면 될것같네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청정수
청정수 바보중 님께
2020.03.16. 01:59

생각보다는 좋네요..그러고보니 갤s20시리즈에 배터리 논란은.없었군요

[청정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청정수 님께
2020.03.16. 01:59
청정수 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청정수 님께
2020.03.16. 02:02

아예 없진 않은데 아무리 봐도 걍 5g망이 아직 병sin이라 그거때문에 모뎀쪽에서 더 쓰는 느낌이랄까요?

lte우선모드를 해놓는다 한들 lte모뎀만 달아논것보단 패널티가 있거든요

 

암튼 헤라가 나왔을때 애플과 정확히 비교가 될것같습니다. a14 vs 헤라 빅코어들의 싸움 기대되네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청정수
청정수 바보중 님께
2020.03.16. 02:03

헤라정도된다면 스드875나 이후나올 엑시노스등등에 다려나요.스드865+는 어떻게될지...

[청정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바보중 청정수 님께
2020.03.16. 02:14

헤라는 사실상 확정수순이죠. 이미 퀄컴 외 몇몇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소스들은 여기저기서 나왔거든요

865+는 아마 게이밍폰 만드는 업체에서 탑재할듯 합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청정수
청정수 바보중 님께
2020.03.16. 02:32

쩝..865+도 꽤 기대하고있었는데 조금 아쉽군요

[청정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07 13
핫글 미니 해커도 이건 아니였나 봅니다. [8] updatefile 룬룬 14:00 653 13
핫글 미니 모바일 게임 쪽은 뭔가 잘못된듯.. [7] 미미코코 10:34 881 11
핫글 미니 요즘 메이저 통신사들 QoS는 정말 악질이군요 [16] file Niflheimr 09:11 855 8
52676 미니 2020 A시리즈 프로세서 근황 [3] S.C 20.03.24 617 0
52675 미니 갤럭시 노트 7 + 렌즈 커버 같은 제품이 마렵군요 [2] file AGRS 20.03.24 311 0
52674 미니 컴퓨텍스. 9월로 연기. 스퀴니 20.03.24 189 0
52673 미니 원플러스8프로 실물샷 [7] file 범죄자호날두 20.03.24 509 0
52672 미니 갤럭시 폴드 전시폰 상태가... [4] file Idle6 20.03.24 961 0
52671 미니 S20Ultra 잠망경 5배, 10배 야간모드 [2] file 흡혈귀왕 20.03.24 317 0
52670 미니 카톡 업데이트 이후 지문인증방식 바뀌었네요 [6] file Chrop 20.03.24 1024 0
52669 미니 음? V60에 8K 프로동영상촬영...?.jpg [3] file 스퀴니 20.03.24 252 0
52668 미니 요즘 보급형폰에 미디어텍꺼를 종종 넣던데 [1] 셈숭전자 20.03.24 230 0
52667 미니 갤럭시 A31 공개 [7] file 운김 20.03.24 555 0
52666 미니 윈도우-안드로이드 연동 잘되네용 [1] file Terrapin 20.03.24 354 0
52665 미니 울레기 자급제 보험 신청했읍니다 [4] TIME:TRAVELER 20.03.24 654 0
52664 미니 하프라이프 알릭스가 VR게임역사의 시발점이 될 듯 합니다. [7] Stellist 20.03.24 1067 0
52663 미니 S10,노트10 네덜란드에서 one ui 2.1 3월말 제공 [12] 셈숭전자 20.03.24 433 1
52662 미니 S20 전시품 120Hz 기본으로 바뀌었네요 [7] file Thomasp5675 20.03.24 683 0
52661 미니 연기 레전드 A30 안드10 1월예정 => 5월까지 전격 연기 [14] file aleji 20.03.24 333 0
52660 미니 s20u 배터리는 스냅865라 참 맘에 듭니다. [12] 감자해커 20.03.24 530 0
52659 미니 s10 쓰시는 분들 무선 배터리 공유 잘 되시니요 [4] 마카롱채굴기 20.03.24 214 0
52658 미니 갤20 울트론.....5배사진...100배... [1] file AriMoon 20.03.24 349 0
52657 미니 v60 분해 [5] Apious 20.03.24 663 1
52656 미니 에어팟프로 25만원에 파네요 [1] file 아이폰Xs골드 20.03.24 679 0
52655 미니 아까 울트라 x10샷 [3] file aleji 20.03.24 369 0
52654 미니 갤럭시 XCover Field Pro 출시.B2B [12] file 갤럭시S2 20.03.24 540 0
52653 미니 2019 맥북에어 256 골드 125만원이네요 [4] 바인더7CM 20.03.24 326 0
52652 미니 바빠서 이제 글쓰는데.. V60이 IMX가 아니라 GW1이라니.. [9] 스퀴니 20.03.24 342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