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하렌쿠우

재포장 금지 기사에 대한 환경부의 펙트체크

환경부 트위터에 올라온 내용인데...

기사 내용이랑 완전히 다른데요...?

 

1.jpg

2.jpg

3.jpg

4.jpg

 

테이프를 재활용 가능한 띠지로 바뀌긴 하네요

하렌쿠우
커피는 하루에 10캔
몬스터도 하루에 10캔
레드불도 하루에 10캔
댓글
25
인플라이트
1등 인플라이트
2020.06.21. 20:16

근데 왜 전면 재검토 한다고 하는걸까유..?

[인플라이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렌쿠우
글쓴이
하렌쿠우 인플라이트 님께
2020.06.21. 20:26

아 그래요? 에이..

 

[하렌쿠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2등 넬라
2020.06.21. 20:18

요즘보면 뭐 결정하기전에 정보 풀고 반응 보고나서 아니다 싶으면 팩트체크 이름으로 최종결정하는 모양 같아요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넬라 님께
2020.06.21. 20:32

정부기관은 정책 발표하면 다 보도자료 만들어서 배포합니다.

그거 보고 기사 쓰는거라 그렇게 쉽게 "오해다" 말 바꾸기 시전할 수가 없어요.

 

그냥 논란이 됐던 기사가 자료를 잘못 해석했던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BarryWhite 님께
2020.06.21. 20:36

보도자료 보고 하는 말인데요.. 충분히 논란이 되는 기사의 내용처럼 볼 수 있던 내용이었다 봅니다. 오히려 말씀하신 부분이 이상하다는거죠. 그럴수 없다라는 차원에서 얘기할게 아니겠죠.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넬라 님께
2020.06.21. 20:50

저도 혹시나 싶어서 몇 번이나 봤지만, 가격 적인 부분을 건드린다는 얘기는 없습니다. 

 

*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첫째, 앞으로 대규모 점포 또는 면적이 33㎡ 이상인 매장이나 제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는 포장되어 생산된 제품을 다시 포장하여 제조·수입·판매하지 못한다.

20200128181544.png

이에 따라 그간 제품 판촉을 위한 1+1, 묶음 등의 불필요한 재포장 사례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이미 공장에서 나온 포장을 매장에서 다시 포장하는 걸 금지하는 거라고 설명하고 있고. 사진을 통해 재포장 개선 사례(가격 할인)도 명시하고 있습니다. 오해 받을 이유가 사실 없죠.

 

무엇보다 환경부가 물류유통 쪽 가격할인을 막을 권한도 없죠. 추가로 기자가 정상이면 해석이 안되거나 애매한 내용은 무조건 사실확인을 해야합니다. 근데 그런 기본적인 확인도 안하고 기사를 썼다고 보여집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BarryWhite 님께
2020.06.21. 20:50

네 바로 인용하신 부분이 충분히 그렇게 인식될만 하단겁니다.

"제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자"가 규제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고, "제품 판촉을 위한 1+1, 묶음" 등을 불필요한 재포장 사례로 언급하여 개선사례는 가격 할인만 언급하였는데, 이걸보고 가격 할인만이 묶음 판매나 재포장 같은 걸 대체할 유일한 판촉 수단으로 하라는 의미라 판단한다고 이상한건 아니죠.

그리고 이건 당장 팩트체크랍시고 나온 이 자료만큼만 보도자료에 예시가 나왔어도 안 나왔을 말인데, 애초 보도자료에 애매한 구석이 없다고 말하는건 힘들지 않을까요.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넬라 님께
2020.06.21. 20:55

제품 제조사라할지라도 공장에서 이미 나온 제품을 재포장할 수 없다는 뜻이니 맞는 말이죠.

 

뭐, 말씀하신대로 보도자료 내용이 완벽하거나 충분하다고는 저는 생각지 않지만. 계속 읽어보면 논란의 기사가 나올 건덕지는 없어보입니다. 할인을 막는 게 아니라 재포장을 막는 거니까요. 1+1을 막는다는 얘기는 없고 오히려 개선된 재포장 사례로 가능함을 설명합니다.

 

왜 저렇게 썼나 생각해보면, 애초에 환경부는 가격 관련해서 제재를 가할 이유도 명분도 없기 때문에 그런 오해를 고려하지 못한것 같고요.

 

그렇기 때문에 이건 기자 잘못이라고 보죠. 단순히 환경부가 간을 봤다고 하기엔, 애당초 할 수가 없는 일인데요.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BarryWhite 님께
2020.06.21. 21:08

번들 제품이 문제죠. 묶음 판매도 이번 내용에나 있지 원래 자료에는 안 될것처럼 나오기도 했고요. 현실적으로 마트에서 전혀 다른 성격의 제품을 묶어팔 때 편의점마냥 가져오라 운영하는거... 잘 되지도 않을거고요.

 

번들 제품은 공장에서 이미 나온 제품을 재포장한 제품에 해당한다고 볼 여지가 있으니까요. 할인을 막는다라는 말이 퍼지게 된 것도 애초에 이 부분이 크다고 보거든요. 이게 왜냐면 번들 제품을 통해서 실질적 할인이 많이 이뤄지는 것도 사실이지 않은가요? 그렇기에 당연히 번들 제품을 막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내용이 있으니 할인을 막는다는 표현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겁니다.

 

번들 제품을 재포장 제품으로 볼 수 없다는건 원래 환경부의 보도자료에 없었고 (저도 인용하신 내용의 보도자료는 읽어봤었습니다) 이번 자료에서 처음 나온 부분이니까요.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넬라 님께
2020.06.21. 21:22

낱개 5개입 등의 번들 포장도 공장에서 하는 겁니다. 재포장 금지는 재포장을 통해 자원 낭비 등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는 거고. 만일 번들 포장이 재포장(공장 생산 밖)이라면 공장 안에 새로 설비 넣고 최대한 낭비없이 만들라는 얘기죠.

 

공장에서 만든 번들 상품은 바코드가 별도 존재하는 걸로 압니다(마트 자체적으로 만든 재포장 바코드가 아니라). 그 말은 낱개로 판매하는 제품과 아예 별개라는 거죠.

 

물론,  그런 부분에서 설명이 부족한 건 맞습니다. 다만, 환경부가 간을 봤느냐는 아니라고 보고요. 논란의 원인은 그냥 기자가 팩트체크 안한 탓이 크다고 봅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BarryWhite 님께
2020.06.21. 21:29

공장에 대한 언급은 나올만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왜냐면 애초에 언급이 없었으니까요. 바코드가 별도로 존재하는건 마트 재포장 물품 같은것도 충분히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반례가 못 되고요. 정책에 대한 기사는 어쨌든 보도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부실한 보도자료가 있으면 부실한 기사가 나오는거죠. GIGO에서 왜 쓰레기를 투입했냐가 아니라 왜 쓰레기를 내보냈냐고 비판하는게 맞는지 전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이게 납득이 안 되니 님 표현을 빌리자면 '왜 간 보냐?' 라고 할 수는 있어야할거 같아서요.

 

다만 말씀하시는 맥락은 기자가 추가 조사를 하고 기사를 썼어야 한다고 보시는 것 아닌가 싶고, 여기에 책임이 있다는거 아닐까 싶네요. 물론 그렇게 볼 수 있다고 이해는 합니다. 그렇지만 저는 기사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은 어느정도 트레이드 오프가 가능한 영역이라고 보고요, 시장에 영향을 줄 수있는 문제에 대해 신속성 우선의 기사가 나오지 않는다면 이로 인해 순화된 표현을 쓰자면.. 가치가 변화하는 기업이 있을 수 있는데 경제지가 가만 있으면 오히려 그게 직무유기라 보네요. 당장 기기들 루머 기사가 왜 다뤄질까를 생각해보면...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넬라 님께
2020.06.21. 21:40

애초에 다뤄질 얘기가 아니란 건, 저곳이 환경부라는 점에서 동일하게 설명가능합니다.

 

공장 얘기는 번들 얘기 하셔서 설명드린 거고요. 마트 재포장 바코드는 해당 마트안에서만 쓰기 위해 자체적으로 만든거고. 공장 바코드는 해당 공장 안에서 만들었다는 뜻입니다. 그런 차이를 말씀드린 거에요.

 

그리고 부실한 보도자료가 있으면 그걸 채우는 게 기자들 일입니다. 받아쓰기 할 거면 기자란 직업 필요없죠. 실제로도 언론사들 그러는 곳도 있지만, 그냥 대학생 알바 데려다 놓고 복붙하면 되는데요. 언론 쪽에서 회원님이 말하시는 얘기들으면 상당히 창피해하고 부끄러워할 소리입니다.

 

기사의 시의성, 신속성은 그 기사가 팩트일 때나 가능한 얘기입니다. 거짓이나 왜곡의 경우 시의성과 아니, 기사 자체가 될 수 없고요. 그냥 찌라시라 불리는 루머 뿌리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신뢰가 가장 중요한 언론에서 시의성 때문에 팩트체크를 안한다? 말이 안됩니다. 속보는 자세한 내용을 쓸 시간이 없어(그만큼 일어난 사건이 중차대한 경우) 간단하게 적고 2보 3보 종합으로 나가는 거지. 앗 이거 특종감이네? 일단 체크 없이 단독 쓴다! 이거 아닙니다.

 

그리고 기기 루머들은 해당 내용이 업계의 소문, 어떤 비확실한 정보임을 출처를 통해 다 밝힙니다. ~에 따르면, ~에 의하면 그런 식으로 화자가 누군인지도 명확하게 밝히고. 정확한 사양은 언제 발표된다 라고 못도 박습니다.

 

어느 기업이든 기관이든 홍보팀 인원들은 기자들 전화 웬만하면 다 받습니다. 저런 보도자료 관련 내용에 대해 물어보면 친절하게 알려줘요. 뭔가 이상하고 궁금한게 있었고, 제대로 배운 기자라면 일단 전화걸어서 확인부터 했을 겁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BarryWhite 님께
2020.06.21. 21:55

그 부분은 애초에 최초 보도자료에 언급되지 않았었는데 그걸 읽으려면 내용이 아니라 의도를 이해해야하지 않나요? 그럴거면 보도자료가 필요가 없겠죠.

 

글쎄요. 심층적인 기사와 속도 위주의 기사는 분명 달라야합니다. 기업에 지분 투자를 하는 입장에 있다면 어떨까요. 더구나 정책처럼 강제성을 가진 주제라면요. 정확성과 신속성을 분명 맞바꿀 수 있는 부분입니다.

 

속도 위주의 기사는 분명 유용한 구석이 있어요. 그런 정보가 언제까지나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음지의 찌라시여서는 정보 격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걸 나쁘니까 없애라는건... 적어도 저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시대가 변했는데 언론에게 언제까지나처럼 모든 기사에 정확성을 요구하는게 과연 좋은 일이기만 할까요. 실제로 그것이 필요해서 읽는 사람이 타겟 중 하나일 성격의 언론에서라면 더더욱요.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BarryWhite 넬라 님께
2020.06.21. 22:42

아까 전부터 뭔가 본래 논점에서 상당히 벗어난 느낌이지만. 그래도 답변을 드리자면요.

 

보도자료는 일정 형식이 있지만, 사실 홍보라는 개념에서 무조건 적인 틀이 있는 게 아닙니다. 어떤 내용이 빠져있다고 해서 보도자료가 아니다라고 할 수는 없고요. 안에 핵심적인 내용이 있느냐, 가 선결과제고. 그 다음으로 별 다른 문의가 없어도 될 만큼 충분한 내용이 담겨 있느냐는 부차적인 요소죠. 그런 의미에서 지적하신 대로 환경부 보도는 좋은 자료는 아닙니다만, 환경부라는 특성과 이미 나온 가이드라인 등을 종합했을 때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진 않네요. 

 

보도자료의 (숨겨진)의도를 읽어야 한다까진 아니겠지만, 어쨌든 모든 글은 그 의도를 찾아내야 함은 맞죠. 환경부 보도자료의 의도는 '환경부가 재포장 금지를 주도적으로 시행함에 대한 홍보'에 있는 거고. 실제로 그렇게 나왔습니다. 빠진 내용은 아마 이전에 작성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심층적인 기사와 속도 위주의 기사가 달라야 한다는 것엔 동의합니다. 당연히 탐사보도와 일반적인 취재기사는 다를 수 밖에 없고요.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왜곡, 과장보도는 신속성이나 시의성 여부를 떠나 그냥 잘못된 겁니다. 틀린거에요. 정확성을 '일부' 틀려도 되는 건, 정말 신속해야만 하는 중차대한 사건이지(북한 미사일 2발 발사 -> 북한 미사일 1발 발사 정정 처럼). 잠시만 전화하면 상대가 기다렸다는 듯 친절하게 알려주는 홍보자료는 전혀 아닙니다.

 

일례로, 음향기업이 이어폰 보도자료를 냈는데, 응답 주파수나 저항 등의 사양이 제대로 안적혀있습니다. 그 때 기자가 대충 보도자료 내에서 사양을 유추해 멋대로 적어낸다면? 그건 확대해석이고 거짓 보도죠. 그냥 틀린 겁니다.

 

단순히 속도만 본다면 언론은 언론으로써 존재할 필요가 없습니다. 과거에도 언론사들이 찌라시를 뿌린게 아니에요. 그 반대였죠. 찌라시가 돌면, 거기에 대해 수집하고 검증을 하는 게 언론입니다.

 

언론에 정확성을 요구하지 않으면, 뭐하러 언론사 뉴스를 볼까요? 왜곡되고 과장된 내용에 대해서 문제삼지 않고, 단순히 그 오해의 주인에 대해 문제를 삼는게 당연하다면 누가 세상 일에 책임을 지려하겠습니까.

 

최근 안 그래도 가짜뉴스 얘기가 많은데, 시대가 변했다고 가짜가 진짜 되는 거 아닙니다. 가짜 뉴스를 공신력 인정을 받지 못한 SNS나 유튜브에서 보는 것도 지겹고,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회원 님이 '속도'를 중시한다고 해서 언론의 목적과 방향성을 부정할 수는 없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언론은 신속성과 정확성을 챙기기 위해 이전 부터 계속 발전해왔습니다. 주식 기사 정도는 AI가 쓰기도 합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3등 인헤리턴스
2020.06.21. 20:20

팩트체크라면서 말 바꾸는게 어려번이라..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서린
2020.06.21. 20:24

이게 사실 친환경보다도 쓰레기량이 감당이 안 돼서(처리 불가 수준에 도달 중) 시행하려던 거 같은데,

전달이 좀 이상하게 된데다 가격이 오를 거라는 믿음(?)이 전반적으로 퍼져버린 상태라 결국 재검토 방향으로 가는 듯 합니다.

사실 시행해야 되는 정책인데 말이죠..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엑시노스9820
엑시노스9820
2020.06.21. 20:36

기사가 하도 어그로 끌어서 짜증좀 나나보네요. 팩트체크까지 직접 하다니... 애초에 진작 공고한건데 시행한다니까 이제와서 짜증내는 사람들이 웃긴거죠 ㅋㅋ

[엑시노스9820]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ac
2020.06.21. 21:22

-레기-

[Ta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팝카드있으세요
팝카드있으세요
2020.06.21. 22:01

애초에 기레기가 기레기한거죠 

테이프때문에 마트에서 박스 자율포장하면 안된다고 할때부터 이미 대중이 욕할준비가 되어있으니

[팝카드있으세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2020.06.21. 22:51

왠 장문 키배가 ㄷㄷ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ㅅ't)
t('ㅅ't)
2020.06.21. 23:11

현직자: ㅋ 

 

이미 일부 할인품목 재고소요조사 하고있음

[t('ㅅ'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xcelsior
Excelsior t('ㅅ't) 님께
2020.06.21. 23:56

사우님...?

[Excelsi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xcelsior
Excelsior
2020.06.22. 00:00

1. 환경부의 대민홍보 및 소통의 부재의 재확인

 

2. 과대포장 검사는 현재 공장 출고시 확인 받지만, 도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묶음상품은 미조치 상태여서 이것을 줄이기 위한 현재의 조치

 

3. 현재 쓰레기 대란은 미해결 상태로 중국 반입 불가, 소각시설 건립 불가, 매립장 증대 현실적 어려움, 결국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됨

 

4. 온라인 마켓 부분은 인지하고 추후 법령 재정비 가능성 높음

[Excelsi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핏빛토끼
핏빛토끼
2020.06.22. 09:33

이거 재활용법이랑 그 하위법령 다 살펴보면 굉장히 애매하던데요...

 

법령이랑 보도자료랑 다 봤는데도... 환경부가 말하는게 혼돈이 옵니다.

"A를 1개 사면 1천원이지만 6개 묶음에 5천원에 팔던걸 묶어 팔지 말고 소비자가 6개 집어가면 1천원 할인해줘라. 이런 할인판매를 막지는 않는다. 우리는 단지 묶음을 막을 뿐이다."

이런 뜻인지 너무 애매모호...

 

[핏빛토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1095
핫글 너무 좋아요ㅎ [1] SeoH 00:20 11 212
핫글 올해도 동미참으로 튕겼군요 [7] file 새벽하늘 24.06.18 7 340
핫글 점점 갈수록 저질체력이 되고있네요ㅠ [2] file 쿼드쿼드 24.06.18 4 177
78617 하지(夏至) 오늘날씨, 낮최고 33도 폭염특보, 오후 곳곳 천둥번개 소나기 미세먼지 보통·좋음 뉴스봇 20.06.21 0 44
78616 문득 애플 아케이드 보다가 드는 생각 AVCD 20.06.21 0 103
78615 약먹고 자기에는 영 껄끄럽네요 Chrop 20.06.21 0 93
78614 망겜하는중입니다 [10] file Elsanna 20.06.21 0 298
78613 사진 취미로 찍는 분들은 따로 출사를 다니시는건가요? [7] 비온날흙비린내 20.06.21 0 175
78612 게임업계는 뭔가 반대로 가네요. [6] Qkooqq 20.06.21 0 359
78611 도대체 어디 세계선에서 오신건가요 [4] 바인더5CM 20.06.21 0 235
78610 세종시 한 아파트 입주자 대표, 임대 아파트 학군 비하 [8] file BarryWhite 20.06.21 0 193
78609 시설 무단이탈 해외입국자 20대 강제출국 검토 [3] BarryWhite 20.06.21 0 117
78608 저는 라오어1도 [6] sands 20.06.21 0 84
78607 YDG 딩고 킬링벌스 라이브.you BarryWhite 20.06.21 0 56
78606 여긴 대체 어디죠? [5] file Memeko 20.06.21 0 123
78605 오늘의 과학 [10] file Elsanna 20.06.21 0 187
78604 코로나 고위험시설에 방문판매·물류센터·대형학원·뷔페식당가 추가된다네요 Chrop 20.06.21 0 93
78603 여름 바지 하나 질렀슴다 [3] file Angry 20.06.21 0 180
78602 지금 당장 플로피 디스크를 꺼내세요! [11] file 권악선징 20.06.21 0 288
78601 침착맨 삼국지 1~3부.you [4] BarryWhite 20.06.21 0 306
78600 현대건설, 7조 규모 '한남3구역' 시공사 선정 [18] 서린 20.06.21 0 296
78599 자전거 사고 싶은데 [11] sands 20.06.21 0 71
재포장 금지 기사에 대한 환경부의 펙트체크 [25] file 하렌쿠우 20.06.21 0 336
78597 전공 교재의 도움을 여러모로 많이 받네요. [11] Havokrush 20.06.21 0 153
78596 냄챙의 과학 5호기.youtube [7] Havokrush 20.06.21 0 222
78595 선생님들 소파 추천 좀 해주십쇼 [17] 보거 20.06.21 0 163
78594 왜 때문에 내일 시험? [4] 범죄자호날두 20.06.21 0 142
78593 [2] Aimer 20.06.21 0 8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