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도봉순이간다

미니 결국 시장의 메이저한 방향은 고음질, 고성능이 아닌것 같아요.

항상 미래의 기기를 생각하면 지금보다 고성능, 고음질을 생각 했었거든요.

근데 결국 시장의 방향은 일정 수준이 충족되면 편리한 쪽으로 가는 것 같아요.

 

시장의 수요라고 하는게 늘상 하이엔드와 가장 많은 수요가 몰리는 구간이 있기 마련인데, 

가장 큰 수요층이 있는 쪽이 늘 모자라지 않는 정도에 있다보니 

 

기술혁신이 일어나서 훨씬 더 고성능과 고음질의 영역으로 갈 수 있음에도

그 리소스들이 사용을 편하게 하는 쪽으로 가는 것 같네요.

 

예외야 늘  있어와서 확언은 힘들겠지만

 

90년대랑 지금이랑 사람들이 듣는 음질이 달라졌을까 생각해보면

기술이야 녹음이며 장비며 리시버 플레이어 정말 말도 안되게 발전했고

고음질의 영역도 정말 다양하고 화려하게 발전했습니다만,

 

그 방향은

 

편리하게 들을 수 있는 mp3 플레이어로, 다시 스마트폰으로, 스트리밍으로.

용량을 줄여 스트리밍에 적합한 AAC 확장자로,

밖에서도 부담없이 들을 수 있는 이어폰으로, 

그리고 다시 무선이어폰으로

 

음질이라는 측면에서는 편리함을 위한 희생이 일어나고 

다시 그 영역에서의 음질보강기술이 일정 부분 만회해나가는 식으로.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도 폭넓게 적용되는 것 같아요

Fhd 에서 거의 10년은 멈칫하는 노트북 해상도,

Qhd 스마트폰이 나온지 5년이 지나도 되려 역행하는 해상도

 

매번 그 과도기에서 매니아들이 추구하는 방향들과 다른 선택들이 흥미로웠어요.

지금에서야 에어팟으로 노래 듣는게 너무 당연한 시대가 되었지만,

사실 불과 몇년 전에서 이런 기덕 사이트에서 음감을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한다는게 되게 웃음거리였잖아요.

 

요즘 크롬북과 아이패드를 쓰면서

대부분의 환경에서 pc보다 더 편하게, 다양하게 쓰고 있다보니 문득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네요.

나름 기계를 좋아한답시고 살고 있지만서도귀찮고 무겁고 관리해야 하는 제품보다

필요한 것들을 가볍고 편하게 하는 것에 더 손이가다보니.

 

횡설수설 생각나는대로 적다보니  짜임이 없긴 한데요,

아무튼 뜬금없이 엉뚱한 결론을 내려보자면....

 

앞으로의 랩톱 따위들의 방향은 ARM 운영체제, 아이패드, 크롬북이 맞다고 봅니다.

 

편하거든요!

도봉순이간다
IT를 사랑합니다.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봅니다.
댓글
19
Stellist
1등 Stellist
2020.06.21. 22:18

고성능이 방향이 아닌가......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고음질이 방향이 아닌건 맞는듯 합니다.

 

SACD, DVD-Audio 이런거 다 망해버리고 스트리밍에 코드리스 이어폰이 득세하는거 보면...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Stellist 님께
2020.06.21. 22:26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유저들이 가장 많이 택하는 것들을 생각하면요 ㅎㅎ

2020년에 판매되는 노트북의 대부분이 램이 8GB, 여전히 사무작업과 간단한 기능을 지원하는 성능이라는 점과 

주변에 아이패드를 컴퓨터처럼 쓰는 사람들이 많아지는걸 보면서, 가장 볼륨있는 유저들이 바라는게 

 

고성능 하이엔드가 아니라 어느정도의 성능에 더해지는 편리함을 향하는 것 같단 생각이 들었네요!

 

팬인데 댓글 처음 받아봐요 ㅎㅎㅎ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Chord
2020.06.21. 22:19

IT 커뮤라 arm 랩탑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 같기도 한데 저도 arm 랩탑은 시기의 문제지 확대는 무조건 될 것 같습니다 ㅋㅋ

[Chor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Chord 님께
2020.06.21. 22:57

사실 주변 대부분이 컴퓨터로 하는게 생각보다 많지가 않아서 필요한 기능들만 충족된다면 모두 자연스럽게 넘어갈거라 생각합니다 ㅎㅎ 그래서 대부분의 제조사가 죄다 이런 식의 모델을 시도하는것 같구요!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서린
3등 서린
2020.06.21. 22:28

음질이나 화질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슬슬 체감이 잘 안 되는 수준이 옵니다.

예를 들어 mp3 320kbps 음원파일과 무손실 음원파일은 비트전송률 차이가 엄청나게 나지만 실제로 음악을 들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좀 더 심리음향적으로 발전된 코덱인 AAC 등을 사용해 하이비트레이트로 인코딩할 경우 사람이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죠. 일부 차이가 느껴지는 경우는 인코딩을 잘못 했거나, 해당 사람이 고역에 매우 예민한 사람인 경우(일종의 병입니다) 정도에 불과하구요.

 

마찬가지로 화질도 옆에 두고 각잡고 비교하면 느껴지지만, 표준적인 거리에서 표준적인 시력인 사람이 사용할 경우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체감이 잘 안 됩니다. 그게 스마트폰은 QHD, 노트북은.. 개인적으로는 UHD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노트북이 FHD에서 정체되고 있는 이유는 HiDPI의 불완전성과 노트북에 들어가는 GPU의 성능한계 때문인 것 같구요.

 

성능의 경우도 최근 상향평준화되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고성능 마케팅은 힘을 잃을 가능성이 큽니다.

 

체감이 안 되는 영역에 돈을 쏟아붓는 건 기업 입장에서나 소비자 입장에서나 하등 좋을 것이 없습니다. 비용 상승은 매가 상승으로 이어지니까요. 하여튼 갈수록 이런 분야에서 차별점을 주기 쉽지 않으니 최근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그나마 체감이 되는 영역인 카메라에 힘을 쏟고 있는 모양샌데, 이것도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하면 결국 차별화가 쉽지 않을 겁니다.

 

기덕이 원하는 것과 진짜 시장 대부분의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판이하게 다릅니다. 기덕이 원하는 것은 아주 비싼 프리미엄 제품으로 내놓고, 체감이 덜한 요소들에 적당히 힘을 뺀 제품들을 주력으로 가져가는 게 정상적인 기업의 의사결정이죠.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애플과 삼성 모두 이 점을 잘 알고 있고 그에 맞게 전략을 나름대로 잘 짜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긴 기덕 사이트니까 반발이 심하겠지만요. 중급기의 가격대비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플래그십의 가격대비 매력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테니까요.

 

같은 맥락에서 저도 arm 노트북은 점점 성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서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서린 님께
2020.06.21. 23:04

저는 자연스럽게 arm노트북을 쓰는게 더 이상 불편하지도, 이상하지도 않는 세상이 곧 오지 않을까 싶어요. 실제로 주변에서는 아이패드가 노트북의 경쟁자로 거론되고 있거든요....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도 윈도우에서 dpi가 더 지원 잘됐다면 해상도가 한 급은 더 올라갈 것도 같은데, 14인치 급에 Fhd만 되도 해상도 때문에 답답한 정도는 안되니까 굳이 무리 안하는 것 같아요. 돈은 쓰고 성능은 떨어지고 효과가 덜하니까요.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NNURI
2020.06.21. 22:25

맨 마지막은 오히려 아이패드가 기적적으로 성공한 상황이라고 생각해서 좀 회의적입니다... 흑흑

[ONNUR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ONNURI 님께
2020.06.21. 22:58

아이패드가 기적적으로 성공했으니 더 희망적인거 아닌가요??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NNURI 도봉순이간다 님께
2020.06.21. 23:01

아이패드가 기적이었다고 말하고 싶은겁니다 줄이자면 ;3

[ONNUR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ONNURI 님께
2020.06.21. 23:14

미국 저가 랩탑은 이미 크롬북이 차지한 걸 보면 아이패드만의 성공이 아닌 점점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이 아닌가 생각해요. 이미 태블릿 + 키보드 + 펜슬이라는 공식이 나름 사람들에게 자리 잡았고, 아이패드의 성공이 그런 수요를 이끌어내고 감당할만한 유일한 완성형 제품이라서 더 눈에 띄는 것 같아요. 구글 크롬os, Arm윈도우(아얘 서피스 하이엔드 모델이 arm윈도우죠), Arm맥 이런 시도들도 그런 차세대를 위한  시도 같아요. 프로그램만 어느정도 받혀주면 더 이상 x86을 쓸 이유가 적어지니까요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권악선징
권악선징
2020.06.21. 23:46

미래의 대세는  펀! 쿨! 섹! 

[권악선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권악선징 님께
2020.06.23. 20:18

ㅋㅋㅋㅋㅋㅋㅋㅋ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헤페바이쎄
헤페바이쎄
2020.06.22. 08:41

인류의 발전 흐름이 다 똑같지 않나 싶습니다.

손빨래가 더 깨끗해질 수 있다는걸 알지만 다 세탁기를 쓰고

유선이어폰이 더 음질 좋은걸 알지만 다 코드리스를 쓰고

야스가 가장 좋은 해소 방법이지만 다들 저마다의 방법으로 푸는 등등

기술과 인문의 발전이 만들어낸 일부이겟거니... 합니당

 

전.. ARM보단 인텔이 만들어낼 기적을 믿고싶습ㅈ니다

[헤페바이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헤페바이쎄 님께
2020.06.23. 20:19

20년 전이랑 지금이랑 사람들이 듣고있는 음질에 큰 차이가 없는게 재밌어요 ㅎㅎ

저는 ARM을 믿습니다 ㅎㅎㅎㅎ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신개념
신개념
2020.06.22. 11:20

사실상 귀차니즘이 세상을 발전시켰다고봐도 무방하죠ㅋㅋ

[신개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신개념 님께
2020.06.23. 20:19

ㅋㅋㅋ맞습니다 ㅎㅎㅎㅎ 흥미롭네요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전문가
전문가
2020.06.22. 20:49

대중의 니즈는 거의 정확하다고봅니다. 체감이 안되는 영역이면 거의 돈을 안쓰죠

[전문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봉순이간다
글쓴이
도봉순이간다 전문가 님께
2020.06.23. 20:19

맞습니다 이런 변화에 바뀔 새로운 사회가 기대되네요

[도봉순이간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도봉순이간다 님께
2020.06.23. 20:19
도봉순이간다 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101 13
핫글 미니 요즘 iOS macOS 보면 선개통 후완공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15] update Terrapin 24.06.17 1303 16
핫글 미니 Qualcomm Stepdragon ㄷㄷ [5] updatefile Alternative 07:20 885 5
핫글 미니 Termux 근황 [1] updatefile 흡혈귀왕 01:58 503 4
57051 미니 아이폰 램 넉넉하게 넣어주는 날 vs 통화녹음 vs 애플페이 [21] 비온날흙비린내 20.07.03 445 0
57050 미니 갤워치 lte 모델은 인기가 없는걸까요? [4] Alvernon 20.07.03 228 0
57049 미니 삼성이 4nm 건너뛰고 바로 3nm로 간다고 하네요 [18] 으냥 20.07.03 599 0
57048 미니 크트 리패키징 괜찮네요 ㄷㄷㄷ [2] file 여가어딥미코 20.07.03 795 0
57047 미니 ios14 베타 [3] 호롤룰루 20.07.03 361 0
57046 미니 맥북에어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또하나의가족Gamsung 20.07.03 194 0
57045 미니 삼성 코로나 방지 항균코팅 관련 폰 케이스 기사가 있네요 [2] AGRS 20.07.03 381 0
57044 미니 노트20 울트라와 아이폰12 프로 [25] file 으냥 20.07.03 901 0
57043 미니 삼성 코로나 방지 항균 코팅 폰 케이스 출시 예정 [6] 슈갤럼 20.07.03 563 0
57042 미니 의외로 5G 요금제는 KT가 제일 사악하네요 [8] aleji 20.07.03 515 0
57041 미니 미코최강대전//둘 중에 하나밖에 없다면 선생님의 선택은? [11] 헤페바이쎄 20.07.03 253 0
57040 미니 RX100 사느니 그냥 A6400 번들킷이나 살까봐요 [5] file 비온날흙비린내 20.07.03 332 0
57039 미니 미코최강대전//선생님이 생각하는 최고의 코드리스 이어폰은? [9] 헤페바이쎄 20.07.03 339 0
57038 미니 S20 BTS에디션 101만원대까지 나오네요ㄷㄷ [6] file 쿼드쿼드 20.07.03 591 0
57037 미니 애플페이 행복회로가 돌아갑니다 ㅎㅎ [31] file riversky1 20.07.03 858 0
57036 미니 Dbrand 고객서비스가 좋군요. [7] Stellist 20.07.03 363 0
57035 미니 네스트 허브 국내 판매하나보네요 [1] 직딩이 20.07.03 225 0
57034 미니 슈어 mv88+ 마이크 좋네요 ㄹㅇ [1] file 방구석지름병환자 20.07.03 218 0
57033 미니 에어 vs 프로 [13] 박9 20.07.03 479 0
57032 미니 Gs25 U+알뜰모바일의 새로나온 무한요금제..jpg [14] file 스퀴니 20.07.03 692 0
57031 미니 지금이 스마트워치 사기도 참 애매한 시기로군요... [3] Stellist 20.07.03 283 0
57030 미니 s10e 보증기간 지나고 액정 무상수리 받았습니다 [8] 탁스 20.07.03 623 0
57029 미니 오늘 플립 미러골드 사러가는데 졸부느낌 날까요? [2] 가시멜로관 20.07.03 349 0
57028 미니 1/1.8~1/1.7인치 센서 탑재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들.... file 흡혈귀왕 20.07.03 404 0
57027 미니 오호? z플립 스킨이벤트하네요? [3] file 시아 20.07.03 460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