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딸기따알기

미니 마이크로소프트가 ARM으로 넘어가야 할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미코에서 계속 ARM 이랑 관련된 글이 올라오는데,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ARM으로 넘어가야 할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어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애플이야 ARM 프로세서로 생태계 통합을 위해서 그런다고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ARM으로 넘어갈 이유가 하나도 없는 것 같은데

 

ARM 호환 뭐 이런건 신경 쓸 필요가 없는 부분이 아닌건지요??

댓글
23
best 1등 갤폴드를쓰는겁니다
2020.06.24. 21:33

공감합니다.

왜 "넘어가야한다"라는 말이 나오는지 이해가 전혀 안되요.

호환성을 올리고 ARM이라서 안되는 상황이 없도록 하는건 이해가 되고 공감하겠는데 말이죠

[갤폴드를쓰는겁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갤폴드를쓰는겁니다 님께
2020.06.24. 21:36

X86이랑 ARM 이랑 차이는 제가 잘 모르지만, 일단 그 동안 X86 잘 써왔고 ARM이 X86을 압도하는 뭔가가 있어보이지는 않는데, 굳이 윈도우가 넘어가야 하는 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2등 인헤리턴스
2020.06.24. 21:34

저도 글케 생각합니다. 그냥 애플이 하는데 너넨 왜 안해? 이런 느낌... 경우가 다른데 말이져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인헤리턴스 님께
2020.06.24. 21:36

네.. 애플은 독자적인 생태계를 좀 만드는 기업이다 보니 이해하는데 마소는..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캬)
3등 (캬)
2020.06.24. 21:38

생태계 문제와 연관이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이 보편화되면 필연적으로 디바이스간 연동-호환 문제를 염두해야하는데, 아무래도 소규모 자원을 이용하고, 개방적인 OS플랫폼을 이용할 소형 디바이스들이 x86을 쓸 가능성은 낮으니까요. 언젠가 다가올 미래이기 때문에 마소도 이 부분에 대해선 확실히 준비를 해야겠죠. 쨋든 ARM에 투자를 한다고 x86 자원이 망하는건 아니니...

[(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캬) 님께
2020.06.24. 21:38

그 때는 X86을 버려야 하는 시대가 되는건가요??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딸기따알기 님께
2020.06.24. 21:38
딸기따알기 님, 9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캬)
(캬) 딸기따알기 님께
2020.06.24. 21:42

ARM을 개발한다고 x86을 버리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때도 x86이 필요한 분야가 있겠죠. 

[(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ord
2020.06.24. 21:38

ARM으로 가면 넉넉한 배터리 사용시간, 낮은 발열, 고성능 같은 이야기들이 나오는걸 보면 그런 쪽의 기대감이 커서 그렇지 않을까염

[Chor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Chord 님께
2020.06.24. 21:39

X86이랑 ARM 차이는 제가 잘 모르다보니 ㅠㅠ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야와키사쿠라
미야와키사쿠라
2020.06.24. 21:39

계속해서 질질끈다음에 10년뒤에 에져기반의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넘어가는건...?

[미야와키사쿠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미야와키사쿠라 님께
2020.06.24. 21:41

와...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uBisCO
RuBisCO
2020.06.24. 21:40

안그러면 인텔이 끼얹는 똥물을 계속 뒤집어 써야 할테니까요. 이미 PC 폼팩터에서 유일하게 성장하던 디태쳐블조차도 인텔이 거기 합당한 하드웨어를 만들어주지 못하면서 완전히 고꾸라졌습니다. 선택지를 늘리지 않으면 계속 발목이 묶여있을 수 밖에요.

[RuBisC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RuBisCO 님께
2020.06.24. 21:41

AMD 없었으면 아직 4C8T... 끔찍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RuBisCO 님께
2020.06.24. 21:42

아무리 그래도 인텔이 CPU를 만들던 경력이 있는데, 한 순간에 이렇게 무너질 정도일지..ㅠ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RMCC
ARMCC 딸기따알기 님께
2020.06.25. 00:31

전환기에는 기존의 경험과 경력이 오히려 발목을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스로가 잘한다고 생각한 나머지 다른 방법으로 해볼 생각을 안하고는 하죠. 

[ARM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야와키사쿠라
미야와키사쿠라
2020.06.24. 21:42

근데 ARM으로 안 넘어가면 1차적으로 피보는건 HW제조사라서 굳이 크게 안 투자하는거 아닐까요?

[미야와키사쿠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ri
best Eri
2020.06.24. 21:49

우선 X86 프로세서의 발전 정체가 있습니다. 요 몇년간 아키텍쳐 단에서도 큰 개선 없이 지지부진 했고 몇년간 공정 변화도 없이 클럭 쥐어짜기를 통한 성능 향상으로 발열과 전력 소모가 상당해졌습니다. 아이스레이크의 경우 10nm 공정이 14nm만큼 클럭을 확보하지 못해 코멧 레이크와 큰 성능 차이를 못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나마 고무적인건 GPU는 꾸준히 좋아지고 있다는 점.

 

ARM 프로세서는 현재 컴퓨팅 트렌드에 있어서 훨씬 유리합니다.

기본적으로 x86 프로세서보다 ARM 프로세서가 보드 면적도 작으며, 발열과 전력 소모량도 작을 뿐더러, 셀룰러 원칩까지 가능합니다. 

BYOD 시대로 인해 기업에서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Client에 모든 걸 하기 보다는, 클라우드에 세팅을 하고 VDI를 통해 업무 환경을 꾸미는 쪽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ARM 프로세서라도 성능이 심각하게 부족하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ARM 프로세서는 X86 대비 더 오래 가는 배터리와 얇고 가벼운 폼팩터, 그리고 셀룰러 지원까지 도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이후로 재택 근무가 반강제적?으로 도입되고 있는데 이때 가정에서 업무 환경을 구축할때 네이티브로 하기에는 고려해야할 보안 사항이 많기 때문에 VDI가 더 각광받고 있습니다. 

[Er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Eri 님께
2020.06.24. 21:48

와..... 엄청난 지식이네요...감사합니다....ㄷㄷㄷ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김뉴비
김뉴비
2020.06.24. 21:55

사실 이런 글에는 뭐라 말씀드려야 할 지 모르겠어요.

 

"내가 필요 없으니 필요 없는거다" 라고밖에 느껴지지가 않네요.

[김뉴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에카
best 에카
2020.06.24. 22:05

마소는 ARM 호환성을 확보하면 더 다양한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어서 '넘어간다'라기 보다 '확대한다'의 개념으로 보시는게 맞을것같아요.

 

[에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따알기
글쓴이
딸기따알기 에카 님께
2020.06.24. 22:08

감사합니다

[딸기따알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41 13
핫글 미니 S24 사진 잘 나오네요 [14] file 꿈을넘어서 24.06.24 989 15
핫글 미니 갤럭시에서 렌즈선택되는 서드파티 카메라앱이 나왔습니다?? [7] file Stellist 24.06.24 956 11
핫글 미니 iOS18 어두운 아이콘 예쁘기는 한데 [4] file Alternative 09:14 481 9
76530 미니 폴드3 oneui 5.1 큰 변경점? file 은퇴얼리 23.03.11 649 8
76529 미니 90도 C타입 to C타입 0.2~0.25m 구하기가 힘드네요 [4] 흡혈귀왕 23.04.22 649 0
76528 미니 엑시가 살아남길 바래야죠 [5] [성공]함께크는성장 23.05.01 649 9
76527 미니 스냅드래곤8cx Gen4 탑재 제품은 오피셜상 내년 출시군요... [1] 흡혈귀왕 23.05.31 649 5
76526 미니 운수 좋은날(램오버) [5] file 몽구스 23.06.01 649 10
76525 미니 ARMv8 Cortex-A78 vs RISC-V P670 [9] file 흡혈귀왕 23.06.02 649 1
76524 미니 3년만에 갤럭시홈미니를 사용해보네요. [3] 걸리면하이킥 23.06.19 649 0
76523 미니 제가 사과 쓰는 이유는 액세서리 때문입니다. [6] Terrapin 23.07.02 649 4
76522 미니 폴드5 가격은 사실상 동결인가 싶군여... [2] 완벽한무선충전 23.07.27 649 0
76521 미니 플립5 막차타긴 했는데... 생각이 많아집니다 [7] 폴드WithSpen 23.08.08 649 3
76520 미니 장난감 사왔슈 [7] file 딸기가빠졌잖아 23.08.23 649 8
76519 미니 애플워치9 핑크색상 끌리는군요.. [2] file Serian 23.09.13 649 1
76518 미니 언리얼 엔진으로 만든 경회루 [1] HSC 23.10.12 649 2
76517 미니 그냥 리브랜딩 말고 [1] 프로놈팡이 23.10.26 649 2
76516 미니 pps(25w) 지원하는 소형 보조배터리는 삼성제밖에 없을까요? [3] 솔베르 23.10.29 649 0
76515 미니 메이주21 주목할 부분... [4] 흡혈귀왕 23.11.30 649 4
76514 미니 잡담: 7s Gen 2 (4LPX) 긱벤치6 = 778G [2] Section31 23.12.01 649 1
76513 미니 잡담: 인텔 코어 울트라 9 185H 긱벤치6 [3] Section31 23.12.04 649 1
76512 미니 Beeper Mini 설치해서 7일 테스트 등록했습니다.. [7] 스퀴니 23.12.06 649 2
76511 미니 ios17.2 일기 앱은 진짜 뭐 없네요 [8] file mong 23.12.08 649 5
76510 미니 부모님 폰 앱설치가.. [19] file 전문가 23.12.13 649 1
76509 미니 루머: (웨이보) DCS, 미디어텍 디멘시티 9400 관련 [4] Section31 23.12.16 649 2
76508 미니 요즘의 난장판을 보면 PC가 윈텔체제로 깔끔하게 통합되었던게 참 놀랍습니다. RuBisCO 23.12.30 649 1
76507 미니 퀵세어 풀린거 같긴합니다. [5] file a1001 24.01.27 649 0
76506 미니 루머] D9400 벤치 점수? [7] file 좌지우건 24.01.28 649 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