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HM1 센서 개선은 없습니당....

HM1 센서 개선할 시간에

아마 후속 센서를 개발해서 기존 문제들을 픽스할겁니다 ㅡㅡㅋ

 

 

"3D iToF 빠졌으니 센서 단에서 AF 개선된거 아니냐?"란 소리가 나올수있지만

이미 레이저AF가 탑재된 상태에서 그건 아닙니다...

 

전에도 언급했지만

둘이 약간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IR센서로 빛을 쏴서 물체를 트래킹한다는

방식은 동일합니다.

 

 

둘의 차이를 비교하면

 

3D iToF :

빛을 쏠때 넓게 확산해서 쏘는 방식, 넓은 시야각 확보 가능, 단 파워가 약함

 

레이저AF :

빛을 쏠때 집중해서 핀포인트식으로 쏘는 방식, 파워가 강하나 시야각이 좁음

 

 

 

입니다.

 

텍스트로 봤을때 "저게 뭔 소리냐?"라고 하실수도 있어서

 

간단하게 그림으로 비교하면

 

ToF LAF.png

 

이런 느낌이라고 보면됩니다.

 

 

빛을 넓고 은은하게 쏘는 만큼 가까이는 사물 트래킹하기엔 3D iToF가 좋고

빛을 얇고 강하게 쏘는 만큼 사거리가 있거나 야간 같은 곳에선 레이저AF가 좋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근접에선 오히려 넓게쏘는 3D iToF가 더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레이저AF 달린 일부 폰들보면 빛이 닿지않으면 AF를 못잡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레이저AF와 비슷한 IR센서 방식을 가진게 바로

3D dToF로 분류되는 라이다 센서입니다.

 

 

 

 

사물을 트래킹할때 저렇게 핀포인트 형태로 레이저를 쏴서 하는 방식으로

 

3D dToF 역시 3D iToF 대비

빛을 얇고 강하게 쏩니다.

 

번외적으로 3D dToF 단가가 3D iToF보다 더 비쌉니다 ㅡㅡㅋ

애플은 겁내 좋은거 탑재하고있다는 소리죠 ㅎㅎ

 

 

 

결국 빙우주냥반이 이야기한 108MP HM1 센서 AF개선은

센서 자체 알고리즘 개선이 아닌(저어어얼대 아님)

레이저AF를 통한 보강 개선입니다.

 

그럼 여기서 의문이 들겁니다.

 

 

"삼성은 기존에 잘 튜닝한 3D iToF 버리고 왜 레이저AF 쓰는거냐??"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원가 절감크리입니다.....ㅡㅡa

 

 

레이저AF가 모듈 사이즈가 더 작고 단가도 싸기 때문인거죠...

삼성의 경우 작년부터 최상위 플래그십에 3D iToF를 탑재했지만

심도 카메라 외에 여전히 어떻게 활용할지 갈피를 못잡고 있는 상황인듯합니다.

 

S20 울트라야

탑재됬던 108MP HM1 센서 AF에 하자가 있으니 3D iToF로

보강하는식으로 쓰이지만 그거외엔 이렇다하게 이용하지 못하고있으니

 

원가절감할겸 레이저AF 솔루션으로 대체했을겁니다.

 

 

제가볼땐 삼성의 경우 애플이 어느정도 라이다 센서로 AR콘텐츠들

판깔아놓으면 S22U쯤 되서야 3D iToF를 다시 탑재하지않을까 하네요....

 

그전까지 듀얼PD 센서가 아닌

고화소 위상차AF는 필연적으로 레이저AF 같은 AF보강하는 솔루션이 무조건 필수일겁니다.

 

 

어쨋든 레이저AF 탑재된 노트20 울트라의 경우

야간 저조도 한정으로 AF가 S20 울트라보다 "나을 수도" 있을거같네요.

빛을 강하게 길게 쏠테니깐요....

 

근데 사실 센서 자체 AF 알고리즘 문제가 있으면

3D iToF든 레이저AF든 그 할애비가 와도 완벽한 해결은 아니고

레알 보강하는 수준밖에 안될겁니다.

 

108MP HM1 센서의 AF 이슈는 다른 고화소 위상차AF 센서들처럼

속도가 느린게 아니라 AF를 못잡는 이슈인지라 전혀 다른차원의 문제지요.....

 

 

아마 이건 루머로 나오는 예의 108MP HM2 센서에서

수정이되지 않을까 싶네요.

 

해당 센서의 경우

 

- AF 알고리즘 픽스, 못잡는 이슈 개선

- 노나셀 알고리즘 픽스 화질 개선

- 픽셀피치 0.7um 개선, 모듈 최소화 

 

등등 개선이 주가되지않을까 싶습니다.

 

HM1 센서가 AF를 바보처럼 못잡는 이슈를 개선하여 속도는 느리지만

(모든 고화소 위상차AF 센서들이 다 AF 속도가 느림)

 

대신 레이저AF나 3D iToF 같은거랑 조합시 전혀 문제없는 수준으로

AF 속도 구현이 가능하게 될것이고

 

원래 목표시 달성실패했던 노나셀 화질을 개선하고

0.7um의 픽셀피치로 개선하여 렌즈 모듈을 최소화하는게 주 개선점일듯하네요 

(계산해보면 대충 1/1.5인치 사이즈 나옴)

 

저게 S21U 같은데 달리진 않을테고

아마 샤오미나 중국업체에서 쓸 가능성이 높겠죠....

 

 

마지막으로 나오겠죠

 

"왜 문제있는 센서를 또 쓰냐? 말이되냐?"

 

이미 보강 솔루션을 통해 문제없어 보이게 만들었는데

당연히 쓰는것이죠 당장 S20 울트라만봐도 업뎃 이후 AF가 하자있다라고

주장하는 유튜버들은 없습니다.

 

 

애초에 듀얼PD가 아닌이상 AF는 한계가 명확합니다.

만약 HM1 센서 AF 개선된 리비전 센서가 나온다면 레이저AF도 달릴 일 조차없습니다.

 

 

 

 

<정리>

1. 108MP HM1 센서 개선따윈 없음 (그거 개선할 시간에 새로운 후속 센서 만듬)

2. 3D iToF 대신 달리는 레이저AF로 AF보강한거임

3. 3D iToF 방식의 IR센서와 레이저AF IR센서는 각각 장단점이 있음

4. 레이저AF가 시야각은 좁더라도 빛을 강하게 쏴서 근접이 아닌 야간에선 좀더 나을지도???

5. 센서 자체 AF 알고리즘에 문제가있으면 3D iToF든 레이저AF든 결국 보강 수준 

6. 108MP 제대로 개선된 센서는 아마 HM2 센서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23
갤럭시S20존버
1등 갤럭시S20존버
2020.06.30. 17:24

결론=갤럭시S1울트라or갤럭시노트21 or 갤럭시폴드3 존버가 정배라는거죠?

[갤럭시S20존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맛치킨
2등 딸기맛치킨
2020.06.30. 17:28

결론 = 모든것이 다 개선되고 다시 ToF센서를 사용하고 RDNA 탑재가 유력한 s22 울트라를 구입하십시오

[딸기맛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딸기맛치킨 님께
2020.06.30. 17:30

S22 시리즈는 기대되긴하네용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뱡카
2020.06.30. 17:29

200만원 하더라도 플래그쉽에는 모든거 다 때려넣지 삼성도 참...

[뱡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뱡카 님께
2020.06.30. 17:29

저도 그냥 3D ToF 넣었는게 좋았다고 봅니다....

S21 시리즈에도 빠지더라도 S22엔 분명 필연적으로 다시 들어갈듯한;;;;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두유
두유 뱡카 님께
2020.06.30. 17:37

사바사고 여러 의견이 있지만 LCD, FHD, 충전기 빼도 가격 내리는게 좋다고 하시는 분도 있더라구요

[두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보거
보거
2020.06.30. 17:37

깔끔한 정리 추천드립니다. 시원하네요 ㅋㅋㅋ

 

요즘 원가절감 움직임이 너무 노골적인게 좀 그렇네요 ㅠㅠ 플래그쉽인데 오히려 가격에 맞는 품질을 보여줘야 하거늘... 그냥 절감행 ㅠ

 

LAF가 야간에선 좀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는 있어도, 굳이 쓰던 iToF를 뺀건 조금 아쉬운 결정이네요. 이미 튜닝도 다해놓고 결국 TM로의 원가절감..

[보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보거 님께
2020.06.30. 17:33

레이저AF가 야간에선 좀더 나은 모습 보여주길 기대해봐야겠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야와키사쿠라
미야와키사쿠라
2020.06.30. 17:34

TOF하고 LASER하고 동시에 넣지는 않겠죠...?

[미야와키사쿠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맛치킨
딸기맛치킨 미야와키사쿠라 님께
2020.06.30. 17:37

굳이 두개 넣어서 얻는 이득과 장점보다

원가에서 발생하는 손해가 더 커서 그럴일은 없죠.

소프트웨어로 제어하기도 힘들구요.

거기다 둘다 적외선 파장이라 간섭현상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딸기맛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미야와키사쿠라 님께
2020.06.30. 17:37

굉장히 비효울적인 방법입니다 ㅋㅋㅋ

 

 

Ah!!

3D dToF가 동시 넣은거라고 볼수있겠네요 ㅡㅡ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미야와키사쿠라 님께
2020.06.30. 17:46

S20U에 달린거보다 성능 개선된 3D iToF 정도는 달릴수있지않을까 싶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야와키사쿠라
미야와키사쿠라 흡혈귀왕 님께
2020.06.30. 17:48

센서자체가 개선되고 iToF 달리는거면 울트라처럼 욕먹진않엤네요

[미야와키사쿠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레제르바
2020.06.30. 18:29

지금 생각해도 울트라는 정말 왜그랬지 싶네요

[레제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레제르바 님께
2020.06.30. 18:31

3D iToF로 튜닝할 시간이 좀 부족했던듯합니다.

 

최초 개선방향을 아마 센서 알고리즘단에서

AF를 고치려다보니 시간 허비한 탓이 있을듯하네요...

 

한마디로 S20 울트라는 3D iToF 안달렸으면

레알 캐망했을겁니다 ㅋㅋㅋ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레제르바 흡혈귀왕 님께
2020.06.30. 18:34

타사도 그럼 순수 108 센서만을 쓰는게 아니라 레이저AF나 ToF 센서로 보강하는거라고 보면 되는거겠죠? 카메라로 가장 말이 많았던 폰은 울트라가 살면서 거의 처음이네요

[레제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레제르바 님께
2020.06.30. 18:43

일단 48MP 이상 고화소 위상차AF 센서들 보면

레이저AF가 달려서 나옵니다.

 

고화소 특성상 AF가 좀 굼뜨더군요.

특히나 48MP/64MP 위상차AF 센서 달린 중급기 폰들중

레이저AF 안달린 애들이 대부분인데

 

DXO 점수보면 AF항목 점수가 80~92점으로 굉장히 낮습니다.

레이저AF 달린애들부터 97~99점하구요...

 

근데 108MP HM1 센서는 AF 속도가 문제가 아니라

사실 AF를 잡아야하는데 못잡는 이슈라서 기존 고화소 위상차AF

센서들이 있던 속도 문제랑은 별개의 문제일겁니다.

 

같은 108MP 센서인 HMX랑 108MP HM1을

레이저AF나 3D iToF가 없는 순수 센서 자체 AF 알고리즘으로

비교시 HMX 쪽이 더 잘잡을겁니다.

 

S20 울트라의 경우 3D iToF로 문제없는 수준까지 만든거고

노트20 울트라는 레이저AF로 대체해서 문제 없는 수준으로 구현할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레제르바 흡혈귀왕 님께
2020.06.30. 18:45

그러면 울트라의 경우는 처음부터 어딘가에 문제가 있었다는거라고 보면 되겠군요..일단 앞으로 같은 문제는 없을태니 다행이네요

[레제르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레제르바 님께
2020.06.30. 18:47

아마 노나셀 첫 도입하면서 좀 실수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HMX는 테트라셀이니....

 

내년 108MP 센서부턴 아마 문제는 없을듯합니다.

그냥 고화소 위상차AF의 AF속도 굼뜸 정도일듯하네요...

 

이런 경우는 레이저AF나 3D iToF 조합시 완벽히

해결되니 문제없겠죵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야생의피카츄
야생의피카츄
2020.06.30. 18:34

내년 갤21은 카메라 품질 행복회로 돌려도 괜찮겠읍니까?

[야생의피카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야생의피카츄 님께
2020.06.30. 18:44

아마 하드웨어단 하자는 없을거라고 봅니다.

뭔가 좀 자린고비짓(?)을 할거같긴한데...그래도

뭐가잘안되네 되네식의 시끄러움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강약중강약
강약중강약
2020.06.30. 18:51

잘 보았읍니다

famous korean geek

[강약중강약]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강약중강약 님께
2020.06.30. 18:52

걍 잉여 범인일뿐입니다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284 13
핫글 미니 한국에서 스냅드래곤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10] 엔당이희망입니다 01:03 1452 17
핫글 미니 일단 마음의 준비는 좀 해야겠습니다. [34] 흡혈귀왕 24.06.19 1676 12
핫글 미니 제가 볼 때 One UI 6.1 기본 폰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17] updatefile 미붕붕드링크 13:14 664 10
66556 미니 노트20 잠망경 조리개값은 F3.0 정도로 낮아질듯 한데 [2] 액티브r 20.07.10 509 0
66555 미니 iOS 페이스북 SDK 때문에 배그 대회가 터졌네요 [5] 방구석지름병환자 20.07.10 646 0
66554 미니 aorus 17x yb w10p 리뷰(벤치점수좀 봐주세요) [15] file jangon 20.07.10 334 1
66553 미니 지금 덱스는 거의 포기상태인가요? [12] ktky12 20.07.10 1393 0
66552 미니 왔습니다 [2] file ssssy 20.07.10 493 0
66551 미니 v40 진동 느낌좋네요 [3] 긴닉네임2002250504 20.07.10 407 0
66550 미니 IOS 앱 튕김 이슈 있네요 [10] S20울트라짱 20.07.10 540 0
66549 미니 사이트 들어가니 이런게 뜨는군요 [3] file Chrop 20.07.10 657 0
66548 미니 갤럭시 탭 A 10.5 (2018) 안드로이드 10 올라갔군요. [4] file 기변증 20.07.10 352 0
66547 미니 서피스 듀오 with Pen.jpg [2] 스퀴니 20.07.10 669 0
66546 미니 갤럭시 버즈+ 비밀 쿠폰 날아왔네요. [12] file 전설의고양이 20.07.10 918 0
66545 미니 아이패드에서 아이폰 배터리를 확인할 수 없을까요? [1] 핑퐝퐁 20.07.10 246 0
66544 미니 10V 11.6A...jpg [10] 스퀴니 20.07.10 566 0
66543 미니 오늘자 S20U 노을사진 [8] file 감자해커 20.07.10 756 5
66542 미니 와 Linus Tech Tips에서 딥페이크로 리뷰영상 만들기에 도전했네요. [3] Stellist 20.07.10 605 0
66541 미니 버즈 크래들 구매했읍니다.jpg [11] file Havokrush 20.07.10 741 1
66540 미니 코퍼 성애자 [13] file Thomasp5675 20.07.10 865 0
66539 미니 금일의 초시대 [3] file aleji 20.07.10 446 1
66538 미니 쿠팡에서 아이폰se2 40만원인가 보네요 [9] file 범죄자호날두 20.07.10 903 1
66537 미니 오늘의 벨벳샷.jpg [6] file 스퀴니 20.07.10 747 2
66536 미니 샀슈.jpg [19] file 프라페노 20.07.10 915 11
66535 미니 버즈 라이브는 커널과 오픈형을 넘나드는 제품이 될거 같네요 [1] Thomasp5675 20.07.10 405 0
66534 미니 탭칠 카메라 위치는 특이하네요 [9] Terrapin 20.07.10 522 0
66533 미니 아이폰 120hz는 국내발 기사 아니면 [2] 애플팀쿡 20.07.10 587 0
66532 미니 [pic] 갤럭시 버즈 라이브 사이즈가 어떻게 될까요? [10] file Stellist 20.07.10 2333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