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WayBack

미니 QLC 페이퍼 수명 믿으면 안되는게요..

  • WayBack
  • 조회 수 1909
  • 2020.07.01. 00:32

그게 좋으면 삼성의 840 EVO도 튼튼하게 잘 남아있어야죠. 그 SSD도 수명은 어마어마합니다.

문제는 속도와 Data Retention이 문제겠죠.

 

QLC의 문제는 일단 캐시 영역만 넘어가면 HDD 보다도 느린 속도가 나올 거에요.

NVMe 기준 100MB/s였고 SATA 기준 50이었나... 그 수준이었던 걸로 기억하고

 

QLC로 갈 수록 MLC, TLC 보다 전체 셀 다시 써주는 작업이 더 자주 진행이 될텐데

아마 전원 오랫동안 안 넣고 간헐적으로 외장식으로 쓸 거면 저는 진짜 비추합니다.

WayBack
Remember 416
일본불매/NO JAPAN

MacBook Pro Early 2015 13"
iPhone 11 White
Mac Pro 2019
iPad Pro 12.9 Space Grey (2021, M1)
AirPods Pro (2nd generation)
MacBook Pro 14" Silver (M2 Max)
iPhone 15 Pro Natural Titanium
댓글
31
ㅁㅂㅁ
1등 ㅁㅂㅁ
2020.07.01. 00:43

제가 4테라하드 통채로 ssd로 카피했는데 하드속도가 병목이었습니다 

그리고 캐시 지나가면 속도 느려지는건 모든 Ssd 공통이에요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0:46

당연히 SLC 캐시 때문에 빠른거지요. QLC SSD는 일단 용량 꽤 차면 캐시 돌릴 부분이 적어서 속도 어마어마하게 느립니다.

 

그리고 공통이긴 하지만, 860 QVO 기준 거의 50MB/s 수준이라서 꺼림직하네요. 게다가 QLC의 보존력도 아직 검증도 안 되었고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WayBack 님께
2020.07.01. 00:48

그러니까 4테라 통채로 백업했다니까요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0:49

그 말인 즉슨, 4TB 정도의 데이터를 가득 채운 HDD를 4TB의 860 QVO에 가득 채웠다는 말씀이신 거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WayBack 님께
2020.07.01. 00:49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0:51

860 QVO 자체 테스트 결과 그렇게 나올리가 없을텐데요..; 마이크론 P1, 인텔 660P도 마찬가지지만 이건 NVMe라 용량 꽤 차면 100MB/s 정도 까지는 나와줬는데, 4TB 가득 채웠는데도 풀 속도가 나왔다고요...? 분명히 전송 중 후반부에 속도 많이 떨어졌을텐데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WayBack 님께
2020.07.01. 00:54

장시간 지속쓰기 이야기 하는데 캐시는 애초에 상관없고 저장용량 일부를 캐시로 쓰는 것두 아니고

Nvme이건 sata건 의미없는데요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1:25

일부를 정해서 쓰는 건 예전에 그랬고 지금은 빈 용량 알아서 활용하는 시대입니다. TLC도 마찬가지였지만, QLC로 와서 그게 뒤바뀔리는 없고, 네이버에 SSD 카페나 860 QVO나 P1, 660P 더티 테스트 진행하신 분들 데이터 꽤 있습니다. 그냥 SLC 캐시할 수 있는 용량 자체가 마땅치 않으면 HDD 보다도 못한 속도가 나와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deux11
2020.07.01. 01:00

실사용 해본 입장에서는, hdd를 대체할 대용량 스토리지로 속도나 수명(은 좀 검증될 여지가 있긴 해도.)은 충분히 만족스러운데, 제일 큰 문제는 가격이라 생각됩니다. tlc보다 조금 싼 정도가 아니고 hdd보다 조금 비싼 정도까지 내려가야 되지 않나 싶어요.

 

[deux1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deux11 님께
2020.07.01. 01:01

수명은 검증이 필요하다는 거에 공감합니다. HDD 보다 살짝 비싸도 일단 검증이 되야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eux11 WayBack 님께
2020.07.01. 01:22

근데 검증 여부를 떠나서 qlc를 cold storage로 쓰라고 하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한번 쓰고 보관하는 archiving 용도를 제외한다면, 즉 대다수 일반 유저들의 용도인 게임 로딩이나 엔터테인먼트용으로는 hdd를 대체하고도 남습니다. 가격만 지금의 절반수준으로 싸진다면요.

[deux1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deux11 님께
2020.07.01. 01:35

한 번 쓰고 보관하는 아카이빙 용도로는 더욱 안 되죠. 오래 보관하고 나중에 읽었을 때 데이터 날아갈 수도..; 그런 건 HDD나 Tape 써야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3등 ㅁㅂㅁ
2020.07.01. 01:00

쓰기속도 느린 QLC셀을 캐시로 쓸 하등의 이유가 없는데요 무슨 말씀하시는건지 전혀 이해가 안갑니다

그리고 캐시용량 넘어가는 대용량 카피시 속도가 충분히 잘 나왔다니까요

적어도 하드보다 느리지는 않았습니다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WayBack 님께
2020.07.01. 01:11

아니 비현실적인 쓰기 더티테스트시 속도 느려진다고 실사용시 느려질리가 없잖아요

애초에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는게 대용량 QLC SSD인데요 -_-;;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1:14

저게 비현실적일리가요. 80% 까지 최대한 많이 채운 건데요. 그리고 QLC SSD는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는 게 더 위험합니다. 저장할 거면 차라리 HDD가 나아요. QLC로 와서 에러도 더 많이 발생할 거고 컨트롤러는 아마 더 바쁘겠죠. 전원 들어왔을 때 리프레시도 더 많이 해줄 거고.. (리프레시도 여유 공간이 있어야..) 대대적인 내구성 개선 없으면 아마 3D TLC의 아성을 넘지는 못할 겁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ㅁㅂㅁ 님께
2020.07.01. 01:16

아니 더티 라이트 테스트 자체가 비현실적이라구요

그리고 저장할 거면 HDD가 낫다라.. 죄송하지만 HDD는 앞으로 줘도 안쓰려고 합니다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1:18

더티 테스트 이름 자체가 더티라서 비현실적일 것 같은데, 저거 그냥 80% 까지 채운 거로 보셔면 됩니다. 살면서 80% 용량 못 채우겠나요. 그냥 그거 빠르게 한 것 뿐인데요 뭐... 한 70~80% 용량 찼을 때부터 속도가 저래 느립니다. 전 차라리 TLC를 살 듯.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스퀴니 님께
2020.07.01. 01:25

네 컴터에 달아놓고 사용해서 상관없습니다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1:28

그런 뜻이 아니라, Cold Storage는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는 매체를 말합니다...; 보통 신뢰성 있는 매체를 쓰고 이걸 Cold Storage라고 불러요.. 대표적으로 HDD와 Tape요. 그냥 컴퓨터에 달아놓는다는 게 아니라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WayBack 님께
2020.07.01. 01:28
WayBack 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WayBack 님께
2020.07.01. 01:30

거기에 SSD는ㅊ리텐션 에러도 있죠..

QLC는 원래 리텐션이 자주일어나는데

거기에 QLC를 커버하기 위해 ECC자체도 복잡하고요..

리텐션에러나면 Online해도 데이터는 펑..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스퀴니 님께
2020.07.01. 01:29
스퀴니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스퀴니 님께
2020.07.01. 01:32

그리고 그것도 용량이 어느 정도 남아있을 때나 가능하지 용량 꽤 찼을 때는 이미 리텐션 에러 많이 날 겁니다. 어후 생각만 해도 극혐이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WayBack 님께
2020.07.01. 01:33

그래서 전 언제나 SSD+HDD조합으로 계속 갑니다..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ㅁㅂㅁ
ㅁㅂㅁ WayBack 님께
2020.07.01. 01:31

저 링크는 전력 공급 안됐을때 cell discharge 이야기였구요

저기서 이야기하는 cold storage는 데이터 저장해놓고 전원꺼놓고 방치하는 경우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용이 아닌 스토리지도 있나보군요 

[ㅁㅂㅁ]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ㅁㅂㅁ 님께
2020.07.01. 01:36

그럼 리텐션에러는 뭐로 처리하실건가요..

전원켜놓아도 펑 터지는 그런 현상..

QLC자체가 리텐션/리프레시 자주 일어나고..

데이터가 꽉차면 그 리프레시할 방법도 마땅차게 되며..

그만큼 리텐션에러가 날 확률도 급상승하는데..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ㅁㅂㅁ 님께
2020.07.01. 01:38

그게 그 얘기에요. 전원 공급 안 되었을 때 셀 나가는 게 리텐션 문제고, 전원 들어와도 용량 차면 노답입니다. 리프레시 용으로 쓸 영역도 없을 걸요. 그래서 QLC SSD를 Cold Storage로 왜 쓰냐 이겁니다. 가뜩이나 TLC에 비해서 더 빡센데... QLC SSD는 데이터 저장용이 아니에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치약
2020.07.01. 07:10

실제로 이렇다는 시각화된 근거까지 가지고와도, 반박을 위한 최소한의 근거제시도 없이 내가 쓸땐 안그랬다! 어쨋든 내 생각이 맞다! 로 일관하는 모습이 보이네요.

 

답변을 하는사람도, 보는사람도 불편한 모습은 지양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차라리 '느려지는건 동의하나, 쓰는데 지장은 없었다' 정도로 경험을 공유하는 느낌이였다면 괜찮을텐데요.

 

본문내용은 잘 읽었습니다 :) tlc 1테라 2장도 특가뜰때나 마음먹고 샀는데, 좀더 대용량을 좀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다면 분명 환영할만한 일이죠.

 

다만 가성비와 맞바꾼게 내 데이터의 안정성이라면, 데이터 보관용도 보다는 게임용으로 쓰이는게 더 적절하긴 하겠네요. 요즘 게임런처들은 대부분 무결성 검사와 복구 기능도 제공하고, 대용량 게임도 늘어나고 있구요. 아예 큰 용량으로 사서 여유롭게 게임 드라이브로 쓰는정도는 나쁘지않을거같네요. 혹시 파일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그냥 복구기능으로 새로 써주면 그만이니...

[치약]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글쓴이
WayBack 치약 님께
2020.07.01. 18:33

공감합니다. 약간 대용량인데 날려도 아무 상관없는 것들을 넣어놓는 건 괜찮을 것 같아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96 13
핫글 미니 갤럭시북4 엣지 질렀습니다.. [16] file Gottago 24.06.14 942 15
핫글 미니 스테이지엑스 제4이통 취소절차 들어간다네요 [11] Chrop 24.06.14 1059 13
핫글 미니 갤탭에 9300+가 오히려 좋은이유 [19] file GalaxyBudsSeries 24.06.14 1463 11
209820 미니 팬파티 조았어요😍 [9] file Alternative 22.05.01 1921 23
209819 미니 지금 웨이보발 퀄콤 차기 ARM 아키텍쳐 성능보면 [9] 흡혈귀왕 22.03.24 1921 3
209818 미니 윈도우가 디자인으로 맥OS를 이겼던(?) 시절 [14] file 하루살이2 22.03.20 1921 16
209817 미니 갤럭시 탭 S7 배경화면 유출 [3] file S.C 20.07.18 1921 0
209816 미니 그램17인치가 가벼운 이유 [28] file 노틀담의꼽추 20.01.12 1921 2
209815 미니 갤럭시 버즈 실버 도착. [1] file VentAzure 19.08.26 1921 0
209814 미니 S21, S22통수 맞고 아이폰으로 정착하신 분들 많으신가요? [22] 멜로엘로 23.11.08 1920 15
209813 미니 파인우븐은 애플조차 손절한 물건이 되어버렸네요. [35] 그렇군요 23.09.26 1920 37
209812 미니 갤럭시 S23, S23+, A14, A54 크기 비교 [9] file 지은 22.11.16 1920 3
209811 미니 삼성제 다이내믹 아일랜드 [10] file 감비아도나츠 22.09.09 1920 25
209810 미니 (샀슈) 워치5 LTE 모델이 전화 CMC가 된다는 얘기가 있어서... [19] file Minny 22.08.17 1920 2
209809 미니 아니 삼성모니터 정떨어지네요 진짜 ㅋㅋㅋㅋ [16] file 빼꼼 22.06.01 1920 3
209808 미니 [루머]폴드4 스펙 유출? [23] file 으챠 22.05.30 1920 3
209807 미니 이건 무슨,,, [3] file j8j8 22.05.18 1920 6
209806 미니 루머) 애플스토어 5호점 신논현 비제바노 건물 입점 확정 [18] file 다람쥐 22.05.06 1920 4
209805 미니 (감동실화) 갤럭시 탭 S7+, 죽다가 살아나다 [24] file 프로입털러 21.12.16 1920 7
209804 미니 애플의 신형 맥북 프로 프로토타입 사진 등장 [14] file AlieNaTiZ 21.10.08 1920 1
209803 미니 삼성파운드리 3GAA 관련된것을 정리해보자면 [8] file 흡혈귀왕 21.10.03 1920 5
209802 미니 카카오톡 명의변경 신청했습니다 [6] LG산흑우 20.12.20 1920 7
209801 미니 엑시 2100이 멀티 3000따리라는 벤치는 제발 거르세요 [72] file 바보중 20.12.17 1920 23
209800 미니 당신이 Galaxy TAB을 사야하는.EU [10] file Pepsi베어 20.04.05 1920 0
209799 미니 레이저 AS 쩌네요 [7] LG알바 19.10.15 1920 0
209798 미니 갤럭시 스피커는 아직 갈 길이 머네요 [42] 미하엘무야허 24.03.10 1919 12
209797 미니 비전 프로 없섭 영상 미치겠네요 ㅋㅋㅋ [11] 크로아츠 24.02.09 1919 15
209796 미니 언케도 울라리에 혹했군요 [6] file 에피 24.01.24 1919 2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