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BarryWhite

소식 퀀텀닷 패터닝 프린팅 개발 성공...AMQLED 구현 가능성

20200703151102_1480407_654_229.png

KAIST는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전덕영 명예교수 공동 연구팀이 풀 컬러(적·녹·청) 퀀텀닷 패터닝 프린팅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1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퀀텀닷은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크기와 전압에 따라 스스로 다양한 빛을 내는 수 나노미터(1 나노미터는 100만분의 1 밀리미터) 크기의 반도체 입자.

 

퀀텀닷 소재는 OLED 발광 소재와는 달리 용매에 녹아 분산돼 있는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디스플레이 패터닝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팅이나 리소그래피와 같은 공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양산성 및 해상도 측면에서 제한적이거나 공정 과정 중에 퀀텀닷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

 

연구팀은 이 문제해결을 위해 퀀텀닷의 용매 성분을 미세하게 조절해 수 나노미터에서 수천 나노미터급 주형에 선택적으로 스스로 조립하는 원리에 착안해 적용. 조립된 퀀텀닷 미세 패턴을 분리한 후 초저압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기술을 개발, 풀 컬러 나노미터급 패턴을 100%에 달하는 수율로 구현. 

 

특히 QLED용 퀀텀닷 패턴은 극도로 얇아서 외부 압력에 매우 민감해, 초저압 전사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패턴의 손상을 방지. 그 결과 QLED 소자의 성능이 기존 전사 프린팅 방식 대비 약 7배나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

 

연구팀은 풀 컬러 퀀텀닷 배열의 해상도를 최대 1만 4,000ppi(인치당 픽셀 수) 까지 구현하는데 성공. 이 해상도는 현재 8K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인 117ppi 보다 약 100배 이상. 

 

연구팀은 또, 기존 퀀텀닷 나노 패턴 구현 방법과는 원리가 다른 초 저압 전사 프린팅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패턴의 해상도와 프린팅 수율 및 퀀텀닷 발광소자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도 성공.

 

연구팀 "이 연구 결과를 활용, 적·녹·청 퀀텀닷 픽셀이 개별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를 지닌 차세대 능동형 퀀텀닷 LED(AMQLED) 디스플레이 구현 가능할 것"

BarryWhite
살짝 내려놓고 지박령 활동하겠습니다😆
프로필 속 고양이는 저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미코 광고 후원 감사합니다.
댓글
5
너네감자뜨거워
2등 너네감자뜨거워
2020.07.06. 16:09

이거 그거아닌가요?

QDEF만 구현한거라, 실제 디스플레이가 해상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아니라던...

[너네감자뜨거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arryWhite
글쓴이
BarryWhite 너네감자뜨거워 님께
2020.07.06. 16:16

제가 이해한 바로는 퀀텀닷 소재를 필름이든 어디든 안전하게 뿌려주는(증착) 기술을 개발한 걸로, QDEF에도 적용되고 향후 AMQLED에도 적용해서 고해상도 만들 수 있다는 얘기 같습니다.

[BarryWhit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59
53024 소식 닌텐도, 스마트폰용 앱 동물의 숲 포켓 캠프 3월29일 출시 [2] 뉴스봇 21.03.25 0 494
53023 소식 방통위, 추가 지원금 상향 등 단통법 개정안 의견 수렴 [7] 뉴스봇 21.03.05 0 494
53022 소식 "삼성전자 일부 TV, 보라색 얼룩 현상 발생" [2] Aimer 20.10.08 0 494
53021 소식 MS, ARM 기반 서피스 프로 X 상위 옵션 추가 [3] file Stellist 20.10.01 2 494
53020 소식 익숙함에 새로움을 더한 ‘LG 윙(LG WING)’ 공개 [3] file 프로입털러 20.09.14 0 494
53019 소식 추억의 '탈착형 배터리' 스마트폰 복귀하나...EU, 의무화 법안 추진 [6] 뉴스봇 20.02.28 0 494
53018 소식 삼성 갤럭시 폴드2 코드네임 위너2 [3] BarryWhite 20.02.04 0 494
53017 소식 삼성 갤럭시 Z 플립, 미국서 LTE 모델로 출시 [1] file BarryWhite 20.01.31 0 494
53016 소식 일론 머스크, 애플 AI 두고 "터무니 없다…사내 애플 제품 금지" 뉴스봇 24.06.11 2 493
53015 소식 닌텐도 스위치2 T239 칩, XSS 성능에 못 미쳐 BarryWhite 24.03.02 0 493
53014 소식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폰 패널 베젤에 잉크젯 프린팅 적용 검토 뉴스봇 24.01.26 0 493
53013 소식 구글 크롬 앱 스토어에 악성 VPN 3종 발견 BarryWhite 23.12.27 2 493
53012 소식 “AI가 일자리 대신 월급 깎는다” 유럽중앙은행 보고서 [1] 뉴스봇 23.12.01 1 493
53011 소식 애플 매장 절도방지 케이블 씹어 끊고 아이폰 훔친 중국 여인 BarryWhite 23.09.05 0 493
53010 소식 “키보드 타이핑 소리로 비밀번호 훔친다··· 정확도 95%” 영국 대학 연구진  [1] 뉴스봇 23.08.09 2 493
53009 소식 NFC(애플페이)이어 QR결제 온다…한국 독자 QR 결제 규격 제정 착수 [3] BarryWhite 23.06.21 0 493
53008 소식 아이폰, 中서 확실한 1위 등극 BarryWhite 23.06.02 1 493
53007 소식 10년 혁신으로 더 완벽해진 2023년형 LG 올레드 TV 출시 프로입털러 23.03.08 0 493
53006 소식 애플, 보도자료에서 한국 애플페이 출시 첫 언급 file Stellist 23.03.07 2 493
53005 소식 YMTC 정리해고 시작해 뉴스봇 23.03.03 4 493
53004 단톡·톡채널·로그인…기업들, 카카오와 헤어질 결심 프로입털러 22.10.21 6 493
53003 中의 자신감?…SK·키파운드리 결합 승인 프로입털러 22.06.24 0 493
53002 델, 미니멀한 디자인의 XPS 13 Plus 9320 발표 [9] file Stellist 22.01.05 0 493
53001 소식 '갤S22 울트라' 윤곽..."5가지 색상 이렇게 나온다" [2] file 뉴스봇 21.12.31 0 493
53000 소식 中 폴더블폰 '파상공세'에…삼성 주도권 2년 안에 뺏긴다? [2] 뉴스봇 21.12.25 0 493
52999 소식 ‘아이폰13 프로’ 매크로 촬영 직접 끈다…iOS 15.2 베타 [1] 뉴스봇 21.11.13 1 493
52998 소식 ARM 칩, 애플 등에 업고 PC 시장 점유율 10% 육박 뉴스봇 21.11.13 2 493
52997 소식 ‘갤럭시S21 FE’ 10월 출격 가시화…노트 빈자리 메운다 [1] 뉴스봇 21.09.25 2 493
52996 소식 '갤럭시S21 FE', 출시 일정 오리무중···AP 수급난? [1] 뉴스봇 21.09.16 1 493
52995 소식 애플, 3월 23일에 무슨 일이? [1] 뉴스봇 21.03.09 2 493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