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Wi-Fi/LTE 대기전력 관련 논문을 찾아봤습니다

5D0D6318-A6F1-4A3C-9892-543BE705B673.png

 

 

 

 

 

미시건 대학이랑 AT&T에서 연구한 내용이 있더라고요 

 

밑줄 그은 곳 보시면 아이들 상태에서는 LTE는 Wi-Fi보다 비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출처에 논문 링크 걸어놓았으니 관심있으면 보세요 

 

 

 

이쯤 되면 Wi-Fi를 키는 게 LTE만 쓰는 것보다 배터리를 많이 먹는 시나리오는

전화/문자 및 셀타워와의 연결 유지를 위한 통신을 제외한 트래픽이 0일 때나 

Wi-Fi 신호가 매우 거지 같은 경우 말고는 안 떠오르는데유..

 

스마트폰이라면 기본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게 있어서

(자동 다운로드/업데이트가 아니더라도 위젯/푸시 알림 등등...) Wi-Fi 키는 게 수치상 더 효율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댓글
18
노틀담의꼽추
1등 노틀담의꼽추
2020.07.13. 04:03

궁금한게있는데요 저기서 나오는 표에서는 lte활성화시 가장낮은 값도 500mw이상이나되는데 이건 수치적으로 0.5w니까 보통 스마트폰에선  10~20wh정도 배터리를 탑재하니까20~40시간밖에 유지안된다는건데 저게 대기전력이맞나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0.07.13. 04:45

네. 맞아요. 저게 몇 년된 논문이긴 해서 그 이후 eDRX, PSM 등이 등장해서 LTE 대기전력이 줄긴 했습니다. 그러나 Wi-Fi에 비할 바는 못 됩니다.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05:13

?? 이해가안가는데요.. 제가 lte처음쓴게 노트2인데 그때도 저정도로 전력소모안컷어요.. 저건 뭔가 잘못된거같은데요? lte초기시절에 대기전력이 저정도로 광탈은 아니었어요.. 노트2가 3100이었으니까 아마 12wh정도됐을거란건데 그냥 대기전력만으로 20시간이요? 그떄도 대기전력 별거안하면 1시간에 1퍼정도 닳는수준이었습니다..  저 표 말대로라면 1시간당 4~5%닳는다는건데 자고 일어나면 30~40%빠져있다고요? 절대그런수준아니었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05:16

이건 제가 굳이 뭔가 찾아서 증명할필요도없겟고 그냥 여기 분들한테물어보세요.. lte초기시절에 자고일어났더니 배터리 30~40%빠지는게 흔한일이었냐구요.. 절대그렇지않았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0.07.13. 09:03

저 표를 완전히 잘못 이해하고 계십니다. 저 mW값이 나와 있는 표의 시간 단위가 시간도 아니고 분도 아닙니다.

옆에 나와 있듯이 ms이고요, 

저기서 의미하는 것은 LTE에서 RRC_IDLE 상태에서 DRX 1 사이클 돌릴 때 43ms 동안 On 상태가 되어

PDCCH를 모니터한다는 의미입니다.. 그거 다 감안해서 밑줄 결과가 도출되는 겁니다

 

이해가 안 가시면 출처에 있는 논문 1-2페이지만 훑어보시면 감이 오실겁니다.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17:47

논문자세히봤는데 테스트가 8년전테스트에 땅도넓은 미국에서한거네요.. 그때면 lte도 잘 안터질때라 환경이다를거같다는 생각이듭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0.07.13. 17:53

저 결과값은 비교적 잘 잡히는 환경에서 한 것입니다. 그 이후로 LTE 전력 효율이 개선 된 것은 사실이나 Wi-Fi와 비교하면 택도 없습니다.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17:57

전력효율이 개선된거는 사용중에 개선된거고 대기전력만따지면 별로 개선됐다고 여겨지지않습니다. 지금도 갤럭시s20울트라 1시간에 1%정도닳던데(aod미사용) 5~6년전에도 배터리용량 고려하면 별차이없었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0.07.13. 18:06

공정 미세화가 진행되면서 모뎀쪽도 개선되었고, 특히 AP쪽에 통합되기 시작하면서 비약적으로 효율성이 증대되었습니다.

그렇게 느끼시는 것은 다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18:12

효율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한건 데이터켜서 스트리밍,웹서핑등을 할때기준이고 저도 이건 동의합니다. 아무래도 대기전력시간이 증가하긴했는데 이건 배터리가 커져서그런게 커보이고 CA개수가 늘어나면서 동시에잡는 주파수대역이 많아지고 속도향상을위해 안테나도 추가하면서 그런거같습니다 초기 LTE시절처럼 잘터지는망 1개만잡고 안테나개수도 줄이면 더오래가지않을까싶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0.07.13. 18:18

대기 모드 즉 rrc_idle DRX 모드에서 CA 여러개 잡지 않습니다. 이때는 주기적으로 최소한의 패킷만 주고받다가 데이터 통신이 필요할 때만 rrc_connected 상태로 promote해서 통신합니다. 이때 CA가 필요하다면 하는 것이고요.

이때의 효율은 모뎀 효율성에 크게 기인할 수 밖에 없는데 이 부분은 LTE 초기 모뎀과 지금 모뎀 비교하면 크게 차이납니다. 수치를 찾아보면 나오기야 할 텐데 말씀 안 드려도 될 거 같고요.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18:45

대기모드에서도 통신해서 wifi가 더오래가는 차이가난다길래 쓴겁니다; ca는 그렇다쳐도 안테나가 늘어난것도있으니까요 그리고 사용중 효율성이 크게늘어났다고 대기전력까지 크게늘어났다고 추론은 힘들죠..  스마트폰 ap,램등등 효율이 극히올랐지만 비행기모드해놓고 가만히냅둬도 대기전력이 배터리크기대비 예전보다 극적으로 오래간다고 느끼긴힘들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방구석지름병환자 님께
2020.07.13. 17:59

오히려 wifi잡았을때 대기전력이 예전보다 훨씬오래가더군요.. 예전에 스마트폰 초기시절에는 wifi절전모드따로안하면 배터리 줄줄세서 항상 끄고썻던걸로 기억합니다 백그라운드,동기화 이런거안해놓는 성격인데도 그랫거든요.. 그때는 wifi잡고나면 거의 1시간에 3~4%씩빠졋던걸로 기억하네요.. 요즘은 오히려 wifi접속해놔도 별로안닳더군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0.07.13. 17:54

최근에 진행된 비슷한 논문이 있으면 좋겠으나 지금은 5G 테스트한다고 LTE 테스트할 사람들은 없겠죠 뭐..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클라운
2등 클라운
2020.07.13. 04:53

Wi-Fi가 배터리를 더 먹을만한건 MMS와 비주얼 보이스메일를 안쓰는 한국 사정일지도 모릅니다

 

와이파이+LTE 상태에 MMS랑 보이스메일 올때마다 와이파이를 껐다가 켰다가 합니다. LTE로만 데이터를 받거든요.

 

그래서 대기상태에서 와이파이 켜두면 배터리 더 나갑니다

 

충전기 들고다녀서 신경 안쓰긴 하는데요

[클라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sssy
3등 ssssy
2020.07.13. 07:51

동일 조건(자동업데이트, 자동백업 등 다 죽이고)이면 아무래도 와이파이가 오래가지 않을까요? 왜 변수통제를 하지 않고 비교를..

[ssss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방구석지름병환자 ssssy 님께
2020.07.13. 09:02

변인 통제도 안 된 상황에서 나온 검증되지 않은 경험을 가지고들 이치에 안 맞는 주장들을 하시니 할 말이 없읍니다.

[방구석지름병환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리스
도리스
2020.07.13. 09:37

노트2 사용자였고 lte모드와 wi-fi다 썼지만 lte모드가 전력 더 소모했습니다.

 

당시 lte모듈 전력 소모가 더 큰 걸로 기억하고 있어서...

 

wi-fi 진짜 신호 나쁜 상태가 아니라면 wi-fi가 눈에 보일정도로 배터리가 오래갔죠.

 

노트1은 안 써봐서 모르겠지만 노트2는 skt모델로 3년을 사용했던 터라...(아이폰 3gs에서 놋2로 점프)

 

요즘은 lte모드도 오래 갑니다만 그래도 여전히 wi-fi가 적게 먹던...(지금은 구형 놋9 사용자) 

[도리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93 13
핫글 미니 마소는 제발 기본 앱의 웹앱화를 멈춰달라..!! [15] file Fluent 24.06.03 963 16
핫글 미니 애플 제품들이 중고판매도 잘되네요. [22] 잇흥 24.06.03 1031 14
핫글 미니 iPhone 16 Pro Max [11] updatefile iceuniverse 24.06.03 1261 11
67222 미니 요즘 카메라성능을 엄청나게 강조하는 제품들이 많은데 [18] 갤폴드(2세대)살예정 20.07.17 785 0
67221 미니 2020년 중반 베스트 안드로이드 폰 [17] file 카더 20.07.17 1095 1
67220 미니 Asus에서 내놓은 르누아르 모바일 미니PC.jpg [6] file 스퀴니 20.07.17 1064 0
67219 미니 Z플립 내구성.mp4 [20] file Thomasp5675 20.07.17 1068 0
67218 미니 Z플립 무료스킨 후기 [6] file 시아 20.07.17 868 0
67217 미니 호오..갤버즈플러스는 배터리만 교체가 가능하네요 [5] 스퀴니 20.07.17 4937 0
67216 미니 bts에디션 컬러필름 대박인듯 [12] 흰하나 20.07.17 889 0
67215 미니 저에겐 소박한 소원이 있습니자 [7] file 방구석지름병환자 20.07.17 531 0
67214 미니 Z플립 스킨 부착하러왔는데.. [3] 시아 20.07.17 367 0
67213 미니 갤럭시 탭 S7 존버중.. [11] Puso 20.07.17 1092 0
67212 미니 LG 톤 프리 미국 가격 [7] file 스퀴니 20.07.17 597 0
67211 미니 ARM 로열티 확 올리면 Apple은 과연? [12] Futuristics 20.07.17 744 0
67210 미니 이런 드라이버 설치파일은 또 처음보네요 [5] file Chrop 20.07.17 570 0
67209 미니 하이실리콘은 이제 SMIC에서 생산하려나요...ㅡㅡa [13] 흡혈귀왕 20.07.17 506 0
67208 미니 이제 하이실리콘은 더이상 새로운걸 못보겠네요 [16] 스퀴니 20.07.17 676 2
67207 미니 S20U 줌을 써서 확대범이 되보았습니다. [10] file 흡혈귀왕 20.07.17 786 2
67206 미니 라이젠 7 4750G vs 라이젠 7 3700X 긱벤치 비교.jpg [2] file 스퀴니 20.07.17 576 0
67205 미니 솔직히 BTS에디션으로 S20 울트라 나오면 [4] sjkoon 20.07.17 547 0
67204 미니 LG스마트폰은 앱 제거방법이 다른가요? [11] Futuristics 20.07.17 2876 0
67203 미니 현재 S10+ 쓰는데 화면 더 밝은폰은 어떤게 있나요? [20] 도나쓰 20.07.17 599 0
67202 미니 MHL모니터 기능으로 맛폰연결해서 쓰시나요? [1] 디아블로 20.07.17 282 0
67201 미니 전 엘지스마트폰이 회생하긴 힘들가봅니다 [4] 노틀담의꼽추 20.07.17 582 0
67200 미니 몇년전부터 절 괴롭히던 문제가있습니다 [20] 노틀담의꼽추 20.07.17 815 0
67199 미니 엘지는 스마트폰 관련해서는 되는게 없네요 [13] 긴닉네임2002250504 20.07.17 776 0
67198 미니 샀습니다! [1] file 투야 20.07.17 640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