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리뷰 게시판 *IT 전자제품, 서비스, 가전, 차량 등의 리뷰 또는 강좌(팁)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감자해커

갤럭시노트20 스냅드래곤865+ 벤치마크 정리 (갤9~갤N20까지)

https://blog.naver.com/gamja321/222065886841 

본 글은 위 링크 원문 그대로 올렸습니다. 가독성외에는 크게 차이가 없어요.

2020년, 갤럭시 S20을 시작으로 갤럭시 노트20 시리즈도 역시나 국내판은 스냅드래곤 AP가 탑재되어 출시했어요. 전작 갤럭시S20은 스냅드래곤 865이지만, 노트20은 스냅드래곤 865+ 모델입니다. 유럽 등 글로벌판은 계속 엑시노스 990이 들어갔고요.

 

스냅드래곤 865, 스냅드래곤 865플러스의 차이는 리버전 AP로 A77 빅 클럭 코어 하나가 2.84Ghz - > 3.09GHz로 오버클럭 되었어요. CPU는 큰 차이는 없습니다. 대신, GPU가 퀄컴 Adreno 650 587Hz -> 670Hz로 오버클럭 됐습니다. 퀄컴 공식 발표로는 10퍼센트 성능 향상이 있다고 합니다.

 

갤럭시 s20 울트라, 갤럭시 노트20의 저장소는 UFS3.0이고 갤럭시 노트20 울트라만 UFS 3.1로 업그레이드되었어요. UFS 3.0과 3.1차이는 스토리지 대역폭 속도는 동일하지만, SLC 캐시 라이트 부스트, 저전력 딥슬립, 써멀 퍼포먼스 스로틀링 추가로 발열제어 대비 성능 향상이 이뤄졌습니다.

벤치마크에서 언급될 갤럭시 스마트폰 성능 모드는 상단 바를 내려서 배터리 관리 모드 아이콘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벤치마크 성능 비교 목록

갤럭시S9 (엑시노스 9810)

갤럭시S10 (엑시노스 9820)

갤럭시노트10 (엑시노스 9825)

LG V50 (스냅드래곤 855)

갤럭시S20 울트라 (스냅드래곤 865 국내판)

갤럭시S20 울트라 (엑시노스 990 글로벌판)

갤럭시 노트20 울트라 (스냅드래곤 865+)

 

안투투는 치팅이 있어서 제외했어요. 아이폰은 안드로이드와 동일한 벤치마크 어플이 대부분 안 돌아가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갤럭시 노트20 1대, 갤럭시 노트20 울트라 2대로 벤치마크해서 가장 점수가 잘 나오는 폰으로 최종 표기했습니다. 나머지는 한대로 테스트한 거라 오차가 있을 수 있어요.

 

벤치에 사용된 모든 폰은 다 제 겁니다. 다만, 해외판 갤럭시 s20 울트라 엑시노스 990은 국내에서 구할 수가 없어서 해외사는 분에게 부탁드려서 받았습니다.

 

CPU 벤치마크 긱벤치5

 

스냅드래곤 865와 865+ 차이는 결국 A77 1코어만 클럭이 부스팅 된 것이라 긱벤치5에서도 싱글코어 8퍼센트 성능 향상이고 멀티 코어는 동일합니다. 싱글, 멀티 둘 중 뭐가 중요하냐라는 여러 입장이 있지만, 제 생각에는 멀티태스킹이 강점인 안드로이드에서는 멀티 코어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엑시노스 990은 스냅드래곤 865+와 20퍼센트 정도 성능 차이가 나네요.

 

종합 벤치마크 PCMARK WORK 2.0

 

인터넷 웹서핑 환경 테스트

 

전작 갤럭시S20 벤치마크에서도 확인했는데 120Hz 주사율 설정을 하면 CPU 스케줄러가 좀 더 공격적으로 변합니다. 최적화와 고성능 모드에 따라서도 달라지고요. 스마트폰의 최대 성능을 확인하는 3D MARK와 GEEKBENCH에서는 달라지지 않아요.

 

PCMark는 실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쓰는 환경으로 테스트해주기 때문에 가장 실사용에 가까운 벤치마크라고 생각합니다. 엑시노스 990은 제 생각엔 최대 성능이 부족하지만, 실 사용 시 체감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비전력을 스냅드래곤 버전보다 더 사용하는 방법을 택한 거 같아요.

 

스마트폰에서 영상편집할 때의 속도를 나타낸 벤치마크 점수입니다. 갤럭시S20과 갤럭시노트20 성능 차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네요. 최적화와 고성능 모드 차이도 없고 60, 120Hz 주사율에 따른 속도만 차이가 꽤 납니다. 주사율에 따라 대략 24퍼센트 정도 차이가 나네요.

 

갤럭시노트20 울트라만 UFS3.1이라서 그런지 데이터 쓰기 항목 점수에서 가장 우위를 보여줍니다. 8.6퍼센트 정도 더 빠르네요. 엑시노스 990은 지못미..

갤럭시 노트20 울트라를 2주 정도 써보면서 성능 측면에서는 가장 체감되는 부분이 바로 앱 설치가 짧아진 부분이더라고요. 하지만, 갤럭시 노트20은 UFS3.0입니다.

 

포토 에디팅 점수는 사진을 열고, 편집하고 JPEG 포맷으로 저장하는 등의 작업 속도를 나타냅니다. 60,120Hz 주사율 속도는 대부분 비슷한데 고성능 모드에서만 주사율별 차이가 4퍼센트 정도 있네요.

 

엑시노스 990과 스냅드래곤 865+는 11퍼센트 정도 속도 차가 나네요. 유럽님들 지못미..

 

Data Manipulation은 어플을 실행하면서부터 내부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고 처리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노트20에서 주사율에 따른 속도는 18퍼센트 정도 차이가 납니다. 엑시노스 990과 스냅드래곤 865+는 19퍼센트 성능 차가 납니다.

 

스냅드래곤 865+와 865는 3퍼센트 성능 차입니다. 이 정도면 뭐 거의 오차 범위네요.

 

위에 나열했던 pcmark 세부항목 점수를 합친 총점 비교입니다. 엑시노스 990와 스냅드래곤 865+는 9.3퍼 성능 차가 최종적으로 나네요. 갤럭시s20과 노트20은 1.8퍼센트 성능 차가 납니다. CPU 1코어 오버클럭이 되어도 성능 차는 실제로 체감할 수 없을 거 같습니다.

 

저장소 UFS3.1과 3.0차이만 8.6퍼 차이나 고 실제로도 체감할 수 있는 유일한 부분입니다. 

 

GPU 벤치마크 3D MARK

퀄컴에서는 공식적으로 스냅드래곤 865+에서 865보다 10퍼센트 차이라고 했는데 실제 3D MARK 벤치마크 그래픽 스코어에서도 정확히 10퍼센트 성능 차이가 납니다. 엑시노스 990과는 11퍼센트 차이가 나네요. 

 

사실 엑시노스 990 갤럭시S20은 벤치마크 점수만 비슷하지, 실제 게임 프레임 속도 차는 꽤 있습니다. 해외 유저들의 불만을 보니 엑시노스 990으로 게임하면 스로를 링이 많이 생기더라고요.

 

피지컬 스코어는 갤럭시 노트20보다 S20 성능이 더 좋게 나왔어요. 벤치마크 점수가 역으로 나와서 노트20 3D MARK를 냉장고에서도 돌려보고 5번이나 돌렸는데 계속 노트20이 더 낮게 나오네요. 아직 출시 초창기라 점수가 안정적이지 않는 측면일 수도 있겠네요.

 

GFXench Manhattan 3.1 

실제 게임 성능과 가장 비슷한 gpu 벤치마크 비교 테스트라고 평이 좋은 GFXBench입니다. 여기서는 갤럭시 노트20과 갤럭시 s20 성능 비교하면 7퍼센트 차이가 나네요.

 

trex에서는 노트20과 s20 8.8퍼 차이가 납니다.

 

아즈텍에서는 7.4퍼 성능 차이가 납니다. 모바일 스마트폰에서 GPU 성능 7~10퍼센트 정도 차이가 유의미한 점수일지는 잘 모르겠네요. 

 

스로틀링 CPU 스트레스 테스트

 

요것도 3대의 노트20으로 여러 번 돌렸는데 갤럭시 노트20이 평균 퍼포먼스 점수가 갤럭시S20보다 낮게 나왔어요. 스로틀링도 더 잘 걸립니다. 스로틀링도 갤럭시 노트20 울트라가 좀 더 잘 걸립니다.

 

아무래도 갤럭시S20 울트라는 출시한지 좀 되어서 안정적인 펌웨어이고, 노트20은 이제 출시한 기기라서 아직 미완성일 수 있다. or 스냅드래곤 865+는 865에서 오버클럭 한 버전이라 스로틀링에 좀 더 취약한 것 일 수도 있어요.

 

갤럭시S9~갤럭시노트20까지 벤치마크 성능 비교 결과

1. 스냅드래곤 865와 865+ 는 스펙상 CPU A77 1MP가 오버클럭 되었지만, 벤치마크에서도 성능 차가 1~3퍼센트 정도로 차이가 미미.

2. GPU는 7~10퍼센트 성능 차가 발생, 어쩌면 체감할 수도?

3. UFS 3.1 저장소 스펙이 올라가서 갤럭시S20에 비해 8~9퍼센트 정도 성능 차가 남. 실제로도 S20대비 저장소 속도 차이를 유일하게 체감할 수 있었음.

4. 엑시노스 990 AP로 출시한 갤럭시 노트20 유럽 포함 글로벌 지못미..

 

P/S 엑시노스 잡담

벤치마크 돌리고 식히고 엄청 오래 걸렸어요. 왜 이런 자료는 해외에서만 볼 수 있을까? 싶어서 제가 직접 테스트하게 됐습니다.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은 벤치마크에서 작년보다 성능 차가 꽤 벌어졌어요. 화웨이 기린 칩셋도 미국의 제재로 무너지고 있고요. 퀄컴도 이런 상황을 잘 아는지 최근 스냅드래곤 875 단가를 250달러로 올렸다는 소식도 있고요. 스냅드래곤 865가 150~160달러 사이입니다.

 

스냅드래곤 875를 아무리 삼성급 업체가 네고해도 개당 200달러 근처일겁니다.

 

현재 안드로이드 모바일 업계는 퀄컴이 거의 반독점 상태라서 내년 갤럭시S21은 국내판에 엑시노스가 또 안 들어가면 퀄컴이 더 깽판 칠지도 모르겠네요. 구글은 엑시노스 커스텀 AP 준비 중이고, LG는 국내에 플래그십 AP를 넣고 스마트폰 출시를 안 하고 있어요. 

 

솔직히 사용자 입장에서는 AMD RDNA GPU가 적용되는 엑시노스가 나온 후에 국내판을 엑시노스로 바꿨으면 좋겠지만요.

 

댓글
16
인헤리턴스
1등 인헤리턴스
2020.08.23. 13:10

3.1이 맞았군녀... 잘 봤읍니다

엑시가 정상화가 빨리 되야...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글쓴이
감자해커 인헤리턴스 님께
2020.08.23. 17:00

성능차가 865+랑 엑시990이라서 해외 노트20은 진짜 쓰기 싫을거 같아요..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gry
3등 Angry
2020.08.23. 13:14

잘보고 갑니다

 

다만 아쉬운건 그래프 글자와 점수 숫자가 흰색이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글자가 회색으로 지정되어 있으니 잘 안 보이네요 ㅎㅎㅎ;;

 

무튼 결론은 추천!!!

[Angr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글쓴이
감자해커 Angry 님께
2020.08.23. 13:19

배경을 어둡게하고 글자를 흰색으로 하는게 나을까요?

이게 검은색으로 만들었는데, 업로드를 하면 화질이 저하되어서 색감이 빠지네요ㅠ

특히 파워포인트에서 만들고 그림파일로 바꾸면 더 그래요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gry
Angry 감자해커 님께
2020.08.23. 13:26

네, 배경은 굳이 손댈거 없이 글자만 흰색으로 하면 될거 같아요

어두운 배경에 글자도 어둡다보니 가독성이 좀 떨어집니다

[Angr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글쓴이
감자해커 Angry 님께
2020.08.23. 13:30

지금 배경이 흰색에 검은색글자인데요??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ngry
Angry 감자해커 님께
2020.08.23. 13:33

어? 그런가요?

제가 야간모드로 봐서 그런가 보네요;;

 

제가 제대로 확인도 안하고 엄한 소리를 했네요

죄송합니다 ^^;;

[Angr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글쓴이
감자해커 Angry 님께
2020.08.23. 14:03

 아 아닙니다. 다크모드에서는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네요 반전되어서..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리니
폴리니
2020.08.31. 12:52

120Hz 사용시에는 성능이 변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스케줄러가 크게 작용하는 웹브라우징에서는 120Hz/60Hz, 고성능/최적화 간의 차이가 둘 다 큰 것을 볼 수 있는 반면

스케줄러보다는 최대성능이 크게 작용하는 비디오 에디팅 테스트에서는 고성능/최적화 간 차이는 미미한데 120Hz/60Hz 차이는 상당히 크고

포토 에디팅 테스트에서도 120Hz/60Hz 차이보다는 고성능/최적화 간 차이가 크죠

스케줄러의 차이로는 이것이 설명이 안됩니다.

[폴리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lwlrma
dlwlrma
2020.08.23. 14:45

갤럭시S20 865 버전도 초기에 쓰로틀링 이슈있었죠

[dlwlr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글쓴이
감자해커 dlwlrma 님께
2020.08.23. 16:59

노트20 다음펌을 기다려봐야 할거같아요 ㅎ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지옥반도
2020.08.23. 15:28

좋은 정보네요.잘봤습니다

[불지옥반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청정수
청정수
2020.08.24. 06:59

혹시 open gl과 vulkan의 점수차이도 알수있을까요

[청정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해커
글쓴이
감자해커 청정수 님께
2020.08.24. 15:16

vulkan은 순위가 비슷해서 적지않았어요.

[감자해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리뷰 게시판 이용 수칙 210623 admin 21.06.23 2 30647
580 리뷰 [짧은 리뷰] 맥북 에어로 개발자가 먹고 사는 이야기 [7] file Haze 21.05.25 19 8625
579 갤럭시s20 스피커는 구조상 음질개선이 힘들다.(추측글) [42] file 감자해커 20.02.22 3 8252
578 리뷰 ARM 윈도우는 좋습니다 [15] 정한Rycont 23.01.14 14 8248
577 강의 Termux 리눅스 강좌 3부 : Widget으로 빠른 실행/종료 설정하기 [15] file 흡혈귀왕 23.07.24 17 8220
576 리뷰 갤럭시 야간 동영상 촬영 화질이 떨어지는 이유 정리! [32] file 감자해커 21.10.03 57 7995
575 리뷰 갤럭시A82 퀀텀2 간단리뷰. 질문받아요 [47] file 감자해커 21.04.13 27 7972
574 리뷰 생폰느낌 케이스들이 다 쓰레기인 이유 (케이스 업체들 꼭 보세요) [18] 코러스 23.03.05 9 7807
573 리뷰 ARC 리뷰: 다음 세대를 위한 브라우저 [28] file 그냥페퍼 22.12.02 18 7505
572 리뷰 서피스 프로 x 3일 사용기입니다. [14] file uacuac 22.02.18 4 7238
571 리뷰 갤럭시S21 울트라 구매 6개월, 장점4가지 단점3가지 후기 [7] file 감자해커 21.08.05 25 7216
570 리뷰 젠하이저 hd450bt 리뷰 (지금은 게이밍 헤드폰이 되어버린...) [2] file 알휙 21.06.15 1 7132
569 갤럭시S20와 스냅드래곤865가 만나다. 벤치마크 총정리 [23] 감자해커 20.03.16 11 7017
568 리뷰 LG V60 리뷰 1: 외관 및 성능 [39] file LG산흑우 21.02.11 31 6935
567 HDR 안쓰는게 더 맞는 듯 합니다. [11] file 영화과부도 20.02.26 0 6904
566 리뷰 드디어 쓰는 One UI 5.1 CSC 변경 강좌 [8] file 하늘목장 23.08.14 10 6861
565 리뷰 WF-1000XM4 vs 버즈2프로 비교사용기 [11] file BCOM 22.10.20 8 6587
564 리뷰 케이스티파이 아이폰 맥세이프 케이스 후기입니다. [4] file 에카 21.05.23 2 6580
563 리뷰 시계알못의 애플워치 밴드 종류 롱텀 사용기 [17] file 히타기새 22.06.04 20 6451
562 리뷰 에어팟 3세대 간단 (음색) 리뷰 + 적응형 EQ 체감 방법 [13] file mnene 21.11.27 7 6432
561 리뷰 갤럭시Z폴드3 반년 사용기 ::: 폴더블은 메인스트림이 될 수 있을까 [32] file Stellist 22.02.12 40 6413
560 리뷰 DP1.4 to HDMI 2.1 케이블 사용기 - HB693 : Club3d의 훌륭한 대체제 [11] file 하늘목장 22.01.15 4 6115
559 리뷰 Mi Band 7 - 24시간 사용 리뷰 [28] Alternative 22.06.25 22 5863
558 리뷰 아이폰 13 미니, 10일차 사용기 [7] file Eliole 21.11.18 8 5854
557 리뷰 삼성 갤럭시 Z 플립3 5G 개봉기 [2] file Memeko 21.08.23 16 5638
556 리뷰 폴드에 S펜을 조금 다르게 붙이고 다녀봅시다. (인라인 마그네틱 홀더 후기) [14] file Terrapin 21.09.07 20 5609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