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RISCVCC

미니 나는 플라스틱이 좋아요...

  • RISCVCC
  • 조회 수 576
  • 2020.12.04. 22:26

플라스틱 후판 기구물을 휙휙 휘어본 다음 다시 뒷판 자리에 붙일때 래치들이 완벽하게 짤깍짤깍 체결되면서 일말의 유격조차 없이 맞아들어가는 엘레강스한 그 맛을 잊지 못합니다.

 

재질 물성도 마치 마법같죠. 웬만큼 휜 건 시간이 지나면 마술같이 원복. 매직이여 매직....

 

그에 바해 유리 뒷판은.....  겉태는 얼핏 좋아 보이는데 결국 뜯어보면 양면테이프 고정 그런 걸로 땜빵해 놔서  플라스틱 후판의 완벽한 기계적 체결이 가져다 주는 그런 정교하고 샤프한 맛이 없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는....  제가 빠는 플라스틱 후판 수준은 최소 삼전 핸드폰 역사상 공전절후의 디자인의 금자탑  갤알파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것....  

 

갤알파는 아직도 내비용으로 현역으로 쓰면서 운전할 때마다 영접하고 있습니다.

 

 

댓글
16
민초치킨
1등 민초치킨
2020.12.04. 22:29

일단 플라스틱쓴다면 가격 상당히 낮춰야지 납득이 될거같습니다

[민초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ISCVCC
글쓴이
RISCVCC 민초치킨 님께
2020.12.04. 22:31

분리형배터리로 회귀하면......

[RISCV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북두칠성
2등 북두칠성
2020.12.04. 22:32

갤럭시 알파 디자인이 그렇게 좋았나요...? 전 진짜 별로던디..

[북두칠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ISCVCC
글쓴이
RISCVCC 북두칠성 님께
2020.12.04. 22:47

바로 그 앞의 디자인이 5였습니다....  대일밴드...

[RISCV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wilightMint
3등 TwilightMint
2020.12.04. 22:33

저도 마감 괜찮은 플라스틱 자체는 긍정적으로 보는데, 선생님처럼 모든 소비자가 재질 물성이나 기계적 체결까지 생각하면서

제품을 구매하진 않으니까 플라스틱이 별로라는 의견이 더 많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네요 

[TwilightMi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ISCVCC
글쓴이
RISCVCC TwilightMint 님께
2020.12.04. 22:45

저야 그 당시에는 하는 일이 일이다 보니....

[RISCV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P하나
cP하나
2020.12.04. 22:40

갤럭시 알파는 진짜 평범한 삼성을 초월한 디자인이었는데 부활을 안하네요.

[cP하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쿼드쿼드
2020.12.04. 22:52

플라스틱이 좋았던건 배터리를 교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그 마저도 아니면 딱히 메리트를 모르겠습니다....

[쿼드쿼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oya225
hoya225
2020.12.04. 22:47

알파 이뻤죠. 그때가 삼성이 플라스틱 장인이었는데 이제 글라스틱 장인으로 다시 태어나려는듯 하네요

[hoya22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2020.12.04. 22:59

그것때문에 오히려 유리를 쓴다는것, 특히나 플래그쉽에선 이런 재료를 쓴다는게 의미가 있는것이라고 봅니다.

고급제품이 마땅히 있어야할 고급스러운 무드를 풍기면서 동시에 높은 유지보수성을 가지는게 애시당초 그렇게 많았나싶네요.

치밀한 설계와 다루는데 상대적으로라도 더 리소스 투입이 많이 드는 재료일수록 유지보수성이 떨어지는게 거진 필연적이죠

요즘 세상에 스마트폰같은 일상적인 전자제품은 더이상 설계생산유지보수등의 기술적인 부분과 공산품의 의미만을 내포하진않는다고 봅니다.

수없이 쏟아지는 많은 공산품들로 인해 전반적인 제품이 상향평준화된 지금 요즘 소비자들은 물건을 고를때 물건의 카테고리를 넘어서는 가치를 요구합니다.

거기에 개성이든 장인정신이든 심미성이든 어떤 수식어가 붙든간에 말이죠

순전히 공산품의 특성들만을 온전히 갖춰야하는것은 중급-보급기까지라고 봅니다.

하이엔드, 플래그쉽에서 한번 설정된 이미지는 지워내는게 쉽지도않고 마냥 성공적이지도 않아요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ISCVCC
글쓴이
RISCVCC Sunrisu 님께
2020.12.04. 23:02

맛폰의 전면은 처음부터 유리였습니다....

 

왜 전면유리는 그동안 아무도 고급컨셉으로 거들떠보지도 않았는데 유독  후면유리만 고급으로 생각하게 되었을까요...

[RISCV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RISCVCC 님께
2020.12.04. 23:23

전면유리는 원래부터 모두가 그랬기때문이 가장 크고 전면 유리만으론 어떠한 무드를 연출했던것이 한계성이 명확해왔기때문입니다.

전면유리는 결국 정전식터치의 feeling과 패널 보호를 위한 기능적인 요소에 포커스가 주로 맞춰져왔고 이것은 모두가 대부분의 경우 티어 구분없이 이뤄져왔으며 전면에 그렇다고 유리라는 소재의 기능적인 면이 심미성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게 해주는 복합적인 요소가 들어가는 경우도 없없습니다.

패널등의 직접적인 부담요소가 그나마 적기에 어느정도 개성구분이 뚜렷할 수 있는 후면과 달리 폼팩터 구분없이 획일화된 전면의 디자인적인 틀내에선 전면 유리의 디자인적 고급화가 충분히 이뤄진적이 없고 사실상의 시각적인 면에서 비중자체도 그런 경우 패널에 더 우선적으로 이뤄지기때문일것입니다.(무엇보다 통상적으로는 전면에서 유리가 한번 더 덮여있는 경우를 상시 자각하고있는 경우가 일반적으론 많지않습니다. 대개는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로 패널과 그위에 덮여있는 유리까지 퉁쳐서 이야기해버립니다)

사실상 소재의 고급화는 하이엔드이상이 당연히 갖춰야할 덕목이라고 봅니다.

많은 것이 상향평준화된 요즘 일정 티어이상에선 기능적인 것 이상을 다뤄야지요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ISCVCC
글쓴이
RISCVCC Sunrisu 님께
2020.12.04. 23:35

폰업체들이 전면 후면 할 것 없이 디자인이 엄청 신경썼는데요...  카메라홀 위치부터 해서 베젤리스 경쟁에  인피니티 다스플레이까지...  

 

갤알파만 봐도 전면유와 후면플라스틱과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디자인이 들어가 있습니다.

[RISCV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RISCVCC 님께
2020.12.04. 23:41

그래봐야 후면에 비하면 지나치게 한계가 명확합니다

일단 기본적인 컬러배합부터 시작해서 공간여백이 많다보니 디자인적인 레이아웃 구성 한계자체가 넘사벽으로 차이가 난단 말이죠

더군다나 전면은 패널이라는 최우선적 불안요소가 있지요

더군다나 워낙 차지하는 면적이 넓다보니 디자인기조의 포커싱자체가 후면과는 완전 다릅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ISCVCC
글쓴이
RISCVCC Sunrisu 님께
2020.12.04. 23:45

그거 있잖아요 그거....    거 뭐시냐...  노.치.디자인.

 

후면이었으면 생각조차 못할 그거.  

 

애초에 후면유리를 퍼뜨린 4와4S시절에는 전면 스피커구멍 등이 있어서 디자인적 어레인지를 가할 부분이 많았습니다.   

[RISCVC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RISCVCC 님께
2020.12.04. 23:54

제가 말씀드리고싶은건 결국엔 패널같이 압도적으로 비중이 큰 파트로 인해 디자인의 포커싱 자체가 그 위주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노치도 수많은 그것의 예시중 하나이구요.

말씀하시는 의도는 알겠으나 개인적으론 디자인에 대한 기조가 엔지니어링적인 시각에 많이 초점이 맞춰져있지않으신가합니다.

ARMCC님께서 말씀하시는건 이전부터 여러 커뮤니티에서 보아왔지만 제대로 길게 이야기해본것이 이번이 처음인데 업계가 이쪽이신것같기도하시네요.

전 이쪽 분야는 개인적인 흥미로 오래도록 재미로 전공공부하듯 공부한것이고 본래는 디자인계통의 인간이었던지라 시각의 차이가 벌어지는것같기도합니다.(끝이없을것같아요...)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84 13
핫글 미니 갤럭시 무충 솔직히 쓸모없습니다. [21] update 윤이 24.06.02 1143 9
핫글 미니 엘라이 X 엠바고 풀렸나봐요 [13] file Alternative 24.06.02 1079 7
핫글 미니 잡담: M2 아이패드 에어 모델, GPU 1코어 죽인 컷칩 구성 [15] Section31 24.06.02 920 6
92059 미니 에어팟 맥스는 진짜 땡기는 구석이 단 한군데도 없네요 [15] 긴닉네임2003291156 20.12.08 393 1
92058 미니 하얀 맥스 걱정스러운게.. [1] 루딱이 20.12.08 196 1
92057 미니 맥OS를 한번도 안써봤는데 M1맥 써보고 싶네요. [2] 전설의고양이 20.12.08 236 0
92056 미니 내년 삼성 im부문 영업이익이 궁금하긴 하네요.. [4] Eidio 20.12.08 211 0
92055 미니 에어팟 맥스 549달러면 [7] 으하하핳 20.12.08 272 0
92054 미니 에어팟 맥스 로고 박아넣어주지 [6] file 오토카모 20.12.08 372 0
92053 미니 누가 애플아니랄까봐ㅋㅋㅋㅋㅋㅋㅋㅋ [3] file Alternative 20.12.08 464 1
92052 미니 결국 헤드폰이 나왔군요... [8] file 브니엘 20.12.08 346 0
92051 미니 에어팟 맥스 549달러인데 [5] 플롱 20.12.08 233 1
92050 미니 소니는 엑시 뒤집어졌네요 플롱 20.12.08 367 1
92049 미니 Apple, 오버 이어 헤드폰 AirPods Max 공개 [5] file 프로입털러 20.12.08 454 1
92048 미니 아이폰 이것만 개선되면 메인폰으로 쓴다 [7] HQteam 20.12.08 251 0
92047 미니 긱벤치에 로그폰 4로 추정되는 점수 업로드 됐네요 [2] file 신규유저 20.12.08 158 0
92046 미니 구글 전화로 csc 변경하실때요 [3] 그이 20.12.08 392 0
92045 미니 도대체 200g 넘는 폰 쓰시는 분들은 다들 근육맨이십니까...ㅠ [18] 실바누스 20.12.08 534 3
92044 미니 인텔이 빅리틀 구조에 목매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3] RISCVCC 20.12.08 483 0
92043 미니 트위터에서 엑시노스 2100 루머가 또 나오는군요. [11] file 전설의고양이 20.12.08 623 6
92042 미니 샀슈 file 바보비버 20.12.08 151 2
92041 미니 왔슈 [5] file 쪼다 20.12.08 266 1
92040 미니 플레이스토어가 64비트로 업그레이드 됬다네요. [5] 이시우배찌 20.12.08 556 2
92039 미니 갤럭시s20 안드로이드11 리커버리모드 들어가지나요? [4] 그이 20.12.08 2674 0
92038 미니 S20 울트라 후면카메라 유리 잔기스 많이 생기나요? [4] dlwlrma 20.12.08 737 0
92037 미니 s20보다 s20fe fhd가 더 선명한가요? [9] 대왕오징어 20.12.08 557 0
92036 미니 동일조건 깔아놓고 한번 투표를 해봅시다. [33] 헤페바이쎄 20.12.08 461 0
92035 미니 그 옛날 국방모바일보안 [5] file 감비아산도나츠 20.12.08 906 0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