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RISCVCC

미니 제가 미니폰의 진성 실수요자이기는 했습니다.

  • RISCVCC
  • 조회 수 676
  • 2020.12.10. 00:01

제가 두 개를 구매했던 게   바로 희귀폰인 S4미니와  갤알파 두 모델이었습니다.

 

물론 만족하며 잘 써먹었죠...  뭐 갤알파는 처음에 효도폰으로 흘러갔다가 회수해서 다시 쓰는 중이지만.

 

....

 

그런데 요즈음 같이 폰으로 뭘 많이 봐야 하는 환경에서는  미니폰의 입지는 좁을 수 밖에 없겠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A90으로 잘써먹는 중입니다.  확실히 폰이 크니까 미코질 하기가 편해요.  (바로 직전이 S9 기본모델이었습니다.)  휴대성이야 좀 떨어지지만 충분히 감내할 만한 트레이드-오프 죠.

댓글
17
1등 Sunrisu
2020.12.10. 00:30

절대적으로 큰 폰보다는 시대흐름상 확실히 적다는건 저도 인정합니다만 지금 내놓은 애매한 물건들로 나온 수요만 보고 라인업 유지조차 못할정도로 수요가 없다라고 보는건 실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작은 폰을 희망한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말그대로 축소만 된 소형 플래그쉽을 원하는거지 ap만 동급이고 뭔가 자잘하게 형제모델보다 부족하거나 티어자체가 낮은 소형 하이엔드나 소형 퍼포먼스를 원하는게 아니거든요

절대적인 수요는 당연히 부족하겠지만서도 라인업 유지조차 지금처럼 고민하게 만드는 수요는 또 아닐거라고 봅니다

여성이나 신체사이즈 자체가 전반적으로 왜소하거나 아담한 축에 속하는 저같은 이들은 무게가 무겁거나 무게배분이 안좋거나 손가락이 완전히 안닿거나 하는게 생각보다 크리티컬하게 여겨지기에(경험전까지 혹은 무겁고 큰 기종에 대한 경험이 적은 어린 연령대일땐 신경 덜 쓰는것같으면서도 나이를 먹을수록 확 와닿고 신경쓰게되는 파트더군요)

이를테면 큰화면으로 영상이나 브라우징할때 좋아도 그 폰을 들고보게될경우 잡고있던 손의 손가락이 애매하게 안닿아서 컨트롤이 최소한의 횟수로 이루어지지못한다거나 손목이 아파서 내려놓게된다면 그것은 화면 사이즈의 메리트를 넘어서는 짜증남입니다(원래 인간은 불편함이 더 크게 와닿는 종족이기도하구요)

또 어느정도 신장이 평균남성 수준이거나 있으신 분들에게 요즘의 플러스모델 수준의 화면사이즈가 작고 아담 혹은 왜소한 신장을 가진 이들에게 어느정도는 비례해서 보다 작은 사이즈와 비슷하게 느껴지는게 없지않아있는것같습니다.

인체는 본디 시각뿐 아니라 다른 감각도 무언가를 구별 혹은 판단하기위해 사용하는데 그런 면 때문이지않을까 합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unrisu 님께
2020.12.10. 00:17
Sunrisu 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민폐인생 Sunrisu 님께
2020.12.10. 00:26

소재 때문에 작은 폰 대신에 큰 폰 구입하는 거라면, 작은 사이즈가 가져다 주는 효용보다 고급스러운 소재가 가져다 주는 효용이 더 크다는 이야기일 것이고, 그렇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굳이 작은 폰을 출시할 필요가 없는 거 아닌가요?

[방구석민폐인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방구석민폐인생 님께
2020.12.10. 00:31

소재 카메라, 디자인등 미묘하지만 모여서 큰 차이를 이루는 것들이 제법 많습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unrisu 님께
2020.12.10. 00:31
Sunrisu 님, 5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민폐인생 Sunrisu 님께
2020.12.10. 00:42

그러니까 그런 것들을 다 제치고서라도 작은 사이즈가 가져다 주는 효용(큰 사이즈의 불편함)이 크다면, S10e나 아이폰 미니가 개떡같이 나오더라오 구입하는 건 적은 폰 수요자들에게는 당연한 선택이라는 겁니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사이즈 외적인 요소로 작은 폰에 대한 수요가 바뀌는 이유는 '나는 작은 폰을 원하기는 하는데 플래그쉽보다 디자인이나 성능이 떨어지면 그냥 플래그쉽 살래'라는 것밖에 안 된다는, 그정도로 간절하지 않다(효용가치가 적다)는 거죠

[방구석민폐인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방구석민폐인생 님께
2020.12.10. 00:43

제말은 앞서 다른 게시물에 이야기한것과 종합하녀 그러니까 애시당초 그정도 영역에 대한 결론도출은 굳이 기업 리서치단계가지 가지않더라도 일반적인 커뮤니티정도에서도 충분히 쉬이 나올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겁니다.

소형이란 가치가 아무리 큰 비중을 가지더라도 다른 모든 것을 무마할 정도의 비중을 가질순 없는것이고 뭐 그때문에 라인업을 굳이 여럿 늘릴 필요가 없는 기업 입장에서는 말씀하신대로 효용가치의 문제때문에 불필요한 이야기라는데는 동의합니다만 굳이 그럴거면 애시당초 12미니나 s10e같은 라인업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것입니다.

소형을 원하는 사람들 대다수에게 있어 반드시 소형이라는 가치가 다른 모든 가치를 합한것보다 높은 비중을 가질수도 가지는것도 어렵기에 어느정도 현재의 프로사이즈정도로 타협을 하더라도 다른 가치를 챙기려고 하는거죠.

전 소형을 원하는 이들에게 있어 다른 가치가 각 10정도의 비중을 가진다면 소형이라는 가치는 30-40정도의 비중을 가진다고 느끼고있습니다.

단일가치로는 확실히 다른것보다 높지만 묶어놓고보면 다른 가치의 합보단 낮을수밖에없겠죠.

사실 처음엔 신체사이즈때문에 소형 선호도가 높은 이로써 아쉬워서 한 소리가 점점 길어지고 이야기가 오가다보니 복잡해진 감도 있습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방구석민폐인생 Sunrisu 님께
2020.12.10. 00:52

그런 논리라면 라이트하게 작은 폰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아이폰 프로 미니 같은 제품들이 의미없는 게 되지 않을까요?

 

결국에는 미니 프로를 출시하던 미니를 출시하던 결과는 비슷했을 것 같은데요?

[방구석민폐인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ord Sunrisu 님께
2020.12.10. 00:27

이 분이 쓰신 전 글 보시면 될 듯 합니다. 작은폰의 수요가 확실히 있다면 약간씩 빠져도 확실히 제조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할만큼 파이를 먹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폰 12 미니는 딱히 크게 너프된 부분도 별로 없구요. 

[Chor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Chord 님께
2020.12.10. 00:33

너프라는것이 기덕기준의 너프와 실제 소형폰을 선호하는 주류인 일부 여성층 및 약간 적은 남성층 일반인의 기준하고 다소 다릅니다.

프로와 일반 모델을 실제로 보면 명백한 티어구분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드웨어적 스펙을 넘어서는 영역입니다.

소위 논란이 많은 감성의 영역이죠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닉네임없음
닉네임없음 Sunrisu 님께
2020.12.10. 00:29

작은폰 수요 자료가 있나요?

[닉네임없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닉네임없음 님께
2020.12.10. 00:35

기업체든 어디든 통계자료가 있는지 있다면 정확히 소형폰에서 원하는 것이 , 그 이미지가 무엇인지까지 세세히 수집한 자료가 솔직히 있을것같진않고 일단 제 능력한계인지 보진못했네요

단순히 작다에만 포커싱을 맞춘 자료라면 전반적인 여론이라던지 다수의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통계를 낸 자료를 몇번 본 기억은 있습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MrHS 님께
2020.12.10. 01:17

음.. 제가 큰 폰을 샀다혹은 살거라는 이야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만..제 기준에서 큰 폰이래봐아 아이폰 12프로정도지않을까싶긴합니다.(맥스가 아닌)

일단 현시점에서 제가 메인으로 쓰는것들은 전부 일반적으로 중형이하 소형으로 분류되는 기종들입니다.(물론 과거에는 수많은 기종을 만져보았던터라 대형기종들도 제법 있었습니다만)

그래서 말씀하신걸 기반으로 이야기드려보도록하겠습니다만 굳이 소형폰이 없더라도 자사 제품을 사줄 소비자가 있는 마당에 굳이 소형폰을 실험이든 입문용이든 내놓은 기업체들이 말도 안되게도 있긴하네요.

물론 그 결과는 신통치못한 편이긴합니다만 제가 아쉬운 것은 물론 기업의 어떤 입장에선 자사의 타 제품을 갉아먹을 수도 있는 위험성도 있고 아직 방향이 결정되지도않은 라인업을 무턱대고 최상위라던지에 위치시킬수도 없을것입니다만 동시에 애초에 그래도 불분명하고 어느정도 예정되있던 모델을 본인들의 리소스든 비용이든 시장성이든 손해를 감수하고 내놓긴했지않습니까?

그것도 신규설계로 말이죠.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기업이 가져야할 다른 입장에서는 테스트배드가 될 기종이라면 차라리 중저가이하의 제품군이라던가(se,a) 아니면 차라리 최대한 모든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최상위라인업이 알맞다고 말입니다.

전자는 신흥시장등을 타겟으로 한다면 어느정도는 의미가 없지않은 결과를 모을 수도 있고 무엇보다 전적으로 손해도자체가 현저히 낮습니다.

반면 후자는 규정된 폼팩터내에서 낼 수 있는 한계치까지 내보았음에도 더이상 안 산다면 애매하지않고 정말 확실한 어찌보면 통계등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업입장에선 가장 의미있는 결과를 낼 수 있지않나하고 말이죠

어차피 한두세대 안으로 끝날거라면 그리고 어차피 손해를 어느정도 감수하고 추가라인을 신설했다면 이런 스탠스를 취하는게 더 적합치않을까하고 아쉬움에 한 소리입니다.

뭔가 선생님과 크게 불타며 논쟁할 생각까진않습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G965U
SM-G965U Sunrisu 님께
2020.12.10. 01:19

글쎄요. 이번 아이폰 미니 감산에 프맥 증산 뉴스 뜬거 보면 절대적으로 작은폰에 대한 수요는 시끄러운 소수에 해당한다고 보여요. 결국 기업이 많이 팔리는(수요가 있는) 쪽으로 움직이는데, 애플이 이번에 내놓은 아이폰 12 미니는 화면도 올레드라서 차별점은 작은 크기로 인한 작은 배터리 용량 말고는 없다시피 합니다. S10e는 이것저것 많이 빼서 진짜 수요에 맞지 않는다고 항변을 한다 쳐도 아이폰 12 미니 감산과 프맥 증산이 의미하는 바는 명확합니다. 소니가 라인업 쳐낼때도 컴팩트 라인업부터 쳐냈죠. 감성이니 뭐니 할 필요 없이 작은폰에 대한 수요가 기업입장에서 신경쓸 만큼 크지 않다는 강력한 증거가 바로 나오는걸요.

[SM-G965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nrisu SM-G965U 님께
2020.12.10. 01:39

그 의미나 말씀하고자하시는 바를 부정하거나 이해못하는건 아닙니다만 사실 말이 이래저래 길어졌는데 감산이전에 아예 프로같은 확실힌 라인업으로 내놓을 수 있었다면 분명 중,대형폰들보다 수요는 확실히 적더라도 지금보단 나은 결과가 나왔을거라곤 생각합니다.

기업입장에서야 물론 어느쪽이던 상대적으로 타 라인업에 비해 저조한건 맞긴하겠지요.

저는 소형 폰의 수요가 과대평가나 과소평가 어느쪽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왕 어느정도 리소스나 R&D비용을 투자해서 결과자체가 예상되더라도 라인업을 신설할 계획이었다면 좀 더 확실힌 물건을 내놓길 바랬을뿐입니다.:)

사실 소형폰 지지자의 입장에서 그리고 다른 많은 지지자들의 입장을 들어본 입장에서 12라는 라인업은 하드웨어적으론 크게 빠진건없지만 프로라는 라인업이 존재하는한 니즈를 충족시키기엔 약간 부족한 라인업이라고 판단되거든요.

물론 기업입장에서 이걸 프로로 내놓는다는 것에 대한 위험부담이나 생각을 이해하지못하는 바는 아닙니다만 어차피 결과를 어느정도는 예상했었을테고 그럼에도 시도했다면 한두세대밖에 못가더라도 확실한 것을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반정도 묻어난 이야기였습니다

[Sunrisu]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atsel
2등 katsel
2020.12.10. 01:16

기업은 그냥... 안팔리면 안팝니다...

 

n백만대는 팔릴 기기를 런칭 해보고 결정 내릴 수도 없고 시장이 실험실도 아니고 변인통제 감안 해줄 필요도 없죠. 같은 울타리 안에서 스펙 급간차를 하나도 안뒀다면... 디자인이 이랬다면... 가격이 더 쌌다면... 여러 변인을 찾아봤자 "원래 이 모델의 역할은 '이거'야"라고 생각하고 머천다이징 시트 구성했는데 예상에 안맞으면 차후에 조정이 들어가는거죠. 영화나 드라마 배우 캐스팅하고 비슷하다고 생각하네요.

[katse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18 13
핫글 미니 재부팅 하기 좋은날 Seaz 07:52 437 15
핫글 미니 호민증 [12] file 개구쟁이 24.06.09 583 7
핫글 미니 신한 슈퍼sol은 정말 실망이네요 [14] 숨겨진오징어 24.06.09 1028 7
70721 미니 4K모니터 엘지제품 LG 32UN650 제품 괜찮을까요 [5] file 까꽁이냥 22.01.12 675 0
70720 미니 노트9이 여러모로 완성도 자체가 높은듯 해요. [9] 하루살이2 22.01.12 675 1
70719 미니 [잡설] 샤오미든, 오비원이든, 픽셀이든... 국내에선 갤럭시입니다. [10] 독고노인 22.01.25 675 4
70718 미니 [루머] 갤럭시S22 시리즈 글로벌 지역별 출시 일정 상이 [4] 프로입털러 22.02.09 675 0
70717 미니 글카도 냉각핀은 스뎅이쥬 [6] file sourire 22.02.13 675 2
70716 미니 정품케이스는 미리 구입해야 합니다. [11] SM-S906 22.02.14 675 0
70715 미니 워치를 사니 필요한게 생겼네요 [6] 빅코 22.02.19 675 1
70714 미니 손발이 차가워지고 겨땀이 날정도로 긴장되는 경험을 했읍니다 [7] file 애상 22.02.23 675 14
70713 미니 아이폰으로갈지 중국폰으로갈지 고민인이유 [14] 노틀담의꼽추 22.02.27 675 1
70712 미니 GOS문제 안드로이드12 이상 모든 갤럭시 대상아닌가요? [6] 바라보다 22.03.03 675 2
70711 미니 오목교 전자상가 GOS 올라왔네요 [2] Eastinny 22.03.05 675 5
70710 미니 초고속 무충 듀오 신형 원래 워치4 걸핏하면 충전 잘 안되나요? [6] 몰로하지 22.03.30 675 0
70709 미니 이시점에 s20, s20+, s20u만약에… [5] 요기조기 22.04.18 675 2
70708 미니 운동 하면서 찍은 야간샷 [9] file Kanata 22.04.22 675 4
70707 미니 도착했슈 [1] file tdpc 22.05.31 675 2
70706 미니 아래 S22 G-cam VS S-cam [6] file S.R 22.06.09 675 9
70705 미니 S22 햇빛에서 흰색 날려버리는건 여전하네요 [2] file ′Ultra′ 22.06.17 675 1
70704 미니 HP3의 슈퍼 QPD와 HP1의 더블 슈퍼 PD 비교 [11] file 흡혈귀왕 22.06.23 675 2
70703 미니 카톡 폰 어플이 유독 무거운가봐요 [7] bluesun 22.07.07 675 0
70702 미니 너싱폰 쿠팡에서 판매할까요? [1] aleji 22.07.13 675 1
70701 미니 일부 저가 USB허브에서 특정포트가 USB2.0만 나오는이유.mp4 [7] 스퀴니 22.07.21 675 2
70700 미니 IOS 16 베타를 쓰면서 느꼇던 앱 문제 [4] 잇흥 22.07.22 675 1
70699 미니 s21 쓰시는 분들 발열 견딜만 하신가요? [20] 크나앙 22.07.26 675 2
70698 미니 영국 삼성, S22를 이용한 도시의 야생동물 사진 홍보 file AquStar 22.07.29 675 2
70697 미니 확실히 S22 투고 때보다 느낌이 다릅니다 숨겨진오징어 22.08.13 675 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