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자유 게시판 *자유로운 대화공간입니다. 회원간 예의를 지켜주세요. #정치글 #친목 금지

Angry

서울대 의대 김주한 교수님의 코로나 19 백신과 앞으로의 예상

  • Angry
  • 조회 수 525
  • 2020.12.15. 23:16

다운로드.jpeg.jpg

 

김주한 교수 약력

-서울대 의대 졸업

-서울대 의대 의학박사(뇌신경영상술)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전문의/전임의

-미 하버드 의대 박사후 연구원

-미 M.I.T. 공학석사(의료정보학)

-前 하버드 의대 조교수 역임(생명정보학)

-現 서울의대 교수, 생명-의료정보학, 정신과학

-시스템 바이오 정보의학 연구센터소장, 정보의학실장

 

 

 

본 내용 

 

1. 겨울: 예상은 했지만, 코로나는 겨울에 매우 강했다. 중국도 19년 가을에도 이미 조짐이 있었던 듯하지만, 막상 터진건 12월~1월이었다. 지금도 추운 지역(유럽)은 난리고 더운 지역(동남아)에선 대체로 약하다. 춘삼월까지 긴 터널을 대비하라.

 

2. 백신 vs. 치료제: 치료제로는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없다. 물타기 하지마라. 언젠가 치료제가 더 중요해질 날이 오겠지만, 지금 필요한 것은 백신이다.

 

3. 접종시기: 빠를수록 좋다. 내년 겨울이 오기전에 집단면역(3000만 접종)에 도달하지 못하면 우리는 또 2022년 봄을 기다릴 것이다.

 

4. 부작용/효과: mRNA 백신이 제일 좋다 (모더나, 화이자). 전달체(아스트라, 스푸트니크)는 효과가 좀 떨어지고, 부작용도 더 많다. 둘을 섞어서 시험해본다니 기다려보자. 구식 바이러스 무력화 백신(시노백)은 저효과/고부작용으로 전국민 접종용으론 위험하고, 정 급하면, 건장한 고위험군(? 젊은 의료인?) 정도에 써볼 수 있겠다.

 

5. 부작용 현황: 모더나 0건, 화이자: 사망 2명 등, 아스트라 2건 (신경학적 부작용), 얀센 1건 (정보 미공개), 시노백 임상중단(사망, 팔 마비), 기타 판단 불가.

 

6. 종식: 미안하다. 종식은 없다. 토착병이 될 것이다. 그게 판데믹의 정의다. 가끔 스스로 사라져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틈틈이 변종이 나오며, 감기나 독감처럼 함께 살아갈 운명이다.

 

7. 면역 지속기간: mRNA 백신도 2회 접종시 3개월 정점에 달한 후 약해진다. 연례행사가 될 가능성이 적지않다.

 

8. 감염자의 백신접종: 걸리고 회복한 사람도 접종이 필요할 듯하다.

 

9. 집단면역: 말들이 많지만,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 목표는 최소한의 희생으로 3천만 명 면역상태에 도달하기다. 걸리거나 백신을 맞거나. 다 맞을 때까지 숨어살거나.

 

10. 최소한의 희생이란 의료시스템이 견딜 수 있는 속도로만 환자가 늘어나는 것이다. 방역이든, 백신이든, 의료시스템 확충이든.

 

11. 중환자실: 현재의 10배 이상 늘려야 한다. 돈 좀 써라.

 

12. 어린이들: 확실히 덜 걸린다. 바로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세포면역일 것이다.

 

13: 청년들: 겨울방학에 청년들이 집에만 머물기를 바라는 것은 아재들의 허망이다. 1월 조기개강하고 원격수업이라도 해라.

 

14. 해외 여행: 적어도 2021년은 아니다. 비즈니스나 특정 목적 여행만 가능하다.

 

15. 미래: mRNA 백신은 노벨상을 받을 것이다. 이 신속하고 안전한 백신 기술은 인구집중과 이동/교류의 한계선이었던 전염병에 대한 통제능력(위생, 상하수도, 항생제, 백신, 정보)을 한 단계 격상시켜, 21세기 도시는 더 과밀화되고 이동은 더 활발한 초연결 사회로 진화할 것임을 예고한다. 소멸을 너무 슬퍼하지 마라. 교통과 환경에 투자하라

 

 

 
 
3줄 결론
-코로나 종식 없음
-돈 존나 풀어서 집단면역 완성 및 의료시스템 확충 시급
-mRNA 백신이 체고존엄
 
 
먼 나라 이야기 같군요 ㅠㅠ
 
Angry
Mobile
-SAMSUNG Galaxy S24 Ultra Titanium Gray 512GB

Tablet
-SAMSUNG Galaxy Tab S9 Ultra Graphite 512GB

Earphone
-SAMSUNG Galaxy Buds2 White

Car
-HYUNDAI Sonata The Edge
댓글
21
갤러리별
갤러리별 스카이라인 님께
2020.12.15. 23:36

흔히 요즘

독감백신4가짜리 1년에 한번씩 맞는거와 비슷하겠죠?

 그나저나

화이자 얀센 길리어드 등 대기업들에서 만능백신?/복합치료제같은 짬뽕제가 나오려면 하세월이겠네요

[갤러리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카이라인 갤러리별 님께
2020.12.15. 23:37

한동안 안고 살아가야 하는 질병이 되어가니...

전세계가 내년에도 많이 힘들 것 같습니다.

[스카이라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러리별
best 3등 갤러리별
2020.12.15. 23:25

누구나 알법하게

쉽게 설명해 준 좋은 글입니다

 

여기다가

사족달면 조정치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갤러리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선라이즈 갤러리별 님께
2020.12.16. 01:40

참 웃기는 상황이죠. 팬데믹에 정치가 왠...

어느 곳은 이미 이 글도 정치화 되었더군요.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민초치킨
민초치킨
2020.12.15. 23:28

중요한건..종식은 없다...이게 제일 큰 문제군요

[민초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errapin
Terrapin
2020.12.15. 23:31

11. 중환자실: 현재의 10배 이상 늘려야 한다. 돈 좀 써라.

 

대한민국 의료 역사에서 돈 아끼려다가 갈등을 빚었던 적이 빈번했던지라 이게 제일 공감이 가네요. 누가 됐든 어디가 됐든 돈 써야할 곳에는 제대로 썼으면..

[Terrapi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errapin
Terrapin 인플라이트 님께
2020.12.16. 00:09

더이상 하면 옳그떠라 전 조용히 있겠습니다 ㅠㅠ

[Terrapi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소소
2020.12.15. 23:33

그런데 이거 의사선생님 '의견'인거죠?

 

[소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러리별
갤러리별 소소 님께
2020.12.15. 23:53

전문가들은 

국내외 막론하고

윗글의 스탠스를 견지하고 있을겁니다

[갤러리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rop
Chrop
2020.12.15. 23:36

13번....아직 종강도 안했는데 말이죠

학생들과 더불에 교수도 준비가 안된 상태일거에요 ㄷㄷ

[Chrop]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M-N960N
2020.12.15. 23:51

아... 내년도 일단 비슷하게 간다고 생각해야하나요ㅠㅠ

[SM-N960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래유
그래유
2020.12.16. 00:14

치료제는 현재 상황에 필요한 의료붕괴방지용처럼 보이는데 물타기하지마라며 저렇게 후려쳐질 이유가 있으려나요..

물론 백신이 제일 중요한건 맞겠지만요

[그래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플라이트
인플라이트 그래유 님께
2020.12.16. 01:08

그렇다고 하기에는 백신보단 치료제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어서요. 백신보다 치료제를 만들고 구하는게 급선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한테 하는 말인것 같아요

[인플라이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래유
best 그래유 인플라이트 님께
2020.12.16. 01:33

회원님께서 말씀하신거처럼 중요도가 백신이 최우선이다를 강하게 말한게 아닌거처럼 느껴졌기 때문에 의문 부호 한번 달아봤습니다.

애초에 치료제는 절대다수가 확산방지용보다는 의료붕괴방지용으로 생각할텐데 예상보다 효과가 떨어진다라든지, 부작용이 있다든지 하는 식으로 치료제가 별로인 이유를 언급해주면서 말하면 그렇구나 하는데 거두절미하고 치료제가 현재 상황에 전혀 쓸모없다는거처럼 강하게 얘기하시니.. 

 

[그래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실바누스
실바누스 그래유 님께
2020.12.16. 10:55

더 중요한건 백신이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고 현재는 확산을 막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는데 치료제가 현재 쓸모가 없다고 받아들이는건 오독같네요 중요성이 백신보다 현저히 떨어진다고 전 읽혀지는데요

[실바누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래유
그래유 실바누스 님께
2020.12.16. 10:58

네 뭐 사람마다 같은 글을 다르게 받아들일 수도 있는거니깐요. 그런 뉘앙스가 느껴졌다 정도입니다.

물론 저도 백신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선라이즈
2020.12.16. 01:40

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간결하게 잘 쓰셨네요.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admin 19.11.25 7 60878
핫글 미코 여러분들께 사과드립니다 [3] 레쓰비 06:26 17 524
핫글 파멸적 물가상승 [9] update Aimer 18:47 8 273
핫글 개인적인 무탄산 제로음료 추천 [21] update 고민은배송을늦출뿐 19:05 7 275
65060 미션 임파서블 7, 8 개봉 연기 [1] 기변증 20.04.25 0 128
65059 1일 1깡 하셔야죠? [2] 프리즘스톤 20.04.28 1 128
65058 Private 1st class [2] file 비온날흙비린내 20.04.30 0 128
65057 다이어트중인데 붕어빵해먹었어요 ㅜㅜ [3] file Futuristics 20.05.03 0 128
65056 시리에 “독도 누구 땅” 물으면 “한국”… 日네티즌 ‘멘붕’ [7] 몽구스 20.05.06 0 128
65055 미게 글을 자게에 써도 이동당하는군요 [7] file Terrapin 20.05.06 0 128
65054 뭐야 무서워요 [1] file Terrapin 20.05.07 0 128
65053 사샀슈 [2] file sands 20.05.09 0 128
65052 재난지원금 동사무소방문후기 [6] 소소 20.05.11 0 128
65051 올여름 서울 시내버스 개문냉방 허용.you [1] BarryWhite 20.05.13 0 128
65050 이태원클럽 방문 아들에 감염된 아버지, 자가격리 어기고 활보 [5] 기변증 20.05.15 0 128
65049 죽어야 사는 여자 39트 기변증 20.05.15 0 128
65048 벨벳보다 싼 이동식 에어컨이 있다?! [4] file 프로 20.05.18 0 128
65047 날씨가 굉장히 이중적이네요 [1] file 루비듐 20.05.19 0 128
65046 우연히 유튜브에 쌈디 관련 영상이 떠서 봤는데 [1] Angry 20.05.19 0 128
65045 오늘 이 팀까지 이기면 완벽한 하루일듯 합니다 [4] file 보거 20.05.21 0 128
65044 자오선 [6] file 쥬지육림 20.05.24 0 128
65043 활동 취지 [13] file Memeko 20.05.25 3 128
65042 배스킨 라빈스 이용자들이 인정한 아이스크림계의 근본 [4] file 긴닉네임2003291156 20.05.25 1 128
65041 ??? : 이번에는 별로 행운의 느낌이 안들어 [2] file 신규유저 20.05.26 0 128
65040 재난문자 조금 열 받네요 [3] [성공]함께크는성장 20.05.28 0 128
65039 오늘도 살라반점 오픈합니다 file Tac 20.05.31 2 128
65038 확진 고3, 롯데월드 갔을 때 증상 있었다 [4] BarryWhite 20.06.08 1 128
65037 대형기기 게시판이 생겼었군요 [9] 프리즘스톤 20.06.10 1 128
65036 요새 전철사고가 자주일어나는거 같아요 [2] Chrop 20.06.13 0 12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