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입털러

삼성전자 – SKT – 카카오, 팬데믹 극복 위한 ‘K-인공지능’ 공동개발한다

삼성전자, SKT, 카카오 등 한국을 대표하는 ICT 기업 3사가 사회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AI 초협력으로 뭉쳤다.

 

삼성전자(무선사업부장 사장 노태문, www.samsung.com),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 www.sktelecom.com), 카카오(공동대표 여민수, 조수용, https://www.kakaocorp.com)는 팬데믹(Pandemic) 시대의 AI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3사는 이번 AI 동맹으로 각 사가 가진 핵심 역량을 모아 ▲미래 AI 기술 개발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AI 활용 방안 연구 ▲AI 기술 저변 확대를 공동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코로나19가 국가 경제 ·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중대한 시점임을 고려해, 우선 코로나 조기 극복과 공공 이익을 위한 AI 개발에 초점을 맞춰 협력을 진행하기로 했다.

 

팬데믹 극복 위한 K-인공지능 개발 SK telecom과 SAMSUNG, kakao를 기점으로 전염병, 재난/재해, 고령화 등 AI 기반 사회적 난제 해결 및 개발 지원, API 공공 개방 등 AI 생태계 확장

이를 위해 3사는 ‘AI R&D 협의체’를 결성했다. 협의체에는 각 사 CTO(최고기술경영자) 또는 AI 전문 임원급이 참석해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향후 국내 타 사업자 참여는 물론, 글로벌 AI 얼라이언스(동맹체) 수준으로 규모 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다.

 

■ “함께 하면 글로벌 최고 AI 만들 수 있다”…영역별 1위의 동맹

 

3사 협력은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0에서 SKT 박정호 CEO가 삼성전자 등 국내 ICT 기업에 “글로벌 AI 전쟁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국내기업 간 경쟁보다는 협력이 필요한 시기”라며 AI 분야에서 초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됐다.

 

삼성전자, SKT, 카카오는 각각 이동통신서비스, 스마트 디바이스, 메신저 플랫폼 등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수년간 AI 기술을 고도화해 왔다. 이 역량을 결합하면 단기간 내에 국내 AI 기술력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고 3사가 결의한 후 협력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이에 3월 공동 실무 그룹이 만들어졌고, CTO급 워크숍을 격주 단위로 정기 운영하고 실무 기획/개발팀이 수시로 온라인 미팅을 진행하면서 핵심 협력 과제를 협의하고 개발 방향 구체적 논의를 진행해왔다.

 

■ 3사 AI 동맹 첫 합작품은 ‘팬데믹 극복 AI’ … 핵심 기술 · 기능 개방

 

3사가 내년 상반기에 공개할 첫 합작품은 ‘팬데믹 극복 AI’다. 이 AI는 현재 위치 주변의 코로나 위험 상황을 실시간 파악하고 → 위험도를 분석하여 → 이용자들에게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고하거나 우회 경로 등을 안내한다. 향후 태풍, 폭우 등 재난 재해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큰 범주 내에서는 재난 알림으로 볼 수 있지만 AI가 이용자의 주변과 향후 이동 경로의 위험도를 예측하여 사전 경고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발생 사실 위주로 알려주는 기존 재난 알림과는 차이가 있다.

 

‘팬데믹 극복 AI’는 유동 인구 빅데이터, 공공 재난 정보, SNS 정보 등을 통해 지역별 위험도를 정교화하고, 스마트폰 등에 기록된 일정, 항공권·공연·숙박 예약 정보, 평상시 이동 경로 등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예측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1. 예를 들어, AI는 서울 을지로 입구역 주변 건물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다는 공공 정보를 바탕으로 당시 주변 유동 인구가 800명, 그중 20%가 역삼동으로 이동했다는 점을 분석해 을지로입구의 위험도를 上으로, 역삼동을 中으로 분석한다. 이에 따라 을지로로 출퇴근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자차 이용을 권유하고, 역삼동의 영화관을 예약한 이용자들에게 거리두기를 안내한다.

 

#2. 은평구에 사는 60대 주부 A씨는 메신저로 “강한 태풍으로 주변 1,500가구가 정전됐다”는 안내를 받고, 심장질환으로 호흡기의 도움을 받는 남편을 위해 AI 비서에게 긴급 구조를 요청한다. 구조를 기다리며 스마트워치로 의료기관에 실시간 심박도 등 건강 상태를 전송한다.

 

또한, ‘팬데믹 극복 AI’에 대형 한국어 언어모델을 포함한 범용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인공지능이 뉴스를 분석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약 · 전달하거나, 다양한 재난 관련 정보 요청을 정확하게 이해해 적절한 답변을 생성해 낼 수 있도록 진화 시킬 예정이다.

 

3사는 ‘팬데믹 극복 AI’로 별도 서비스를 만들기보다는 ‘백엔드 AI 플랫폼(Backend AI Platform)으로 개발한다. 핵심 기능과 기술을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형태로 개발자 · 연구기관 · 기업 등 공공에 개방하고, 앱/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형태이다. 3사가 함께 운영하게 될 별도의 사이트에 내년 상반기 공개 예정이다.

 

■ 코로나 外 고령화 등 사회적 난제 해결 · AI 서비스 공동 개발 등도 맞손

 

3사는 ‘팬데믹 극복 AI’를 시작으로 사회 고령화, 미세먼지 등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AI 연구 협력을 이어 가기로 했다. 5G, 스마트폰, AI, 메신저 플랫폼 등 각 사가 가진 다양한 역량과 사업 영역을 융합하는 등 ICT 전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입장이다. 3사는 동맹체에 협력과 합류를 원하는 ICT기업이 있다면 열린 마음으로 함께할 수 있다는 뜻도 밝혔다.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은 “이번 3사의 협력은 팬데믹 극복이라는 사회적 난제 해결에서 시작해 산업계/학계에서도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 컴포넌트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국내 AI 생태계 성장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유영상 SKT MNO사업대표는 “국내 대표 ICT 기업들의 이번 AI 초협력은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모멘텀이 되는 것은 물론, 대한민국의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민수 카카오 대표는 “훌륭한 파트너들과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며, 앞으로도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팀 우경구 상무(사진 좌), 카카오브레인 박승기 대표(사진 중), SKT 김윤 CTO(사진 우)가 22일 오전 SK 텔레콤 판교 사옥에서 팬데믹 시대 공동 AI 개발에 협력하기로 결의했다.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팀 우경구 상무(사진 좌), 카카오브레인 박승기 대표(사진 중), SKT 김윤 CTO(사진 우)가 22일 오전 SK텔레콤 판교 사옥에서 팬데믹 시대 공동 AI 개발에 협력하기로 결의했다.

프로입털러
Galaxy S22 Ultra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댓글
6
김따란
2등 김따란
2020.12.22. 09:18

아무데나 다 K를 붙이네요ㅋㅋ

[김따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Tac
2020.12.22. 09:21

여기도 K야? ㅋㅋㅋㅋㅋ

[Ta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나수
오나수
2020.12.22. 09:24

카카오는 안드 탭용 카톡이나 얼른 내줘라!!

[오나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전자개복치
전자개복치
2020.12.22. 09:27

한국형이 K- 로 치환된 수준이군요 ㅋㅋ

[전자개복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errapin
Terrapin
2020.12.22. 10:41

망조의 접두어 K-

[Terrapi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03
핫글 소식 아이패드 프로용 나노 텍스쳐 디스플레이, 매우 쉽게 흠집나 newfile Stellist 24.05.30 2 145
핫글 소식 삼성전자: 올해 국내 AI PC, 3대 중 2대 갤럭시북될 것 [2] new BarryWhite 24.05.30 2 423
핫글 소식 코파일럿+ 실행 못하는 1세대 AI PC…얼리 어댑터를 기다린 함정 뉴스봇 24.05.30 2 347
27369 소식 유니티, AI 기반 3D 캡처 솔루션 개발사 레스트AR 인수 뉴스봇 20.12.21 0 79
27368 소식 왓챠, 360억 규모 시리즈D 투자 유치... 누적 590억 뉴스봇 20.12.21 0 136
27367 소식 인텔 11세대 코어 CPU는 로켓 레이크와 코멧 레이크 리프레시 공존? 뉴스봇 20.12.21 0 143
27366 소식 테슬라, 내년 초 월 구독형 완전자율주행 옵션 내놓는다 [1] 뉴스봇 20.12.21 0 276
27365 소식 일부 노트북 절전모드 블루스크린 해결, 엔비디아 핫픽스 드라이버 460.97 배포 file 뉴스봇 20.12.21 0 150
27364 소식 인텔 신형 HEDT CPU 출시는 2022년 2분기? file 뉴스봇 20.12.21 0 99
27363 소식 인텔, 전원관리 칩 사업 미디어텍에 매각 뉴스봇 20.12.21 1 216
27362 소식 AMD 라이젠 5000 시리즈 Non-X는 OEM 전용? 뉴스봇 20.12.21 0 131
27361 소식 애플, 2021년 9월에 애플 전기자동차 Apple Car 출시한다? [12] 뉴스봇 20.12.21 4 999
27360 소식 줌·파이어폭스·오피스 등 주요 앱, M1 프로세서 지원 줄이어 뉴스봇 20.12.21 2 286
27359 소식 인텔, 위기 다가오나…MS마저 탈 인텔 선언 뉴스봇 20.12.21 2 505
27358 소식 美, 삼성에 파운드리 증설 압박? [1] 뉴스봇 20.12.21 0 502
27357 소식 1세대 라이젠과 RX 580에서 SAM 효과 있나? 뉴스봇 20.12.21 0 224
27356 2020년은 전기트럭의 해...승용 전기차보다 더 많이 팔렸다 말없는벌새 20.12.21 0 166
27355 "요금 1000원"…카카오, 세종서 '자율주행 콜택시' 첫 운행 말없는벌새 20.12.21 2 690
27354 소식 애플, 전기자동차 자체 생산하나 [1] 뉴스봇 20.12.22 1 337
27353 [초대장] 퍼스트 룩 2021(The First Look 2021) [2] file 프로입털러 20.12.22 0 369
삼성전자 – SKT – 카카오, 팬데믹 극복 위한 ‘K-인공지능’ 공동개발한다 [6] 프로입털러 20.12.22 0 347
27351 소식 윈도우 10 21H1 업데이트는 누적 업데이트형? 뉴스봇 20.12.22 0 276
27350 소식 아이폰12, 출시 2주 만에 가장 많이 팔린 5G폰 1위 뉴스봇 20.12.22 0 235
27349 소식 삼성 TV 플러스,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으로 확장 뉴스봇 20.12.22 1 128
27348 소식 엔비디아 멀티칩 방식 GPU 호퍼 연기, 단일칩 러브레이스 먼저? 뉴스봇 20.12.22 0 136
27347 소식 LG전자, ‘LG 시그니처 아트갤러리’ 오픈 뉴스봇 20.12.22 0 143
27346 소식 CDPR, 사이버펑크 2077 관련 집단 소송 가나? 뉴스봇 20.12.22 0 322
27345 소식 삼성전자, 내년 하반기 20만원대 '갤럭시 A22 5G' 출시 가능성 뉴스봇 20.12.22 1 488
27344 소식 삼성전자, 내년 1월 6일 신제품 발표 티저 공개 뉴스봇 20.12.22 0 175
27343 소식 아마존·MS·구글 "데이터센터 칩 자체 개발" 뉴스봇 20.12.22 0 75
27342 소식 中비전옥스, 플렉시블 OLED 공장 늘렸지만 수익성은 '글쎄' [1] 뉴스봇 20.12.22 1 155
27341 MS가 칩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 – 서버편 말없는벌새 20.12.22 0 164
27340 애플카, 中과 손잡나...속타는 K배터리 뉴스봇 20.12.22 0 137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