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노틀담의꼽추

미니 발열이랑 온도가 높은건 구분해야합니다

지속적인 공정개선으로 트랜지스터밀도가 높아지는것(칩셋의 크기가축소되는것)에 비해

전력소모는 그만큼 줄어들지않으니 문제가생긴다는말은 이미 오래전부터 나돌던말인데

사실 파운드리쪽이야 정직하게 크기를 축소하던 시대는 14/16nm시절부터 없어졌으니 

무조건 맞는말은 아닙니다..

 

또한 발열이랑 온도랑은 구분을해야하는데 저런식으로 칩셋의 크기축소에비해 전력소모량이 줄어들지않아

크기대비 전력소모량(발열량)이 늘어나면 칩셋의 온도에는 악영향이 있겠으나

전체적인 발열량이랑은 무관한일입니다.. 

 

즉 ap의 온도가 높다고 발열량이 무조건 높다는말이죠.. 이건 구분을해야합니다

어차피 절대적인 발열량은 전력소모량만큼 나는거고 이건 공정축소로인한 문제점이랑은 아무 상관없는 이야기입니다..

일반적인 소비자가 뜨겁다 하고 느끼는건 ap의 온도가 높다 낮다가 중요한게아니라

직접적인 발열량이 중요한거죠.. 다만 스로틀링에는 악영향이 있을수있겠죠..

 

뭐 엑시노스2100이 결국 망해버린느낌이라 이런이야기가 나오는감이있는데

얘는 5nm떄문도아니고 그냥 삼성의역량부족+arm의 빅똥이 합쳐진결과지

공정축소의 부작용이고 뭐고 별 상관없는 이야기죠..

 

공정이축소되서 크기가줄어들고 면적대비 발열량이 늘어난다고해도 지금 엑시처럼

스냅865보다 유지성능이낮은건 그냥 칩셋이 구려서입니다.. 

 

발열이 높다는건 발산하는 열이 많다는거고

ap에서 발열의 수치는 전력소모랑 관련이있는거지

ap의 크기가작고 크고는 중요하지않습니다

면적대비 발열량이 높다고해도 절대적인 발열량이 높다고 말할수있는건 아니죠

단지 "온도"가 높아질수있는거죠

댓글
22
ㄹㅇㅋㅋ
1등 ㄹㅇㅋㅋ
2021.02.05. 20:12

공정 축소가 문제라면 현재 라이젠은 다 불타야죠 ㅎ

[ㄹㅇㅋㅋ]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ㄹㅇㅋㅋ 님께
2021.02.05. 20:15

라이젠이 온도가 전력소모대비 높은편이긴합니다 다만 이건 발열이높은건아니죠 그냥 온도가높은거지.. 발열의 뜻은 엄밀히말하면 열을내는 정도를 의미하는거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ㄹㅇㅋㅋ
ㄹㅇㅋㅋ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0:22
[ㄹㅇㅋㅋ]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ㄹㅇㅋㅋ 님께
2021.02.05. 20:38

동성능에서 발열량 자체가 줄어드는 건 맞지만, 같은 방열량일 때 면적이 좁아지면 열 방출에 불리한 것도 맞긴 하니까요. 실제로 전력 소비량에 비해 라이젠 잘 안 식혀지기는 하더라고요.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2등 MrHS
2021.02.05. 20:34

온도가 높아지는 원인이 칩셋의 단면적 대비 발열량이 증가해서 그러는것 아닌가요? 그리고 이 현상이 공정이 미세화 될수록 심해자는 것이고?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rHS 님께
2021.02.05. 20:36

원인중 하나인거죠 근데 이걸 "발열"이 높아진다고하면 안되죠 발열의뜻은 열을내는 정도를 의미하는거지 칩셋의 온도를 의미하는게 아니니까요 막말로 인텔 200w먹는 cpu에 수냉해서 온도가 60도나온다고 이걸 "발열"이 적다고하진않죠 발열은 무시무시한데 온도가낮은거지..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0:39

제 말은 그냥 그렇게 뭉뚱그려 표현한 것이긴 한데 다들 말씀하시는 "발열"의 통상적인 의미가 제가 앞서 말씀드린 이야기 아닐까 한다는것 입니다. 너무 디테일하게 구분하면 복잡하니까요.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rHS 님께
2021.02.05. 20:41

통상적인 의미로 들어가자면 더 할말이 많아지는게 일반적으로 데스크탑도아니고 스마트폰이 뜨겁다 하는건 ap의 온도가아니라 그냥 기기자체가 뜨거워지는걸로 판단하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rHS 님께
2021.02.05. 20:48

제가 여태까지본 대부분의 테스트도 표면온도나 배터리온도 등을 참조하지 ap의온도가높다 낮다로 기기가뜨겁다 어쩌고하는 리뷰나 테스트는 본적이없는거같습니다 그러니까 더더욱 통상적인 의미에서 ap의 온도가 높아지는걸 "발열"이 많다 높다로 표현하는건 맞지않는겁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3등 나르자
2021.02.05. 20:34

엄밀히 말하자면, 발열이 늘어난게 아니라,

쿨링에 난점이 점점 커져왔다고 하는게 맞긴 하죠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르자 님께
2021.02.05. 20:37

뭐 근데 삼성5nm은 크기축소가 적은편이라 이런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의문입니다 차라리 a14때  많이나왔어야 할 이야기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0:43

뭐.. 같은 5나노라도 풀노드 하프노드 차이도 있고

나노수 내려갈수록 전자 탈출현상을 얼마나 잘 막느냐에 따른 노하우도 다르고 하니까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르자 님께
2021.02.05. 20:45

사실 삼성스마트폰(엑시버전)은 일반소비자가 ap의 온도를 알아낼방도가없습니다 퀄컴과달리 cpuz같은 앱에서도 ap온도센서를 확인할수가없어요 스냅드래곤이 달린 갤럭시는 ap의 온도를 확인가능한데말이죠.. 뭐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돌린다던가하면 알아낼수있을거같긴합니다만..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2021.02.05. 21:48

888도 같이 불탄거 보면 X1문제는 맞나본데. 말리도 포함될까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23

1080 전력소모가 제법심한거보면 말리도구린게맞죠 다만 x1만큼은아니고 평소의 말리수준이 아닐까싶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2:27

1080이 10mp에 클럭 1GHZ정도로 아는데. 어째서 14mp 800대의 2100보다 유지력이 좋은건지..참 그만큼 X1의 역할이 크긴컸나보네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36

예전에도 말한적있는거같은데 9810이후 갤럭시에들어가는 엑시노스의 그래픽성능은 기린보다 못합니다.. 그게 다 몽구스때문+화웨이도 기린칩셋에 gpu유닛 많이넣어가면서 역전되었죠.. 스로틀링걸리는거보면 ap의 tdp제한이 기껏해야 3w~3.5w니까 0.5~1w만 더먹어도 차이가 제법 클겁니다 s21u같은경우 3dmark 테스트를 지속적으로하니 마지막루프쯤에는 배터리소모는 1000~1200mah정도에 머물더군요 이게 약 4w내외입니다.. 화면이나 ap제외한 다른부품 전력소모까지하면 기껏해야 tdp 3w정도가 한계라는거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2:48

기린쪽은 쓰로틀링을 널널하게 잡는다고도 들은거 같긴합니다..만 역시 코어를 많이때려박고 클럭을 낮췄어야했는지..그나저나 기린쪽 TDP는 어느정도인가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51

최근엔 화웨이폰안슨지 좀 됐는데요 기린이 널널하다기보단.. 갤럭시가 타이트하게잡는겁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2:57

Gpu변화되도 이건 변할거같진 않은데 내년에 amd gpu 잘나오길 빌어봐야 겠네요. 솔까 게임할때 겜옵티같은 성능저하 강제로 걸어두는거 보면 심히 렉이 심합니다..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59

말리보다야 좋을확률은 뭐 99%정도되는거같은데..,항간에떠도는 a14 두배성능은 회의적이네요 저 찌라시자체가 꽤 오래묵은 찌라시고 딱히 근거도없어보이고.. 엔비디아대비 상대적으로떨어지는 암드의 gpu기술력이나 최근 gpu유닛에 투자를 덜하는 삼성의 원가절감을 생각하면 더더욱그렇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3:06

뭐 사실 좋다는 것도 저 점수대 성능을 유지하면서 발열,전성비까지 확보를 해야 좋다고 하지..설령 GPU자체는 좋게 나와도 최적화에 막히지 않을까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57 13
핫글 미니 이건 좀 심하네요;; [30] updatefile 애애앵 11:05 1618 15
핫글 미니 OneUI 6 Watch 충전 애니메이션 [12] file 일.칠칠이사오삼팔오 16:46 725 12
핫글 미니 일본여행 Day2-3 [1] updatefile 후루꾸루 09:21 264 9
72584 미니 역대 샤오미 정발 디바이스의 AP 목록 [7] Section31 23.05.27 666 0
72583 미니 시즌 3번째 엑스페리아 입니다 [2] file RASBI 23.06.19 666 11
72582 미니 갤럭시s미니 나왔으면.... [12] 프로놈팡이 23.07.24 666 3
72581 미니 유튜브 실험 기능이 많아졌네요 file MrGom™ 23.07.30 666 1
72580 미니 결국 질러버렸습니다... [5] file 그렇군요 23.08.02 666 12
72579 미니 아이폰 쓰는데 카드 안들고다니고 싶습니다 :( [11] 코러스 23.08.06 666 1
72578 미니 ios17 베타8이 나왔었네요 ++ [4] 댕밤 23.08.30 666 3
72577 미니 M1 Pro 맥북프로 14인치 대략 9개월 사용한 간단 후기입니다 [7] 댕밤 23.09.03 666 4
72576 미니 개취로 프맥은 너무 고배율줌이 아닌가 싶네요 [3] choijm0715 23.09.13 666 4
72575 미니 아이폰 13 프로 1년 더 써도 되겠죠? [11] Kanata 23.09.24 666 5
72574 미니 S23은 어제밤 나온 신펌도 묘한 터치 씹힘이 있는것 같아요 [3] aleji 23.10.08 666 3
72573 미니 홈업 6.0대응 업뎃 나왔네요 [6] file 목적격관계대명사 23.11.01 666 3
72572 미니 갤럭시 A53, A33, A52s 펌웨어 업데이트 [2] file 운김 23.11.20 666 9
72571 미니 갤럭시S 기본형은 소프트웨어만 플래그십이라는 느낌 [4] SOCOM 23.11.30 666 2
72570 미니 라이젠 7 8700G 긱벤치도 나왔네요 [3] 스퀴니 24.01.04 666 0
72569 미니 새해 기념 글꼴 공유 [8] file 푸룬시럽 24.01.05 666 7
72568 미니 s24도 AR 액보 나왔네요 [9] file cP하나 24.01.19 666 0
72567 미니 갤럭시 탭 S9 FE 제품군 안드로이드 17 까지 지원 [5] 운김 24.01.24 666 8
72566 미니 S25울라리는 더 좋겠죠? [2] TIME:TRAVELER 24.02.04 666 2
72565 미니 A55가 SK 단독으로 나올꺼면 M55도 한국 출시해줬으면 좋겠네요. [1] propeller 24.02.23 666 4
72564 미니 Apple 静安 배경화면 (iPhone/Mac) [3] file AlieNaTiZ 24.03.13 666 6
72563 미니 다들 클라우드 뭐쓰십니까 [16] 윤이 24.03.14 666 1
72562 미니 15프맥 뭔가 배터리가 짧아진 느낌이 드는데… [4] file trigun 24.04.18 666 2
72561 미니 ROG 앨리 설계 수정 중 [2] BarryWhite 24.05.06 666 2
72560 미니 1% 한텐 400의 가치가 있는거 같습니다. [4] 윤이 24.05.08 666 8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