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노틀담의꼽추

미니 발열이랑 온도가 높은건 구분해야합니다

지속적인 공정개선으로 트랜지스터밀도가 높아지는것(칩셋의 크기가축소되는것)에 비해

전력소모는 그만큼 줄어들지않으니 문제가생긴다는말은 이미 오래전부터 나돌던말인데

사실 파운드리쪽이야 정직하게 크기를 축소하던 시대는 14/16nm시절부터 없어졌으니 

무조건 맞는말은 아닙니다..

 

또한 발열이랑 온도랑은 구분을해야하는데 저런식으로 칩셋의 크기축소에비해 전력소모량이 줄어들지않아

크기대비 전력소모량(발열량)이 늘어나면 칩셋의 온도에는 악영향이 있겠으나

전체적인 발열량이랑은 무관한일입니다.. 

 

즉 ap의 온도가 높다고 발열량이 무조건 높다는말이죠.. 이건 구분을해야합니다

어차피 절대적인 발열량은 전력소모량만큼 나는거고 이건 공정축소로인한 문제점이랑은 아무 상관없는 이야기입니다..

일반적인 소비자가 뜨겁다 하고 느끼는건 ap의 온도가 높다 낮다가 중요한게아니라

직접적인 발열량이 중요한거죠.. 다만 스로틀링에는 악영향이 있을수있겠죠..

 

뭐 엑시노스2100이 결국 망해버린느낌이라 이런이야기가 나오는감이있는데

얘는 5nm떄문도아니고 그냥 삼성의역량부족+arm의 빅똥이 합쳐진결과지

공정축소의 부작용이고 뭐고 별 상관없는 이야기죠..

 

공정이축소되서 크기가줄어들고 면적대비 발열량이 늘어난다고해도 지금 엑시처럼

스냅865보다 유지성능이낮은건 그냥 칩셋이 구려서입니다.. 

 

발열이 높다는건 발산하는 열이 많다는거고

ap에서 발열의 수치는 전력소모랑 관련이있는거지

ap의 크기가작고 크고는 중요하지않습니다

면적대비 발열량이 높다고해도 절대적인 발열량이 높다고 말할수있는건 아니죠

단지 "온도"가 높아질수있는거죠

댓글
22
ㄹㅇㅋㅋ
1등 ㄹㅇㅋㅋ
2021.02.05. 20:12

공정 축소가 문제라면 현재 라이젠은 다 불타야죠 ㅎ

[ㄹㅇㅋㅋ]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ㄹㅇㅋㅋ 님께
2021.02.05. 20:15

라이젠이 온도가 전력소모대비 높은편이긴합니다 다만 이건 발열이높은건아니죠 그냥 온도가높은거지.. 발열의 뜻은 엄밀히말하면 열을내는 정도를 의미하는거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ㄹㅇㅋㅋ
ㄹㅇㅋㅋ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0:22
[ㄹㅇㅋㅋ]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넬라 ㄹㅇㅋㅋ 님께
2021.02.05. 20:38

동성능에서 발열량 자체가 줄어드는 건 맞지만, 같은 방열량일 때 면적이 좁아지면 열 방출에 불리한 것도 맞긴 하니까요. 실제로 전력 소비량에 비해 라이젠 잘 안 식혀지기는 하더라고요.

[넬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2등 MrHS
2021.02.05. 20:34

온도가 높아지는 원인이 칩셋의 단면적 대비 발열량이 증가해서 그러는것 아닌가요? 그리고 이 현상이 공정이 미세화 될수록 심해자는 것이고?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rHS 님께
2021.02.05. 20:36

원인중 하나인거죠 근데 이걸 "발열"이 높아진다고하면 안되죠 발열의뜻은 열을내는 정도를 의미하는거지 칩셋의 온도를 의미하는게 아니니까요 막말로 인텔 200w먹는 cpu에 수냉해서 온도가 60도나온다고 이걸 "발열"이 적다고하진않죠 발열은 무시무시한데 온도가낮은거지..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0:39

제 말은 그냥 그렇게 뭉뚱그려 표현한 것이긴 한데 다들 말씀하시는 "발열"의 통상적인 의미가 제가 앞서 말씀드린 이야기 아닐까 한다는것 입니다. 너무 디테일하게 구분하면 복잡하니까요.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rHS 님께
2021.02.05. 20:41

통상적인 의미로 들어가자면 더 할말이 많아지는게 일반적으로 데스크탑도아니고 스마트폰이 뜨겁다 하는건 ap의 온도가아니라 그냥 기기자체가 뜨거워지는걸로 판단하니까요..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MrHS 님께
2021.02.05. 20:48

제가 여태까지본 대부분의 테스트도 표면온도나 배터리온도 등을 참조하지 ap의온도가높다 낮다로 기기가뜨겁다 어쩌고하는 리뷰나 테스트는 본적이없는거같습니다 그러니까 더더욱 통상적인 의미에서 ap의 온도가 높아지는걸 "발열"이 많다 높다로 표현하는건 맞지않는겁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3등 나르자
2021.02.05. 20:34

엄밀히 말하자면, 발열이 늘어난게 아니라,

쿨링에 난점이 점점 커져왔다고 하는게 맞긴 하죠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르자 님께
2021.02.05. 20:37

뭐 근데 삼성5nm은 크기축소가 적은편이라 이런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의문입니다 차라리 a14때  많이나왔어야 할 이야기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0:43

뭐.. 같은 5나노라도 풀노드 하프노드 차이도 있고

나노수 내려갈수록 전자 탈출현상을 얼마나 잘 막느냐에 따른 노하우도 다르고 하니까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르자 님께
2021.02.05. 20:45

사실 삼성스마트폰(엑시버전)은 일반소비자가 ap의 온도를 알아낼방도가없습니다 퀄컴과달리 cpuz같은 앱에서도 ap온도센서를 확인할수가없어요 스냅드래곤이 달린 갤럭시는 ap의 온도를 확인가능한데말이죠.. 뭐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돌린다던가하면 알아낼수있을거같긴합니다만..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2021.02.05. 21:48

888도 같이 불탄거 보면 X1문제는 맞나본데. 말리도 포함될까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23

1080 전력소모가 제법심한거보면 말리도구린게맞죠 다만 x1만큼은아니고 평소의 말리수준이 아닐까싶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2:27

1080이 10mp에 클럭 1GHZ정도로 아는데. 어째서 14mp 800대의 2100보다 유지력이 좋은건지..참 그만큼 X1의 역할이 크긴컸나보네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36

예전에도 말한적있는거같은데 9810이후 갤럭시에들어가는 엑시노스의 그래픽성능은 기린보다 못합니다.. 그게 다 몽구스때문+화웨이도 기린칩셋에 gpu유닛 많이넣어가면서 역전되었죠.. 스로틀링걸리는거보면 ap의 tdp제한이 기껏해야 3w~3.5w니까 0.5~1w만 더먹어도 차이가 제법 클겁니다 s21u같은경우 3dmark 테스트를 지속적으로하니 마지막루프쯤에는 배터리소모는 1000~1200mah정도에 머물더군요 이게 약 4w내외입니다.. 화면이나 ap제외한 다른부품 전력소모까지하면 기껏해야 tdp 3w정도가 한계라는거죠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2:48

기린쪽은 쓰로틀링을 널널하게 잡는다고도 들은거 같긴합니다..만 역시 코어를 많이때려박고 클럭을 낮췄어야했는지..그나저나 기린쪽 TDP는 어느정도인가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51

최근엔 화웨이폰안슨지 좀 됐는데요 기린이 널널하다기보단.. 갤럭시가 타이트하게잡는겁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2:57

Gpu변화되도 이건 변할거같진 않은데 내년에 amd gpu 잘나오길 빌어봐야 겠네요. 솔까 게임할때 겜옵티같은 성능저하 강제로 걸어두는거 보면 심히 렉이 심합니다..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글쓴이
노틀담의꼽추 나랏미 님께
2021.02.05. 22:59

말리보다야 좋을확률은 뭐 99%정도되는거같은데..,항간에떠도는 a14 두배성능은 회의적이네요 저 찌라시자체가 꽤 오래묵은 찌라시고 딱히 근거도없어보이고.. 엔비디아대비 상대적으로떨어지는 암드의 gpu기술력이나 최근 gpu유닛에 투자를 덜하는 삼성의 원가절감을 생각하면 더더욱그렇습니다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노틀담의꼽추 님께
2021.02.05. 23:06

뭐 사실 좋다는 것도 저 점수대 성능을 유지하면서 발열,전성비까지 확보를 해야 좋다고 하지..설령 GPU자체는 좋게 나와도 최적화에 막히지 않을까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8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29] update [성공]함께크는성장 15:06 840 19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5] file AquStar 16:04 552 16
핫글 미니 노트7으로 회귀 [5] file 빅코 07:55 867 11
183618 미니 버즈 프로 딜레이가 진짜 짧네요 [2] 민초홀릭 21.03.19 714 5
183617 미니 오랜만에 패드 호민증 해봅니다 [3] file 루리루리 21.03.19 344 5
183616 미니 삼성 광고 클라스.. [5] file 점장 21.03.19 1104 5
183615 미니 버즈 쁠러스 업데이트 있네요 file SAMDSUNG 21.03.18 301 5
183614 미니 저도 그 좋다는 버즈 프로 샀습니다,, [3] file Track13 21.03.18 437 5
183613 미니 자 드가자~ [5] file LG산흑우 21.03.18 360 5
183612 미니 엑시2100 원신문제가 말리도 한몫하는군요 [19] file 배붕이 21.03.18 885 5
183611 미니 낮잠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18] LG산흑우 21.03.18 353 5
183610 미니 삼성 올해들어 [2] Thomasp5675 21.03.18 721 5
183609 미니 왜 더 싸죠? [7] file Thomasp5675 21.03.18 617 5
183608 미니 [1] file Thomasp5675 21.03.17 203 5
183607 미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7] file Thomasp5675 21.03.17 373 5
183606 미니 미코인이라면 아실수도 있는 카톡 꿀기능 [22] file 만삭이 21.03.17 863 5
183605 미니 Mi MIX 폴더블 스마트폰 유출 [9] file Thomasp5675 21.03.17 679 5
183604 미니 노트 사라지는건 사실 폴드 s펜 탑재때문이 아니라 [6] 인헤리턴스 21.03.17 519 5
183603 미니 타이젠은 참 안타깝네요. [15] sjkoon 21.03.17 594 5
183602 미니 upc 본인에겐 개꿀입니다 [6] 난민 21.03.17 395 5
183601 미니 일단 교육할인으로 먼저 질러두라던 분 감사합니다 [1] 루리루리 21.03.17 376 5
183600 미니 s21 울트라 옷 입혀줬습니다 [11] file asdf 21.03.17 575 5
183599 미니 폴드3 그린색 이정도만 돼도 좋을거같은데 [12] file 카밀리아 21.03.16 746 5
183598 미니 목련인가요? 아님말고~ [6] file 만두궁물 21.03.16 367 5
183597 미니 A32 카메라 왤캐 좋나요 ㄷㄷ [7] file 선라이즈 21.03.16 982 5
183596 미니 대구 6시 모습 [14] file 만두궁물 21.03.16 773 5
183595 미니 샀슈 [3] file 시엠 21.03.16 272 5
183594 미니 왔슈 [10] file Havokrush 21.03.16 324 5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