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호쯔

미니 아난드텍에서 스냅888하고 엑시2100 분석한 리뷰 떴습니다.

  • 호쯔
  • 조회 수 947
  • 2021.02.08. 18:11

정리:

1. 삼성 5nm 공정은 TSMC 7nm하고 전성비가 비슷. 사실상 모든 문제의 시발점.

 

2. 엑시2100은 스냅888에 비해 캐시를 많이 쳐냈고, 대신에 클럭을 끌어올리는 선택을 함.

결과적으로 엑시2100은 스냅888에 비해 전성비가 떨어짐.

 

3. 엑시2100은 클럭을 끌어올려서 피크 성능은 높아도 소비전력이 큼.

특히 미들코어(A78) 클럭을 너무 끌어올려서 CPU만 사용해도 쓰로틀링이 극심.

스냅888은 865보단 소비전력이 높지만, 엑시2100 보다 훨씬 낮음.

 

3. 공정의 전성비가 차이가 없는데 이전세대(865)에 비해 GPU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엑시2100과 스냅888 모두 피크 GPU 소모전력량을 크게 늘림. (4W 내외에서 8W 정도로 2배 늘림)

그 결과 엑시2100과 스냅888 모두 GPU 사용시 애플 A시리즈처럼 쓰로틀링이 극심해짐.

왜 이런걸 애플 따라하는지 모르겠다고 한탄중.

 

4. 스냅888의 GPU 전성비 자체는 애플 A시리즈 급.

그런데 소모전력을 낮게 잡아놔서 성능은 딸림.

Mali GPU는 여전히 전성비부터 한참 밀림.

댓글
28
S.LSI
1등 S.LSI
2021.02.08. 18:13

드뎌 떴군요.. 많은 분들이 아난드텍 리뷰 기다리셨던걸로 기억하는데 이제 한번 읽어봐야겠습니다 ◡̈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2등 크나앙
2021.02.08. 18:13

섹시노스의 꿈은..ㅠ

[크나앙]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3등 Eidio
2021.02.08. 18:16

공정이 원인이라는 근거가 전세대와 같은 아키텍처인 A55을 보고 비교하는 게 맞나요? 이건 아무리 봐도 말이 안 되는 얘기 같은디 마찬가지로 A55를 사용한 삼성 5나노 엑시 1080은 발열 이슈를 못 접해봤고요.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best 호쯔 Eidio 님께
2021.02.08. 18:20

발열 이슈는 엑시2100이 미들코어 클럭을 엄청 끌어올려서 그래요.

X1 탓하는 분 많았는데, X1이 문제가 아닙니다.

 

퀄컴 스냅888은 TSMC 7nm의 865랑 클럭을 비슷하게 잡았고, 별 문제 없어 보입니다.

엑시1080도 엑시2100보다 클럭이 낮아서 문제가 없는거고요.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호쯔 님께
2021.02.08. 18:22

a78이 끽해야 2w대에서 노는 물건인데 이 때문에 발열문제가 이정도로 대두될 물건은 아닙니다.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바보중 님께
2021.02.08. 18:22
바보중 님, 8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바보중 님께
2021.02.08. 18:26

들어가서 글 보면, 엑시2100의 경우 미들코어 A78 클럭을 2.8GHz까지 끌러올려서 2.7에서 3.4W나 퍼먹도록 만들어놨습니다.

스냅 888의 경우 865와 동일하게 2.4GHz로 설정해서 2W 내외고요.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호쯔 님께
2021.02.08. 18:34

부동소수점이 3.4w인거지 압도적으로 비중이 높은 정수는 2.7이네요.

그렇기에 긱벤치에서도 정수가 65% 부동소수점이 30%의 점수비중을 가지고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바보중 님께
2021.02.08. 18:55

그것도 높죠.

코어 3개면 8W인데요.

X1까지 더하면 10W가 넘고요.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Eidio 호쯔 님께
2021.02.08. 18:24

888이 발열문제가 없나요? 제가 본 여러 벤치에서 공통적으로 발열 이슈가 있었는데요.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Eidio 님께
2021.02.08. 18:28

GPU의 경우 피크 소모전력 높여놔서 발열 이슈있습니다.

이건 애플 A 시리즈 따라서 벤치딸 치려고 저래놓은거라...

 

엑시2100과 다르게 CPU 소모전력은 훨씬 낮고요.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Eidio 호쯔 님께
2021.02.08. 18:40

게임이나 안투투 돌릴 때 생기는 발열이 GPU 탓인지 아니면 특정 코어 때문인지는 정확히 알 수가 없겠죠. A77 클럭 차이가 원인이라고 하시다가 또 GPU가 원인이라 하시면.. 제가 봤을 때는 알 수가 없다인 것 같은데 말이죠;;

 

A55를 기준으로 다른 조건은 다 제쳐두고 공정성능을 측정한다면 888/2100처럼 원인분리가 힘든 AP말고 1080처럼 같은 아키텍처에 같은 공정을 쓴 또다른 AP를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Eidio 님께
2021.02.08. 19:05

글 들어가서 읽어보시면 CPU하고 GPU 별로 소비전력 다 측정해놨습니다.

 

엑시2100하고 스냅888 모두 GPU 피크 소비전력을 4W에서 8W로 올려놨다니깐요?

그래서 GPU 사용하면 둘다 쓰로틀링 있고요.

 

CPU의 경우 엑시만 문제가 있고, 원인이 미들코어 클럭이란 겁니다.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idio
Eidio 호쯔 님께
2021.02.08. 19:41

GPU 소비전력까지 문제라면 공정 탓이라는 결론은 더 미궁에 빠지는데요. 엑시노스는 미들코어 세팅 문제도 있다면서요? 그럼 대체 이게 X1 탓인지 (엑시의 경우)미들코어 탓인지 둘 다 해당하는 GPU 세팅 탓인지 수많은 변수가 섞여있는데 A55만 가지고 공정 탓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근거가 뭔지 정말 궁금해 지네요;;

 

이론상으로 특정 코어만 측정할 수 있다지만 현실에서는 심지어 전혀 다른 부품인 CPU와 GPU도 분리를 못해서 GPU 벤치를 돌릴 때도 동일 시스템으로 변수가 제거 가능하도록 세팅한 후에 측정하는 걸 감안하면 한 다이 안에 섞여있는 CPU 코어와 GPU들을 엄격하게 구분해서 공정성능을 측정한다는 건 잘 모르는 제가 봐도 말이 안 되는 얘기이고요.

[Eidio]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Eidio 님께
2021.02.08. 18:21

아직 저렇게 결론을 내기 어렵긴 하지요. 

퀄컴이 설계를 발로 했거나 셀 라이브러리 선택이 달라졌을 수도 있는 등 다른 경우의 수도 있으니까요.

공정 성능에 개선이 없다면 엑시노스 CA55 클럭이 20%나 높은 것도 이해하기 어렵고요.

아이들 전력 포기했다는거 아닙니까.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gamma 님께
2021.02.08. 18:23

엑시2100 A55이 스냅888 보다 클럭 높인건, 캐시 쳐내서 그런거죠.

X1도 캐시 쳐내고 클럭 약간 더 끌어올렸고요.

 

A55랑 X1 자체는 엑시2100의 선택도 그럭저럭 이해가 가는데, A78은 캐시 구성도 동일한데 클럭 왕창 끌어올려서 소비전력이 말도 안 되게 높아요.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호쯔 님께
2021.02.08. 18:28

L3 캐시 저거쳐낸다고 클럭이 저만큼 올라갈 마진이 거저 생기는건 아니니까요.

셀이든 전압이든 뭔가 최적화가 들어가야 됩니다.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gamma 님께
2021.02.08. 18:38

일단 아난드텍은 다음과 같이 주장하죠.

스냅865랑 888 비교해서 리틀코어 소모전력 차이가 별로 없다 -> TSMC 7nm랑 삼성 5nm 소비전력이 비슷하다

 

그런데 이건 퀄컴 잘못이라고 몰아가기에는 엑시2100 미들코어 소비전력이 너무 문제에요.

 

865+의 2.8GHz A77 빅코어랑 엑시2100의 2.8GHz A78 미들코어랑 소모전력이랑 성능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저런걸 미들코어로 넣어놨으니 쓰로틀링은 엄청나고요.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호쯔 님께
2021.02.08. 18:47

그걸 공정 문제로 결론 내려면 심증이 아니라 데이터가 있어야지요.

CA78 클럭 맞추는게 힘들면 CPU 쓰로틀링 상태에서 클럭이랑 코어 전력만 뽑아도 비교해도 한결 더 직접비교에 가까운 간접비교가 가능한데요.

공정이 원인으로 결론날수도 있겠지만 그러고 싶으면 2중3중의 교차검증이나 평가를 해봐야지 저렇게 해버리면 대충 결론내버렸다는 평을 벗어나기 힘들지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호쯔
글쓴이
호쯔 gamma 님께
2021.02.08. 18:53

동일 클럭의 A77하고 A78이 공정이 바뀌었음에도 소비전력과 성능이 비슷하다면, 문제가 있죠.

왜 쓰로틀링 상태까지 비교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일단 삼성 발표부터 5nm 전성비가 삼성 7nm에 비해 겨우 20% 개선되었다고 하고 있어요.

풀노드 체인지임에도 기대에 못 미치는 수치죠.

[호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oshizora
Hoshizora
2021.02.08. 18:17

그렄 888이 2100보다 낫다는 의미인가요??

 

근대 실기기 테스트는 왜...

[Hoshizo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배붕이
best 배붕이
2021.02.08. 18:25

영어다 보닌깐 그래프만 쭉 봤는데.

 

SPEC 부분만 보면 전력량도 더 먹는데 성능은 888만큼 안나오네요...그래도 990때만큼 격차는 아니여서 다행이라 봐야될지 ㅋㅋㅋ

 

GPU는 스냅,엑시 둘다 쓰로틀링 걸리면 865랑 비슷해진다는 게...좀...

여기서도 888이 GPU부분도 소폭이지만 앞서는군요

올해 안드AP는...ㄷㄷㄷ 폴드2 유지할걸 그랬나...

[배붕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FUNKING
2021.02.08. 18:29

솔직히 삼성이라 언급이 조심스럽지 저게 TSMC 공정이었다면 이미 가루가 되도록 까였을 것 같습니다.

[FUNK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랩시리즈
랩시리즈
2021.02.08. 18:30

결론은 2021년도 똥시노스 유지란 거죠?

[랩시리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sonant
Resonant
2021.02.08. 18:34

스펙도 888에 밀리는데 삼성은 왜 호들갑 떨었대요 ㅡㅡ

[Resona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200DMIPS
1200DMIPS
2021.02.08. 18:35

배터리가 어떻게 비슷하게 가는지 궁금하네요 ㄷㄷ 전성비 차이가 이리나는데

[1200DMIP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봄차
봄차
2021.02.08. 18:40

그냥 이전의 평범한 엑시노스다. 정도로 보면 되겠네요.

[봄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OPYCAT
COPYCAT
2021.02.08. 18:41

설계상의 큰 문제네요

[COPYCA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029 13
핫글 미니 최원준 개발실장님 믿어봅니다 [9] updatefile GalaxyBudsSeries 08:47 1360 15
핫글 미니 잡담 : 출소 후 전향했습니다. [9] file 하루살이 14:49 869 15
핫글 미니 갤럭시버즈3 프로 추가 이미지 [37] updatefile Stellist 14:16 1328 12
32116 미니 벨벳 UI 적용 LG스마트폰 정리 [4] file Tac 20.09.22 641 5
32115 미니 선생님들이 탭S6키보드 별로라고 해서 [9] file 민초중립 20.09.22 402 5
32114 미니 도대체 뭘 위한 S20 FE인지 모르겠습니다. [56] 헤페바이쎄 20.09.22 859 5
32113 미니 20철 신규색상 볼 때마다... [15] file 난민 20.09.23 544 5
32112 미니 샀슈 [3] file 후루꾸루 20.09.23 257 5
32111 미니 그래도 굳이 애플쪽을 쓴다면 [8] Terrapin 20.09.23 468 5
32110 미니 만약 엘지킹벳이 865+12기가램 달고 94.9에 나왔다면? [16] 갤럭시S2 20.09.23 438 5
32109 미니 픽셀 홈 왼쪽 화면 특) [12] file Alternative 20.09.23 550 5
32108 미니 놋20 그린 진짜 잘뽑혔네요 [19] file 화이트갤럭시 20.09.23 826 5
32107 미니 갤럭시S20FE 가격 잠깐 노출됐다 사라졌습니다 [14] file Stellist 20.09.23 581 5
32106 미니 벨벳 욕하지 마세요 [32] file LG산흑우 20.09.24 545 5
32105 미니 제품기획 각 잡고 하면 잘 할줄 아는 사람들이 노트20은 왜.., [11] file YP-Q2 20.09.24 523 5
32104 미니 one ui가 6기가에 최적화를 해줄것이다? [31] 돈데큼만1 20.09.24 1644 5
32103 미니 폴드2 갤럭시 스토어 업뎃 후기 [7] file MysticCat 20.09.24 480 5
32102 미니 20:9의 광활한 Infinity Display 채택 [6] file 여가어딥미코 20.09.24 570 5
32101 미니 [합성]이시국에 개인적으로 바라는 것(일석이조?) [5] file 한겹 20.09.24 1210 5
32100 미니 갤폴드2 가볍게 사용하는 팁 [7] 얄루라리 20.09.24 571 5
32099 미니 광고를 이해해야하는 이유가 도통 없는데... [47] 헤페바이쎄 20.09.24 654 5
32098 미니 잇섭이 기업친화적인 리뷰어인줄알았는데 마냥 그런건 아니네요 [7] 버르닝 20.09.24 1040 5
32097 미니 저도 15분후 삼성에서 폭탄배달 예정입니다 [1] 갤럭시S2 20.09.25 671 5
32096 미니 fe보고 a91이라는건 말도 안되는 주장이죠 [28] 인헤리턴스 20.09.25 852 5
32095 미니 워치 액티브2 Wi-Fi 모델 업데이트 있습니다. [18] file 열등생 20.09.25 634 5
32094 미니 One UI 3 추가점? [6] file 김리안 20.09.25 738 5
32093 미니 중국 H사의 중앙연구소에서 대규모 화재. 피해 불명 [10] 마키세크리스 20.09.25 743 5
32092 미니 버즈라이브 고민 끝에 그냥 개봉했네요 ㅎㅎ [14] file 화이트갤럭시 20.09.25 573 5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