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입털러

애플, 47억 달러 그린 본드 자금 집행...1.2Gw 청정 에너지 생산

기술자가 네바다주 터코이즈 태양광 발전 단지의 태양광 패널을 검사하고 있다.
새롭게 완공된 네바다 지역의 터코이즈 태양광 발전 단지는 50메가와트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Apple에 제공하며, 네바다주 내에서 Apple이 진행 중인 네 번째 태양광 프로젝트이다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 Apple이 계획한 47억 달러 규모의 그린 본드 자금 집행의 일환으로 최근 마무리한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들이 현지 지역사회에 청정 에너지를 제공하면서 탄소 배출도 줄이고 있다. 2020년, Apple은 도로에서 약 20만 대의 차량을 없애는 것에 맞먹는 평균 92만 1천 미터톤의 탄소 배출을 매년 피할 수 있는 17개의 그린 본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집행했다. 해당 프로젝트들은 전 세계적으로 1.2기가와트의 청정 에너지를 생산할 예정으로, 여기에 Apple이 지난해 네바다, 일리노이, 버지니아 및 덴마크에 새롭게 설치한 350메가와트의 재생 가능 에너지도 추가된다. Apple의 그린 본드 발행 규모는 민간 분야에서 사상 최대 규모이다.
 
Apple의 환경, 정책 및 사회적 이니셔티브 담당 부사장인 리사 잭슨(Lisa Jackson)은 “Apple은 우리가 일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지원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우리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지구를 보호하는 데 헌신하고 있다”며 “우리 모두에겐 기후 변화의 영향을 막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우리의 그린 본드 판매 수익금인 47억 달러의 투자가 우리에겐 중요한 동력원이다. 궁극적으로 청정 에너지는 바람직한 사업이다”고 밝혔다.
 
파리에서 개최된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COP21))에서 역사적인 기후변화 협약이 체결된 이후, Apple은 세 차례의 그린 본드 발행으로 확보된 투자금을 전 세계적인 탄소 배출 저감 노력을 지원하는 데 투자했다. 2016년 2월, Apple은 사상 첫 15억 달러 규모의 그린 본드를 발행했고, 뒤이어 2017년 6월 이루어진 10억 달러 규모의 2차 발행은 이전 미 행정부가 COP21에서 체결된 협정으로부터 탈퇴하겠다는 발표 이후에 단행됐다. 2019년 11월, Apple은 유럽 지역에서는 첫번째인 3차 그린 본드를 두번에 나눠 각각 10억 유로, 총 20억 유로 규모로 발행했다(총액은 미화 22억 달러 규모).
 
Apple의 그린 본드 임팩트 보고서에 상세하게 기술된 내용 외에도, Apple은 저탄소 설계 및 엔지니어링, 에너지 효율성, 재생 가능 에너지, 탄소 저감 및 탄소 격리를 지원하는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Apple은 전체 그린 본드 투자액 중 절반 이상(28억 달러)을 프로젝트에 할당 했으며 계속해서 탄소 배출을 해결하는 프로젝트에 투자할 예정이다. 지난 7월, Apple은 2030년까지 제조 공급망 및 제품 주기를 아우르는 기업 활동 전반에서 탄소 중립화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Apple은 이미 전세계 기업 운영 영역에서는 현재 탄소 중립화를 달성한 상태로, 이번에 새로 수립하는 목표는 모든 Apple 기기가 생산 과정에서 기후 변화에 미치는 순 영향을 2030년까지 영(0)으로 줄일 것임을 의미한다.
 

Apple의 재생 가능 에너지 분야 최근 투자 사업

 

 

 

기술자가 옥외 태양광 패널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Apple의 모든 데이터센터는 2014년부터 100% 재생 가능 에너지로 가동되고 있다.

 

 

 

네바다주 리노 외곽의 태양광 현장 발전 프로젝트: 리노 테크놀로지 파크(Reno Technology Park) 내에 위치한 180에이커 규모의 발전 시설은 현재 Apple 네바다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Solar Builder 잡지 선정 “올해의 공공서비스 규모 프로젝트”로 인정받은 이 프로젝트는 236개의 청정 에너지 건설 일자리를 창출해 그 중 90퍼센트 이상이 네바다주 주민들에게 돌아갔으며, 와슈 카운티(Washoe County)에서는 6천만 달러 규모의 투자에 해당한다. 이 사업장은 50메가와트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Apple에 제공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네바다의 세가지 프로젝트에서 270메타와트를 제공한다.
 

 

 

 

 

 

 

Apple의 리노 데이터센터의 서버실.

 

2012년 개소한 Apple의 리노 데이터센터는 필요한 경우 외부 공기를 통해 서버를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온화한 기후를 활용하고 있다.

 

 

 

시카고 외곽 풍력 발전 단지: 이 풍력 발전 단지와 체결한 112메가와트 규모의 가상 전력 구매 협약은 시카고 지역 내 Apple의 전력 사용을 책임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구매자들을 취합해, 구매력이 떨어지는 다른 기업도 Apple과 동일한 고품질의 재생 가능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의 태양광 프로젝트: 혁신적인 협약을 통해 Apple은 Etsy, Akamai 및 SwissRE와 협력해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 외곽에 위치한 태양광 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165메가와트 규모의 재생 에너지 개발을 지원했으며, 해당 프로젝트는 이제 지역 내 더 넓은 전력망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있다.
 
덴마크 내 세계 최대 규모의 육상 풍력 터빈: Apple은 세계 최대 규모의 육상 풍력 터빈 중 2기의 건설을 마무리했다. 청정한 재생 에너지원이 이제 운영에 돌입한 것이다. 덴마크의 에스비에르(Esbjerg) 지역 부근에 위치한 200미터 높이의 풍력 터빈은 2만 개 가량의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인 62기가와트 시를 매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강력한 해상 풍력 터빈의 테스트 장소 역할을 할 예정이다. 에스비에르에서 생산된 전력은 비보르(Viborg)에 위치한 Apple의 데이터센터를 지원하게 될 예정이며, 그외 잉여 에너지는 덴마크의 전력망에 제공된다.
 
Apple의 연간 임팩트 보고서는 Apple의 2020 회계연도인 2019년 9월 29일부터 2020년 9월 26일까지 지출이 이루어진 환경 프로젝트에 대해 2019년 그린 본드 수익금의 어떻게 할당 되었는지를 다루고 있다. 기준 그린 본드 임팩트 보고서 2020 회계연도 개정판은 investor.appl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입털러
Galaxy S22 Ultra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댓글
0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77
핫글 소식 삼성전자 차세대 SSD 개발? 990 에보 플러스 등 상표권 출원 [1] BarryWhite 24.06.20 2 466
핫글 소식 구글, VPN 사용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 구독 취소 시작 [3] update BarryWhite 24.06.20 2 1148
핫글 소식 "돈과 금융은 달랐다" 애플이 낙제점 받은 사업들 뉴스봇 24.06.20 1 287
35307 소식 인텔 로켓 레이크 IPC는 라이젠 5000 시리즈보다 뒤쳐져? file 뉴스봇 21.03.23 0 104
35306 삼성전자, 이중 폴더블폰까지 개발 중...이르면 연내 공개 뉴스봇 21.03.23 2 384
35305 소식 일본에 지포스 GTX 1050 Ti 재출시, 원래 대비 두 배 이상 가격 붙어 뉴스봇 21.03.23 2 364
35304 소식 AMD 라데온 RX 6700, VRAM 6GB에 QHD 게이머 타겟팅? 뉴스봇 21.03.23 0 87
35303 갤럭시S21 시리즈 미국서 불티나게 팔린다.. 첫 달 판매량 3배 ↑ [1] 뉴스봇 21.03.23 6 602
35302 소식 줌, 비디오 API 공개..."소셜·게임·커머스앱 UX 향상시킬 것" 뉴스봇 21.03.23 0 79
35301 LG유플러스, 4월부터 클라우드 게임 무료 오픈 [3] 뉴스봇 21.03.23 0 164
35300 소식 잭 도시 트위터 CEO의 NFT 트윗 경매, 27억원에 낙찰  뉴스봇 21.03.23 0 107
35299 소식 대만 반도체 생산액 3조대만달러 돌파, 올해 더 좋다 뉴스봇 21.03.23 0 90
35298 현대차, 초고속 충전 브랜드 이-피트 선보여 [2] 뉴스봇 21.03.23 0 232
35297 소식 교묘해진 스마트폰 해킹…앱스토어도 안전지대 아냐 뉴스봇 21.03.23 0 163
35296 아이폰13, 올해는 9월 셋째 주에 출시 뉴스봇 21.03.23 0 154
35295 삼성전자, 일본 최대 통신사업자 NTT 도코모와 5G 이동통신장비 공급 계약 체결 [4] 프로입털러 21.03.23 5 559
35294 소식 애플 개인정보 추적금지 논란…선의 vs 독점 남용 [1] 뉴스봇 21.03.22 1 364
35293 중국, LG‧SK 만드는 배터리 노린다 뉴스봇 21.03.22 1 194
35292 소식 한화테크윈, 독자 CCTV용 칩 개발 강화... 중국 하이실리콘 의존도 낮춘다 [1] 뉴스봇 21.03.22 0 200
35291 소식 반도체 생산 잇따른 악재…'쇼티지 쇼크' 가중되나 뉴스봇 21.03.22 0 139
35290 샤오미, 전기차 시장 뛰어든다.. 中 전기차 업체 니오 접촉 뉴스봇 21.03.22 0 138
35289 소식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 우주기술 독립 호흡 가쁘다 뉴스봇 21.03.22 2 117
35288 소식 머스크, 중국서 스파이 활동했다면 회사 문 닫겠다 [4] 뉴스봇 21.03.22 0 455
35287 5G 품질논란에 집단소송 추진…"100만명 목표" 프로입털러 21.03.22 1 244
35286 소식 데이터센터용 엔비디아 A100의 채굴용 CMP 모델 출시 가능성 뉴스봇 21.03.22 0 166
35285 소식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낸드플래시 600단 적층 가능 뉴스봇 21.03.22 0 228
35284 소식 대만 패널 업계 투자 확대 뉴스봇 21.03.22 0 118
35283 소식 에픽, 수수료 인하? 앱스토어 경쟁이 더 중요 뉴스봇 21.03.22 0 119
35282 소식 인텔 엘더 레이크, 싱글 스레드 20%에 멀티 스레드 두 배 성능 뉴스봇 21.03.22 0 169
35281 소식 LG유플러스, 서울 종로에 무인매장 1호 개점 뉴스봇 21.03.22 1 235
35280 소식 ASUS, 비보북 플립 TM420 젠북 UM425 등 6종 공식 출시 file 뉴스봇 21.03.22 1 257
35279 소식 마이크로소프트, Xbox Game Pass PC용에 EA Play 게임 추가 [1] 뉴스봇 21.03.22 0 177
35278 소식 대만 반도체 업계 1월 호실적…주가에 반영 뉴스봇 21.03.22 0 77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