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봇

소식 삼성 거의 베끼기? 아이폰 폴더블 진짜 이렇게 나오나

  • 뉴스봇
  • 조회 수 1183
  • 2021.03.27. 15:23

네덜란드의 IT전문매체 렛츠고디지털이 공개한 아이폰 폴더블폰의 예상 이미지를 보면 기존 스마트폰을 가로로 접는 ‘클램셀(조개모양)’ 방식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갤럭시Z 플립과 동일한 형태다.

 

아이폰 폴더블폰의 3차원(3D) 예상 이미가 공개된 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갤럭시Z 플립과 똑 닮았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누리꾼들 “애플의 삼성 베끼기 인가?”, “닮은게 아니라 그냥 똑같아 보인다”, “좀 더 각이 져 보인다는 것 말고 다른게 뭐지?”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사 더 읽기

댓글
26
브니엘
1등 브니엘
2021.03.27. 15:26

플립 디자인 각지게 바꾸자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점장
best 2등 점장
2021.03.27. 15:52

렛츠고디지털  ㅎㅎ 

[점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lalopp
2021.03.27. 17:01

근데 뭐 대각선으로 접을순없으니...ㅋㅋㅋㅋ 결국 한번접는 폰인 이상 폴드 플립 짭중 하나일수밖에

[lalopp]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바보비버
2021.03.27. 17:41

저렇게 따지면 모든 스마트폰은 아이폰 배낀거 아닌가ㅋㅋㅋ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바보비버 님께
2021.03.27. 17:41
바보비버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바보비버 님께
2021.03.27. 22:44

맞죠.

아이폰 따라한거 맞아요.

아이폰 이후의 스마트폰들은 모두 아이폰의 영향을 크게 받았죠.

 

폴더블 폰도 마찬가지에요.

2013년에 삼성이 폴더블 폰 컨셉을 처음 공개한 이후부터 폴더블 폰이라는게 존재하기 시작했고, 삼성이 선두주자이기도 하니 삼성 이외의 폴더블 폰 제조사들은 아이폰 때처럼 삼성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은 뻔하죠.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Thomasp5675 님께
2021.03.27. 22:44
Thomasp5675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바보비버 Thomasp5675 님께
2021.03.27. 23:33

여기에는 아에 배낀거라고 나와서 말이 다르죠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리제
오리제
2021.03.27. 18:26

애플이 과연 접을 이유를 증명할 수 있을까요

[오리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best 인헤리턴스
2021.03.27. 19:11

출시 후 갑자기 폴더블이 미래다 라는 의견 쏟아질듯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LSI
S.LSI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19:19

지금도 폴더블이 미래라고 하지 않나요?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S.LSI 님께
2021.03.27. 19:30

커뮤마다 다르더군요

lcd-oled 처럼 여론 변할것 같네요 ㅋㅋ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LSI
S.LSI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19:41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20:57

Oled 평가가 바뀐건 아이폰x 즈음 전후로 번인 수명이 상당히 늘어난 것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요? 특히 아이폰X 같은 경우는 자체 컨트롤러, 설계 변경, 전압 마진을 통한 보정 등으로 같은 해 갤럭시에 비해서도 번인 특성이 좋았던 걸로 합니다. 그리고 그동안 안드로이드의 컬러 메니지먼트때문에 디스플레이까지 저평가받은 것과 딱 아이폰X 나왔을 때 HDR 컨텐츠가 활성화된 것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HDR같은 경우는 아이폰의 oled/HDR 지원이 영상 시장에 역으로 영향을 미친 것도 있겠지만요.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best 인헤리턴스 Mr.BlueSky 님께
2021.03.27. 21:36

아뇨 차이가 있었다 한들 아이폰 탑재 전후 평가가 천지차이인걸 설명할 정도는 아니였죠.

그리고 아이폰이 oled 넣어서 hdr 영상이 늘었다는건...어...음...

c포트 대중화에 맥북이 기여했다던 기사를 보는 느낌이네요..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22:11

아이폰 OLED는 과장처럼 들리는데, Type C 대중화에 맥북이 기여한 바는 없지 않다고 보네요. TB3는 더 심하고...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1N9 님께
2021.03.28. 13:45

타입c 대중화는 매년 10억대씩 나오는 c타입 안드 폰들이 기여했죠. 썬볼은 인정합니다만..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8. 16:47

안드로이드에서 C타입 대중화가 시작된게 2017년 정도로 기억하는데... 맥북에서는 2015년부터 바뀌지 않았던가요.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1N9 님께
2021.03.28. 16:53

네. 그래서 대중화는 17년도~18년도 후에 됐죠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8. 17:35

음... 근데 그 점에 대해서는

 

스마트폰 주변기기나 충전기 등 모바일 쪽의 대중화에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기여한게 맞지만

 

C타입 모니터나 외장독 등등의 대중화는 2015 뉴 맥북과 2016부터 모든 맥북프로 라인업이 only c로 바뀐게 영향이 꽤 있었다고 보네용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8. 14:18

미국 스마트폰 점유율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회사 스마트폰의 지원이 넷플릭스같은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의 HDR 확대에 영향을 주었다는 얘기가 그렇게 공감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진 못했는데...  저런 새로운 기술 지원같은 경우는 서비스 업체와 하드웨어 업체 둘 중 한 곳의 의지만으로는 되지 않는게 당연하지 않나요? 아이패드 역시 같은 해부터 HDR을 지원했고요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Mr.BlueSky 님께
2021.03.28. 14:23

그 절반 중  oled탑재한 기기가 아니고 lcd 기반 xr,11과 그 전 시리즈 비중이 압도적이였던건 여러 통계로 알 수 있어서 전 그렇게 생각을 안 했습니다 ㅎㅎ 이건 통계기반 팩트니 공감을 요구하진 않겠습니다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웨이
웨이
2021.03.27. 20:10

this is letsgo digital

[웨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2021.03.27. 22:11

레츠고디지털 컨셉이미지로 카피를 논하다니 ㅋㅋ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1.03.28. 00:43

아무래도 플립이 더 이쁘니까요

내가, 애플이라도 플립 디자인으로 갔을겁니다

그쪽이 좀더 센시티브하게 디자인을 꾸밀 수 있습니다

작고 오밀조밀한것과, 펴면 일반 폰처럼 적당한 사이즈가 되니까 말이죠

이 조화를 잘 시킨 디자인을 애플이 내놓는다면, 단숨에 플립디자인 시장을 석권하겠죠

물론 애플은 그 방식의 명칭을 또 자신만의 이름을 붙이겠지만 말이죠 ㅋ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덕원
2021.03.28. 05:43

똑같이 우글우글해서 반사 제대로 안되면 저는 별로 기대가 안되네요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56
핫글 소식 EU, DMA 미준수로 애플 벌금 부과 예정 new BarryWhite 10:15 1 103
핫글 소식 MS AI 리콜 기능, 무기한 연기 new BarryWhite 10:20 1 220
1743 “고객Needs를…” 삼성 해명이 분노 더 키웠다… 홈피에 항의글 수천건 AlieNaTiZ 22.03.09 17 1009
1742 소식 아이폰13, 아이폰12와 어떻게 달라질까 [13] 뉴스봇 21.05.11 5 1009
1741 소식 샤오미, 태블릿PC 신작 '미패드5'도 한국에 출시한다 [11] 뉴스봇 21.08.17 1 1009
1740 소식 안드로이드12, 무엇이 달라지나? [15] 뉴스봇 21.05.13 2 1009
1739 소식 갤럭시 노트20, 후면 패널 플라스틱 [9] file BarryWhite 20.07.23 2 1010
1738 소식 디아블로 이모탈 PC 사양 공개, 내장 그래픽도 OK [1] 뉴스봇 22.04.27 3 1010
1737 소식 삼성 디지털프라자, ‘삼성스토어’로 새출발 [15] 프로입털러 23.03.07 3 1010
1736 소식 “삼성·소니 OLED TV 번인 징후 뚜렷”… 알팅스 “문제는 서브픽셀” [2] 스퀴니 23.03.19 1 1010
1735 소식 소니 전 회장 이데이 노부유키씨, 간부전으로 서거. 향년 84세 file 마키세크리스 22.06.07 0 1010
1734 소식 루머 : 삼성, 갤럭시폴드3에 S펜 적용 위해 AES로 바꿀것 [17] file Stellist 20.10.24 5 1010
1733 100만원 이하 삼성전자 '보급형 폴더블폰' 나온다 [6] 다람쥐 22.06.29 3 1010
1732 소식 Apple, 빈 화면 문제에 대한 Apple Watch Series 6 서비스 프로그램 공개 file 히타기새 22.04.24 0 1010
1731 애플서 '독도 누구 땅' 물었더니…'한국땅 아닌 13가지 이유' 떠 [6] 프로입털러 22.08.18 6 1011
1730 소식 삼성전자, ARM 지분 인수 고려중 [11] 내일도맑은하늘처럼 20.08.03 2 1011
1729 소식 갤럭시S22 카메라 줌 애니메이션, S23 수준으로 개선된다 [2] BarryWhite 23.06.13 3 1011
1728 티빙 오리지널, 네이버 멤버십에서 다시 무료로 즐긴다 [3] 프로입털러 22.05.20 0 1011
1727 YMTC, 이미 192단 3D 낸드 공급...연말 상품 출시 JamesBlake 22.05.19 0 1011
1726 삼성전자, 2025년까지 모든 갤럭시 신제품에 재활용 소재 적용 [3] 프로입털러 22.04.28 0 1011
1725 美, '넷플릭스 망사용료 지급 의무화' 韓법안에 공개 우려 표명 [1] 프로입털러 22.04.03 6 1012
1724 소식 유튜브, 韓·日성인물 1시간 가까이 노출 사고 [18] 몽구스 20.02.29 0 1012
1723 [단독]구글 픽셀폰, 국내 출시추진…"한국 필수인력 뽑는다" [8] crafthome 21.08.26 6 1012
1722 아마존, 신형 파이어 7 태블릿 발표 file Stellist 22.05.18 0 1012
1721 네이버웹툰, 구글 인앱결제 정책 수용…쿠키 100원→120원 [7] 프로입털러 22.05.11 0 1013
1720 소식 소액결제 돈 안 되는데… 애플페이 주저하는 카드사 [10] BarryWhite 23.06.14 5 1013
1719 소식 파나소닉, 북미 배터리 생산능력 3배 늘린다 뉴스봇 22.06.02 0 1013
1718 소식 갤럭시 S24 울트라 핸즈온 영상 등장 file BarryWhite 24.01.12 1 1013
1717 "애플 여의도, 곧 만나요"... 애플스토어 2호점, IFC몰 개소 예고 [19] 프로입털러 20.11.30 4 1013
1716 성추문 관련 문제로 퇴사한 개발자의 이름을 딴 오버워치의 맥크리, 이름 변경된다 [4] 뉴스봇 21.08.27 1 1013
1715 독일, 인터넷속도 안나오면 요금 강제할인 법안 준비중 [8] file Stellist 21.11.26 14 1013
1714 소식 더 버지, 홈팟 2세대 리뷰 게재 [9] file Stellist 23.01.31 5 1014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