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봇

소식 삼성 거의 베끼기? 아이폰 폴더블 진짜 이렇게 나오나

  • 뉴스봇
  • 조회 수 1183
  • 2021.03.27. 15:23

네덜란드의 IT전문매체 렛츠고디지털이 공개한 아이폰 폴더블폰의 예상 이미지를 보면 기존 스마트폰을 가로로 접는 ‘클램셀(조개모양)’ 방식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갤럭시Z 플립과 동일한 형태다.

 

아이폰 폴더블폰의 3차원(3D) 예상 이미가 공개된 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갤럭시Z 플립과 똑 닮았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누리꾼들 “애플의 삼성 베끼기 인가?”, “닮은게 아니라 그냥 똑같아 보인다”, “좀 더 각이 져 보인다는 것 말고 다른게 뭐지?”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사 더 읽기

댓글
26
브니엘
1등 브니엘
2021.03.27. 15:26

플립 디자인 각지게 바꾸자

[브니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점장
best 2등 점장
2021.03.27. 15:52

렛츠고디지털  ㅎㅎ 

[점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3등 lalopp
2021.03.27. 17:01

근데 뭐 대각선으로 접을순없으니...ㅋㅋㅋㅋ 결국 한번접는 폰인 이상 폴드 플립 짭중 하나일수밖에

[lalopp]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바보비버
2021.03.27. 17:41

저렇게 따지면 모든 스마트폰은 아이폰 배낀거 아닌가ㅋㅋㅋ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바보비버 님께
2021.03.27. 17:41
바보비버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바보비버 님께
2021.03.27. 22:44

맞죠.

아이폰 따라한거 맞아요.

아이폰 이후의 스마트폰들은 모두 아이폰의 영향을 크게 받았죠.

 

폴더블 폰도 마찬가지에요.

2013년에 삼성이 폴더블 폰 컨셉을 처음 공개한 이후부터 폴더블 폰이라는게 존재하기 시작했고, 삼성이 선두주자이기도 하니 삼성 이외의 폴더블 폰 제조사들은 아이폰 때처럼 삼성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은 뻔하죠.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Thomasp5675 님께
2021.03.27. 22:44
Thomasp5675 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바보비버 Thomasp5675 님께
2021.03.27. 23:33

여기에는 아에 배낀거라고 나와서 말이 다르죠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리제
오리제
2021.03.27. 18:26

애플이 과연 접을 이유를 증명할 수 있을까요

[오리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best 인헤리턴스
2021.03.27. 19:11

출시 후 갑자기 폴더블이 미래다 라는 의견 쏟아질듯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LSI
S.LSI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19:19

지금도 폴더블이 미래라고 하지 않나요?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S.LSI 님께
2021.03.27. 19:30

커뮤마다 다르더군요

lcd-oled 처럼 여론 변할것 같네요 ㅋㅋ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LSI
S.LSI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19:41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20:57

Oled 평가가 바뀐건 아이폰x 즈음 전후로 번인 수명이 상당히 늘어난 것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요? 특히 아이폰X 같은 경우는 자체 컨트롤러, 설계 변경, 전압 마진을 통한 보정 등으로 같은 해 갤럭시에 비해서도 번인 특성이 좋았던 걸로 합니다. 그리고 그동안 안드로이드의 컬러 메니지먼트때문에 디스플레이까지 저평가받은 것과 딱 아이폰X 나왔을 때 HDR 컨텐츠가 활성화된 것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HDR같은 경우는 아이폰의 oled/HDR 지원이 영상 시장에 역으로 영향을 미친 것도 있겠지만요.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best 인헤리턴스 Mr.BlueSky 님께
2021.03.27. 21:36

아뇨 차이가 있었다 한들 아이폰 탑재 전후 평가가 천지차이인걸 설명할 정도는 아니였죠.

그리고 아이폰이 oled 넣어서 hdr 영상이 늘었다는건...어...음...

c포트 대중화에 맥북이 기여했다던 기사를 보는 느낌이네요..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7. 22:11

아이폰 OLED는 과장처럼 들리는데, Type C 대중화에 맥북이 기여한 바는 없지 않다고 보네요. TB3는 더 심하고...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1N9 님께
2021.03.28. 13:45

타입c 대중화는 매년 10억대씩 나오는 c타입 안드 폰들이 기여했죠. 썬볼은 인정합니다만..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8. 16:47

안드로이드에서 C타입 대중화가 시작된게 2017년 정도로 기억하는데... 맥북에서는 2015년부터 바뀌지 않았던가요.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1N9 님께
2021.03.28. 16:53

네. 그래서 대중화는 17년도~18년도 후에 됐죠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8. 17:35

음... 근데 그 점에 대해서는

 

스마트폰 주변기기나 충전기 등 모바일 쪽의 대중화에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기여한게 맞지만

 

C타입 모니터나 외장독 등등의 대중화는 2015 뉴 맥북과 2016부터 모든 맥북프로 라인업이 only c로 바뀐게 영향이 꽤 있었다고 보네용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인헤리턴스 님께
2021.03.28. 14:18

미국 스마트폰 점유율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회사 스마트폰의 지원이 넷플릭스같은 모바일 비디오 서비스의 HDR 확대에 영향을 주었다는 얘기가 그렇게 공감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진 못했는데...  저런 새로운 기술 지원같은 경우는 서비스 업체와 하드웨어 업체 둘 중 한 곳의 의지만으로는 되지 않는게 당연하지 않나요? 아이패드 역시 같은 해부터 HDR을 지원했고요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Mr.BlueSky 님께
2021.03.28. 14:23

그 절반 중  oled탑재한 기기가 아니고 lcd 기반 xr,11과 그 전 시리즈 비중이 압도적이였던건 여러 통계로 알 수 있어서 전 그렇게 생각을 안 했습니다 ㅎㅎ 이건 통계기반 팩트니 공감을 요구하진 않겠습니다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웨이
웨이
2021.03.27. 20:10

this is letsgo digital

[웨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2021.03.27. 22:11

레츠고디지털 컨셉이미지로 카피를 논하다니 ㅋㅋ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1.03.28. 00:43

아무래도 플립이 더 이쁘니까요

내가, 애플이라도 플립 디자인으로 갔을겁니다

그쪽이 좀더 센시티브하게 디자인을 꾸밀 수 있습니다

작고 오밀조밀한것과, 펴면 일반 폰처럼 적당한 사이즈가 되니까 말이죠

이 조화를 잘 시킨 디자인을 애플이 내놓는다면, 단숨에 플립디자인 시장을 석권하겠죠

물론 애플은 그 방식의 명칭을 또 자신만의 이름을 붙이겠지만 말이죠 ㅋ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덕원
2021.03.28. 05:43

똑같이 우글우글해서 반사 제대로 안되면 저는 별로 기대가 안되네요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334
35748 소식 비전 프로, 장점 vs. 단점 BarryWhite 24.02.07 0 337
35747 소식 LG마그나, 합작사 설립 후 첫 해외공장 멕시코에 건립…GM에 전기차 부품 공급 뉴스봇 22.04.20 0 400
35746 소식 2019.04.02 일간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 뉴스봇 19.04.02 0 34
35745 소식 제이씨현시스템, AMD X GIGABYTE BACK TO SCHOOL 이벤트 실시 뉴스봇 19.08.27 0 23
35744 Huawei P30 Pro official with 5x periscope, 40MP SuperSensing cameras 뉴스봇 19.03.26 0 32
35743 소식 애플 에어팟3 3월 출시 가능성 등장 뉴스봇 21.03.13 0 170
35742 소식 삼성, 협력사 채용 돕는다…‘2018 삼성 협력사 채용 한마당’ 개최 뉴스봇 18.11.12 0 27
35741 소식 텔레칩스, 차량용 MCU 엔지니어링 샘플 출시 뉴스봇 21.05.06 0 90
35740 소식 AMD 라데온 RX 7000 시리즈 초기 물량, RTX 40 시리즈 이상? 뉴스봇 22.11.22 0 163
35739 소식 베스핀글로벌, SW사업대표에 김은석 전 삼성넥스트 상무 영입 뉴스봇 18.11.13 0 21
35738 Oppo Reno 2 specs and images listed on a retailer's website ahead of launch 뉴스봇 19.08.27 0 20
35737 소식 LG 차세대 미드 레인지 5G 스마트폰, 8월 말 공개 뉴스봇 20.08.14 0 186
35736 Realme 3 goes on sale in India 뉴스봇 19.03.12 0 32
35735 소식 엔비디아 앙페르 GPU 성능, 볼타보다 75% 빨라? 뉴스봇 20.02.04 0 133
35734 소식 하드포크가 악재로...가상화폐 시장 급락∙비트코인 5600달러대로↓ 뉴스봇 18.11.15 0 27
35733 Samsung Galaxy S10 review 뉴스봇 19.03.06 0 41
35732 Huawei P30 and P30 Pro announcement coverage wrap-up 뉴스봇 19.03.27 0 28
35731 소식 화웨이, 이탈리아 TIM과 SD-WAN 협력 MOU 체결 뉴스봇 18.11.15 0 26
35730 소식 백포블러드와 리프트브레이크 대응, AMD RSAE 21.10.2 버전 배포 뉴스봇 21.10.12 0 89
35729 소식 기업은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다!...'멀티 클라우드' 선호도 매우 높아 뉴스봇 19.03.06 0 64
35728 소식 MS 코파일럿, 텍스트 기반 작곡 기능 추가 BarryWhite 23.12.21 0 147
35727 소식 아이코스-릴-글로 '수성' vs 모크 등 해외중소 브랜드 '공성' 뉴스봇 18.11.19 0 43
35726 소식 타이니AI가 뭐길래?..MIT, 올해 10대 혁신기술로 선정 BarryWhite 20.03.05 0 106
35725 소식 삼성, 가성비 AP로 중저가폰 시장 정조준 [1] 프로입털러 23.02.24 0 482
35724 소식 폴더블 스마트폰, 2020년 5010만대...삼성 vs 화웨이 경쟁 가속화 뉴스봇 18.08.07 0 29
35723 회원 애플 M4 맥북, 더 많은 게임 지원 가능성 열려 [5] file BarryWhite 24.06.11 0 235
35722 포르쉐 디자인 화웨이 메이트 30 RS, 화려한 디자인, 눈에 띄는 가격 뉴스봇 19.09.19 0 56
35721 다음모바일 8월말 개편…'My뷰'·'발견' 탭 7개월만에 삭제 프로입털러 22.07.06 0 122
35720 소식 中 접는폰 판 커졌는데…폴더블 개척자 삼성 점유율은 '반토막' 프로입털러 23.02.03 0 414
35719 소식 아마존웹서비스 장애로 쿠팡•마켓컬리 등 줄줄이 `접속불가` 뉴스봇 18.11.23 0 45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