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n3

미니 플렉스2 vs 그램 360

  • n3
  • 조회 수 2005
  • 2021.03.27. 23:53

제가 노트북은 플렉스2만 알아보고 있어서 잘 몰랐는데 킹쥐에서도 그램 360이라는 굉장히 플렉스스러운 물건이 새로 나온것 같더라군요. 오늘 매장갔다가 플렉스2와 그램360을 같이 비교해봤는데, 솔직히 말해서 마감 퀄리티나 속의 내장제나 하다못해 힌지라도 그램이 더 나은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제가 중딩때 그램에 한번 크게 데인적있어서 그때 오만정이 다 떨어져서 두번다시 그램은 쳐다보지 않으려 했는데 이번 그램 360보고 마지막으로 속는셈 치고 한번 더...? 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마음에 들더라고요. 실제로 그램 360써보신분 계신가요? 어떤지 궁금합니다!!

n3
Galaxy Book Pro 15.6
Microsoft Designer Compact Keyboard
Asus Rog Keris Wireless Gaming Mouse
Razer Orochi V2

Galaxy Tab 10.1 (SHW-M380S)
Apple Ipad Pro 12.9 5th
Apple Magic Keyboard

Galaxy S3 mini (GT-I8190)
Galaxy A8 (SM-A800S)
Galaxy S9+ (SM-G965N)
Galaxy S20+ (SM-986N)
Galaxy S23 (SM-S911N)

Sony XBA-A1AP
Sony XBA-N3AP
Final E4000
Sennheiser MOMENTUM True Wireless 2 White
Galaxy Buds Pro Violet
Harman/Kardon HK Onyx Studio 5
Galaxy Buds Pro 2 White

Galaxy Fit 2
Galaxy Watch 4
Galaxy Fit 3
댓글
26
MrHS
1등 MrHS
2021.03.27. 23:56

펜 생각하면 플렉스가 낫지 않을까요? AES 방식은 제조사 따라 지터링이 끔찍한 경우도 많아서...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실론
2등 실론
2021.03.27. 23:57

펜 때문에 플렉스요. 발열도 조금이지만 플렉스가 나을 것 같고.

[실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구글
구글
2021.03.28. 00:05

뭐 하시려는지는 모르겠지만 펜은 AES가 배터리 빼면 훨 낫더라고요. 문제가 EMR인지 S펜인지는 모르겠지만 제 기준에서 너무 별로인...

 

둘다 너무 떨어지는 물건은 아니니 싼거 사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구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jkoon
sjkoon
2021.03.28. 00:19

플렉스요

[sjko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야옹
야옹
2021.03.28. 01:14

요즘 나온건 달라요 저라면 그램 삽니다

다른 사이트 의견이나 여러 리뷰도 보시고 직접 만져보고 사는걸 추천드려요

[야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2021.03.28. 00:29

테크몽리뷰보니까 2021그램이 이온2 보다는 더 좋게 나왔더라구요. 플렉스랑 360비교는 없어서 ㅎㅎ 참고만 하십시오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WayBack 님께
2021.03.28. 01:07
WayBack 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8. 01:27

이 리뷰 말고 다른리뷰 참고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거의 이분 혼자만의 이론으로 만든 리뷰라서요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8. 10:29

어떤점을 보고 믿을만 하다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타이거레이크 뻥벤치 점수가지고 MX450이 게임뺴면 의미가 없네, 실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 비즈니스 작업에선 Xe 그래픽스가 더 낫네 같은 이상한 소리를 너무 많이 하신 리뷰라서요. 막상 실제 렌더링 같은 작업에서도 MX450이 훨씬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데 말입니다. CPU 벤치도 그냥 시네벤치 R23 벤치 돌리면 알아서 쓰로틀링까지 반영된 점수가 나오는데 이분 혼자서만 긱벤치 수동으로 한번씩 눌러가며 진행하는 특이한 방식으로 측정하죠. 제가 확인한 거의 모든 리뷰에서는 시네벤치 R23으로 측정시 히트파이프와 히트싱크 면적 넓은 갤럭시북쪽이 일정하게 높게 나오고 온도는 더 낮게 나왔습니다. 그러면서 막상 쓰로틀링에 제일 중요한 코어 온도는 반영하지도 않고 표면온도만 측정하면서 쓰로틀링을 평가한다고요? 애초에 접근 방식이 잘못된겁니다. 

 

 

 

애초에 처음 리뷰 올렸을때 게임 벤치나 실제 작업 벤치 없이 3D 마크 점수만 가지고 플렉스2가 쓸데없이 MX450 넣었다, 내장그래픽만으로 플렉스2 보다 성능 잘뽑은 그램이 낫다 뭐 이런소리 하셨다가 댓글 난리났었습니다. 그러고 영상 한번 내린뒤에 마지막 부분에 게임 벤치랍시고 조금 덧붙인다음 게임 한정해서는 플렉스2가 낫다 이런식으로 실수 인정안하는 스탠스 유지하고 계시죠. 평소에 잘보던 리뷰어 분인데 엄청 실망하고 구독 끊었습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MrHS 님께
2021.03.28. 14:45

리뷰 내용 이상한 거 없다고 보는데요? 그리고 한 번 닫고 게임 쪽 추가된 건 몰랐는데, 이 두 제품 가격 차이가 큽니다. ㅎㅎ 샘송이 게임에 타겟을 두고 MX450을 넣었다는데 이건 가격차이 생각하면 이해는 가는데요.. 그렇다고 리뷰 내용이 거짓이 아닌데 뭐가 문제인지 이해가.. ㅎㅎ; 그리고 코어 온도를 생각하지 않고 표면 온도를 왜 찍냐라고 하시는데 그건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전혀 없는 부분인데요. 실제로 손으로 쓸 때 온도를 말씀하시는데 왜 코어 온도 까지 들고와서 그걸 감안해서 얘기를 하라는 건가요? 한여름에 쓰기 불편하겠다. 라는 말도 나오던데 이건 그냥 사용성에서의 온도 얘기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8. 15:10

리뷰 내용에 이상한점이 없다니요? 다른 어떤 리뷰를 봐도 21년 갤럭시북 라인들이 CPU 코어 온도 제어도 더 잘하고 클럭 유지도 그램이 겨우 2.8Ghz에 코어온도 89도 유지시킬때 갤럭시북들은 3.3Ghz 이상의 클럭을 유지 하면서도 온도는 80도 내외수준에서 유지 시켜줍니다. 당연히 그만큼 점수차이도 많이 나는 편이구요. 그런데 다른 모든 리뷰들은 이런 결과인데 딱 이분만 이상한 방식으로 측정해놓고 그램이 열설계를 잘했다?? 어떻게 여기서 문제점이 없다고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쿨링은 절대로 물리적 한계를 넘을수 없습니다. 당장 히트싱크 면적이 2배 차이나면 머금을 수 있는 열량이 2배 차이가 나고. 히트파이프가 2배 차이나면 전달하는 열량이 2배 차이가 나는데 이걸 어떻게 넘어서나요? 고클럭 램으로 뭐 성능을 잘뽑았네 어쩌구 하기엔 애초에 내장그래픽 아니면 크게 영향을 주는 부분도 아닌데다가 이미 외장 GPU에 독립된 VRAM이 달려있는 기종이랑 비교할때는 아무 의미없는 사항인데 말이죠.

 

그리고 일반인 기준이라 표면온도를 언급한거라고요?? 영상에서 먼저 TDP 이야기를 하시지 않나요? 그러면서 전성비 좋은 램 써서 램 TDP를 낮춘 만큼 CPU코어에 더 할당했다 어쩌구 할거면 당연히 코어 온도를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런거 고려 안할거면 쓰로틀링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시면 안되는거겠죠?? 표면온도는 쓰로틀링이랑 100% 직접적으로 연관있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표면에 전도되는 열량이 많다는건 반대로 말하면 그만큼 프로세서에서 발생한 열이 잘 전달되고 있다고 볼수도 있는겁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MrHS 님께
2021.03.28. 15:12

아니요. 온도 나오는 부분 돌려보시면, MX450을 넣어서 구조적으로 이렇게 발열이 오를 수 밖에 없다고, 게임을 돌리고 나서의 온도를 보여주는 건데 무슨 TDP에요. ㅎㅎ;; 영상에서 TDP를 언급했을지는 몰라도, 해당 챕터와는 좀 성격이 다른 내용을 가져오셔서 말씀하시면 안되죠. ㅎㅎ

 

그리고 그 논리 그대로라면 엑시노스 2100, 스냅드래곤 888 폰 온도 측정에도 대입할 수 있겠네요. 왜 TDP 다 고려 안 하고 폰 외부 온도만 측정했는지... 그거 다 감안해서 리뷰어들이 말을 했어야 했는데 말이죠.. ㅠ

 

그리고 https://www.youtube.com/watch?v=wh69vYkdju4 그램 일반 모델과 이온 모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쪽은 그램이 온도가 높습니다. 반대로 성능도 훨씬 높고요. 이 영상에서도 그럼 선생님의 논리를 그대로 적용해도 되는 거겠죠?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8. 15:22

최소한 자료나 영상 들고오실거면 그게 어떤 제품인지는 알고 들고오시는게 매너 아닐까요? 갤럭시북 시리즈들은 외장 그래픽 탑재 여부에 따라 내부 쿨링 시스템이 달라지는건 알고 계시죠? 모르신다면 꼭 검색해 보세요. 지금 들고오신 영상은 내장그래픽 탑재모델로 그램이랑 동일하게 히트파이프1개 쿨러 1개 탑재된 모델이고. 노트기어에서 들고온 모델은 외장그래픽 탑재모델이라 팬2개 히트파이프2개 히트싱크면적 2배가 차이나는 모델입니다. 사실상 다른 노트북 수준이에요. 

 

폰은 다른이야기겠죠? 어차피 스마트폰 수준의 폼팩터에서 히트싱크도 없고 그래봐야 베이퍼챔버 같은 것들 활용해서 폰 프레임과 표면에 전도시켜서 열을 빼주는게 전부이니 처리 가능한 열량의 격차가 아무리 난리를 쳐도 크게 편차를 만들어내기 힘들거든요. 거기에 내외부에 유동없이 그저 표면으로의 전도로만 열을 처리하니 표면온도가 어느정도 CPU온도를 대변할수 있죠. 그러니 표면온도 + 클럭 변화로도 어느정도 납득할수 있는거구요. 하지만 노트북은 다릅니다. 설계에 따라 처리 가능한 열량이 2배 이상으로도 격차를 벌릴수가 있는데다 스마트폰이랑은 다르게 공기의 유동까지 이용하기 때문에 단순 표면온도만 보기에는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으니 CPU의 발열량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빠져나가고 있는지를 보려면 코어온도를 보는게 가장 확실하죠.

 

마지막으로 MX450이 돌아서 발열이 심하게 오른다구요? 내장그래픽은 놀구있나요..? 애초에 내장그래픽의 근본적인 한계 자체가 CPU와 GPU가 너무 가까이 있어서 한쪽이 일을해도 전도 때문에 다른쪽도 영향을 크게 받아 서로에게 쓰로틀링에서 영향을 주며 성능에 마이너스를 주는것인데 이것도 사실 웃긴이야기죠. 왜냐면 막상 게임 돌린 리뷰들 보면 CPU온도 외장그래픽 탑재 갤럭시북들이 더 낮습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8. 15:28

아니 다 필요없고 당장 외장그래픽 탑재 갤럭시북들이 더 높은 클럭을 더 낮은온도에서 유지시키면서 더 점수를 잘 뽑는다니까요?????? 아니 도대체 열설계에 대해 이야기 할때 이것보다 더 확실한 증거가 어디있습니까????? 외장그래픽 탑재 이온2 i5가 3.3Ghz 방어하면서 80도 온도로 시네벤치 R23에서 5400점대 뽑아줄떄 그램 i5는 2.7Ghz에 89도로 4300점대에서 논다니까요??? 그러면서 온도는 이온2가 더 낮다구요. 도대체 무슨말씀을 하시고 싶으신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그래서 저 결과가 문제있다는 말씀이신가요?? 지금 노트기어 리뷰랑 다른 리뷰는 서로 정 반대의 결과를 이야기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한쪽이 맞다고 인정하면 한쪽이 틀린건데 무슨말씀을 하고싶으신건지 정말 모르겠네요.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MrHS 님께
2021.03.28. 21:22

일하다가 이제 보니 댓글이 또 달려있네요. 근데 애초에 그램 360은 스트레스 테스트 아예 있지도 않네요. 대체 뭘 보시고 그램 360이 성능 유지가 딸릴 거라고 하시는 건지 모르겠지만(애초에 상판 하판 외부 온도를 측정해도 이쪽은 그램 360 온도가 더 낮습니다. 테크몽 처럼 그램이 더 높은 게 아니라요.), 그거와는 별개로 이온2와 그램 2021 테크몽 리뷰 보시면 아시겠지만 같은 CPU, 같은 램을 놔도 그램이 성능이 훨씬 위입니다. LPDDR4X 덕분이기도 하겠지만, 그리고 영상 속 발열 테스트를 봐도 그닥요. 고성능 모드를 제외한 고성능 모드나 저전력 모드는 이온이나 그램이나 별 차이 없는데 고성능 모드 끈 게 그램이 점수가 오락가락 하긴 하는데 점수가 마냥 떨어진 채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최적화가 덜 되었을 거라고 하네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8. 21:53

테크몽 이온2 잘못들고오셨다고요. 내장그래픽 버전은 아예 다른노트북으로 보셔야한다고요. 지금 외장그래픽 모델 이야기하는데 자꾸 테크몽님 내장그래픽 모델 리뷰는 왜 들고오시는건가요? 그리고 CPU점수는 쿨링성능에 따라 편차가 크지 램클럭에 크게 영향 많이 안받습니다. 테크몽님의 두번째 이온2 vs 그램 리뷰를 좀 보고 오세요 제발. 거기서 이온2가 외장그래픽 모델이 되면서 냉각 성능 강화되니까 3200Mhz DDR4 가지고도 시네벤치 R23에서 그램 압도하는거 안보이세요?? 온도도 더 낮으면서 더 높은 클럭을 유지한다고요. 일반그램이 성능 유지율이 별로이니 당연히 그램360도 별로죠 동일한 부품을 공유하는데 달라질게 있나요? 

 

마지막으로 최적화는 무슨 최적화 이야기를 하세요. 그냥 냉각 용량이 후달려서 그램이 클럭 유지 자체를 못하는데 거기에 최적화할게 뭐가 있습니까 도대체. 

 

테크몽님 이온2 그램 비교리뷰 2번째를 보고 와주세요 제발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MrHS 님께
2021.03.29. 04:43

그램 360이 같을 것이라.......... 그램 일반 2021 모델하고 360 하고 발열 자체가 다르던데 선샌님이야말로 테크몽하고 노트기어 리뷰를 보신 건지 모르겠네요. 그램 360 기준 상판 41도, 일반 그램은 52도고 하판은 흡입구쪽 그램 360 41도, 일반 그램 51도입니다. 이게 어떻게 같은 구조를 쓴 방열판이라고 같은 결과죠? 애초에 영상을 모두 봐도 일반 그램 2021 보다 삼성 제품군들이 온도가 더 낮은 건 맞아요. 근데 360에서는 오히려 반대의 온도 측정값이 나왔는데도 같은 것이다라... 노트기어에서 대놓고 온도 조작을 하지 않은 이상.. 참고로 노트기어하고 테크몽 모두 외부 온도 측정한 거고 이게 칩셋 온도와는 좀 다릅니다. 라는 말은 안 봤으면 싶네요.

 

그리고 이온2 잘못 가져온 게 아니라, 선생님이 2021 삼성 제품군들 CPU 전체가 온도 제어도 잘 되고 클럭 유지도 잘 된다고 적으셔서 가져온 겁니다. 외장 글픽 안 들어간 갤럭시북은 아니죠..; 그거 마저도 더 좋다고 하신다면......;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9. 08:10

아니 제발 영상을 제대로 다 보시라구요. 테크몽 리뷰 에서도 표면온도에 대해서 다루긴 하지만 그건 쓰로들링 관련이 아닌 순수하게 사용성 면에서의 접근입니다. 성능 영상을 보시면 코어온도로 쓰러틀링 비교를하고 테크몽님도 발열제어는 갤럭시북 외장그래픽 모델이 훨씬더 잘한다는데 왜 이걸 부정하시나요?? 그리고 말씀하시는 온도제어가 뭔데요? 온도제어는 좋은 쿨링 시스템으로 빠르게 열 배출하는게 좋은 온도제어입니다. 어차피 같은 인텔 시스템 내에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최적화로 차이 벌리는건 그냥 불가능하요. 눈에보기에 히트파이프와 히트싱크 면적이 적으면 거기서 끝 입니다. 

 

외장그래픽 모델을 왜 들고오긴요. 노트기어 리뷰에서 육안으로 봐도 열처리 능력이 2배는 될 갤럭시북 외장그래픽 모델을 가져다가 열설계를 못했네 같은 이상한 소리를 하니까 이 논쟁이 시작된건데 거기서 왜 내장그래픽을 들고 오시나요?? 저희가 언제 갤럭시북 시리즈 전체에 대해 이야기 했나요??? 노트기어에 대해서 이야기한거 아닌가요?? 그럼 최소한 대조군은 맞추고 비교하셔야죠? 그렇게 아무거나 들고오면 안됩니다.

 

표면온도가 낮다는건 딱 하나를 의미합니다. 들고써야하는 2 in 1 특성상 쓰로틀링을 더 빡세게 걸었다는거죠. 반대로 어떻게 쿨링 시스템이 다르다고 확신하시나요? 팬 형상부터 히트파이프 형상, 면적이 다 똑같은데 어디를 보고 다르다고 확신하시나요??? 아무리 봐도 노트북 쓰로틀링 테스트 한번도 해보신적 없는것 같은데 그러신가요?? 도대체 쓰로틀링을 보는데 왜 자꾸 표면온도를 보시죠? 동일한 CPU에 동일한 전압을 가하면 동일한 열량이 발생하는데 도대체 어떻게 같은 구조에서 다른 온도가 나오는걸 쓰로틀링이 아니라 쿨링 성능 개선이라고 보시는지 참 신기하네요.

 

10도정도 온도차이 벌리려면 일반 그램 대비 힛파2배 히트싱크 2배 해도 될까말까합니다. 그런데 그램360이 그렇던가요?? 제발 상식선에서 말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WayBack MrHS 님께
2021.03.29. 09:38

사용성 면에서의 접근... 노트기어도 어떻게 보면 사용성 면에서의 접근이었는데 TDP 말씀하시며 코어 온도 감인하지도 않고 표면 온도만 측정한 거라고 히시더니... 그리고 표면 온도가 더 낮댜는 근거가 강력한 쓰로틀링이요? 노트기어가 긱벤치를 수동으로 여러번 돌리긴 했는데 긱벤치도 쓰로틀린 반영 됩니다. 무슨 긱벤치 돌리면 벤치부스터 마냥 뜨거워도 풀성능 나오는 줄 아세요? 좀 더 객관적으로 접근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더 달아도 어차피 도돌이표일 것 같아서 그만 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WayBack 님께
2021.03.29. 10:09

긱벤치는 쓰로틀링 제대로 측정 안되는 벤치입니다. 애초에 순간적인 피크 연산력 측정하는 벤치로 무슨 쓰로틀링을 측정하나요?? 시네벤치 R23 돌리면 알아서 10분동안 최대 클럭 사용하면서 쓰로틀링 점수 측정해주는데 굳이 긱벤치요??? 그램이 쓰로틀링 특성이 좋다면 왜 시네벤치에서는 1000점정도 차이가 날까요?? 이건 너무나도 당연한 상식입니다 상식.

 

그리고 TDP 언급은 노트기어에서 언급하시니 TDP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코어온도를 봐야한다는 것이고 그것과 별개로 사용성 측면을 반영할때나 표면온도 측정이 의미있다는 소리인데 이게 어려운 논리였나보네요 죄송합니다.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헤리턴스
인헤리턴스
2021.03.28. 03:51

테크기어캐스트 리뷰 보면 윈도우+emr이라는 이유 하나로 갤북 12 처분 안 하고 있다면서 극찬하던데... 펜이 중요하면 플렉스가 맞지 않을까 싶네요

[인헤리턴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토카모
오토카모
2021.03.28. 11:28

가격 고려 안하시면 플렉스 츄.

 

그램도 잘나오긴했어요. 

[오토카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92 13
핫글 미니 25울트라가 S펜 빠진다는 소리는 처음 듣네요 [10] update 엔당이희망입니다 19:43 449 13
핫글 미니 현장나왔다가 봤는데, 갤워치 신형 테스트하나보데요? [9] elcid 11:34 1102 13
핫글 미니 미니기덕질이 너무 재미가 없네요 [7] 고슴도치 11:30 689 12
135852 미니 맥 쓰시는 분들 pdf는 주로 어떻게 보시나요? [6] 뚜시뚜시 21.03.27 392 0
135851 미니 새 노트북 문제 덩어리네요 [12] SM-G965U 21.03.27 553 0
135850 미니 모버일도 플루이드 모션같은게 있을까요? [5] 두유 21.03.27 434 0
135849 미니 오늘의 샀슈 [6] file 라테린 21.03.27 302 0
미니 플렉스2 vs 그램 360 [26] n3 21.03.27 2005 0
135847 미니 삼성 20000 25W 보조배터리 쓰시는분? [4] file 마직수 21.03.27 401 0
135846 미니 S8+ 부품용 얼마에 파는 게 적절할까요 ? [2] file IXAC 21.03.28 294 0
135845 미니 갤럭시탭s7+ 화면녹화 질문드려요ㅠㅠ 몽구스 21.03.28 179 0
135844 미니 아 폴드3는 화면비율이 어떻게 될까요?? [4] [폴드당]늙은이 21.03.28 524 0
135843 미니 MotionEngine 이기술이 다음 갤럭시에 탑재될까요? [9] 긴닉네임2002250504 21.03.28 477 0
135842 미니 갤탭 공부앱 어떤거 쓰세요?? [8] Hoshizora 21.03.28 473 0
135841 미니 삼성폰 쓰시는분들 브라우저 머쓰시나요 [22] 긴닉네임2002250504 21.03.28 1807 0
135840 미니 S22 카메라 성능 어느 정도 일까요? [8] 코더 21.03.28 549 0
135839 미니 [질문] 아이폰 -> 윈도우 컴퓨터 동영상 옮기기 [16] 우주안녕 21.03.28 1205 0
135838 미니 역시 쿨링은 물리적인게 최고입니다. [6] file 나랏미 21.03.28 583 0
135837 미니 조만간 아이폰12프맥으로 바꾸려했는데 [1] 구운주먹밥 21.03.28 315 0
135836 미니 One UI 3 맘에드는게 [2] file 감비아도나츠 21.03.28 570 0
135835 미니 갤럭시도 각진 디자인 나름 많이 나왔었죠 [7] file Thomasp5675 21.03.28 673 0
135834 미니 DMB용 태블릿 추천받을거 있나요? [6] 나랏미 21.03.28 486 0
135833 미니 맥북프로에서 파컷 배우는데 현자타임 옵니다 땅콩항공호갱 21.03.28 250 0
135832 미니 샤오미에서 발표한다는 액체렌즈 [8] 긴닉네임2002250504 21.03.28 686 0
135831 미니 s21 c타입 이어폰 잡음 [5] 골수삼빠맨 21.03.28 1124 0
135830 미니 미11 울트라 모델 확인 사살.jpg [10] file 사람in 21.03.28 831 0
135829 미니 안드 플렉슬 진짜 절실히 필요한거....... [13] 미래는핑크그린이다 21.03.28 649 0
135828 미니 미11울트라 야간사진 어떨지 기대가되네요 [2] S22울트라존버 21.03.28 194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