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삼성의 가격통수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또는...

  • 고니
  • 조회 수 668
  • 2021.04.11. 00:25

선요약 ㅡ 삼성의 현재 가격정책은 보완(또는 조금 낮출)이 필요하다.

 

안녕하십니까 30대 중반 군필 여고생 쟝입니다. 하와와와

 

세대에 따라서 삼성이란 회사에 느끼는 감정은 다를것입니다.

 

아직 학교다니는 친구들은 아마도 갤럭시가 제일 먼저 떠오를꺼구요

 

20대 분들은 tv를 포함한 it기업으로써

 

저랑 비슷한 나이대분들은 아마도 중고등학교때 학교에 보급되는 컴퓨터는 거의 삼성이었을꺼에요 그냥 다만드는 회사였죠

 

그리고 조금 더 관심 있던분들은 삼성에서 md 그리고 삼성 슈퍼 겜보이(아마도 세가 매가드라이브였을꺼에요)

 

그보다 더 인생의 경험이 많은분들은 제일모직 제일제당 등이 떠오를수도 있겠네요

 

어릴때에는 어찌보면 무난하고 괜찮은 국산 전자회사 였습니다. 제품군마다 다르겠지만 품질과 성능등을 비교하면 소니 및 일본전자회사들과는 차이가 났었죠 가성비 회사였죠 (지금의 일본회사들과는 역전이 되었지만)

 

어릴때야 어르신들은 다 무조건 삼성 아니면 엘지제품 쓰셨고 간혹 소니티비 있는집은 엄청 잘사는 집이었죠

 

제가 처음 구매한 삼성제품은 90년대후반 마이마이 였습니다. 그땐 어릴때라 정보 및 자금력의 한계로 워크맨을 사긴 힘들었죠

 

삼성전자 자체의 역사를 제가 다 써내려갈순 없는것이고 그냥 지극히 개인적인 기억(라고 쓰고 뇌이징 이라고 읽어요)으로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그냥 가성비 좋은 회사라 생각합니다.

 

2000년대 중반쯤부터 조금 변화가 생기는거 같습니다. 애니콜은 싸이언과 동급제품으로 비교시 스펙이 낮더라도 더 비싼가격에 팔리기 시작했구요

 

옙(yepp) 역시 아이리버 보다 저스펙에 가격은 비쌌습니다.

(물론 시기별로 다르겠지만 mp3p에서는 아이리버쪽이 더 인기가 많았죠)

 

2010년대부터는 조금 더 프리미엄이 붙기 시작한거 같아요 뭐 자신감이 있으니 그러겠죠 더이상 국산이니까 쉽게살수 있는 가격은 아니죠 자취하는 학생분들이라면 삼성티비 사는게 좀 부담일 겁니다. 기능이나 스펙에 덜 신경쓴다면 중소기업 또는 중국산tv를 사는게 합리적일수도요

 

2010년대 중반... 여전히 삼성은 고가정책을 유지합니다. 스마트폰이야 음지 또는 노예약정을 이용하고 노트북등은  초기거품이 빠진 오픈마켓을 이용하면 나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가 가능했죠

 

물론 이런부분이 가격통수의 시작이라고 봐야겠죠

 

2~3년 전부터 조금 변화가 있기 시작합니다. 그동안 안하던 가격방어를 하기시작하죠 스마트폰에는 한계가 있지만 태블릿은 예판이 제일 싸다 라는 나름 밈까지 만들어 졌죠

 

매년 그리고 상세라인업까지 생각하면 매분기 신제품이 쏟아지는데 같은가격으로 계속 팔수는 없는 노릇이죠 그래도 후속제품 공개후 가격인하가 시작됩니다.

 

이 시기가 개인적으로는 가격정책이 나름 합리적이다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최근 1년간은 가격정책이 들쑥날쑥 한거 같습니다. 추측컨데 사장님 바뀌고 일꺼 같습니다만

 

그중 가장 충격적인것은 폴드시리즈 가격이네요 새로운 폼팩터 이기에 비싼가격을 투자해서 사는부분은 어쩔수 없다만

 

가격인하는 충성고객의 통수를 얼얼하게 만드는거 같아요

 

그 행보는 폴드2와 플립시리즈에서도 계속 되고 있구여 이게 참 신기한게 시장의 특성도 있는데

 

탭은 무조건 빨리사는게 오피셜이 되어가는데

 

폰은 그게 아닌게 참... 투트랙 전략인지

 

출고가는 계속 고정이어야 하는 이유는 없으니 인하를 하는게 문제는 아니지만... 그 폭이 너무 크다는게 좀 문젠거 같아요

 

그런 가격정책은 다 여러명이 모여서 알아서 잘 하셨겠지만

 

폴드만 보더라도 240 발매후 180으로 인하 하는것보다

 

220 발매후 200으로 인하한다면 좀 더 팔리고 이익도 더 늘고 통수도 덜하지 않을까 싶네요..

 

ps. 밤에 잠이 안와서 그냥 긴글 써봤습니다. 불토란 이런것일까요 ㅎㅎ

 

ps2. 막쓰다보니 잘못된 내용이 있을수도 혹은 다른의견이 있을수도 있는데 리플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ps5... 사고싶다고 했던 그사람입니다 ㅋㅋㅋ 그땐 구할수가 없어서 못샀는데.. 지금은 마음먹으면 구할수있을꺼같은데 잘 안땡기네요 ㅎㅎ

댓글
11
HQteam
1등 HQteam
2021.04.11. 00:28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초기 가격은 개발비 회수라는 측면에서 설정하고, 후려치는 가격은 목표 매출 달성이라는 측면에서 설정하는 듯 합니다.

이렇게 생각을 하지 않는다면 초기에 높은 출고가와 나중에 후려치는 가격과의 차이를 설명하기가 개인적으로 어렵네요.

[HQtea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고니 HQteam 님께
2021.04.11. 00:36

의견감사합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익의 극대화 라고 할수도 있겠네요.

소비자 입장에서는 호구 어서오고 가 되는가 같구요

말은 이렇게 하지만 저역시 또 호구가 될수도 혹은 될준비를 하는거 같구요 ㅎㅎ

[고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한겹
2등 한겹
2021.04.11. 00:35

삼성이 워낙 수직계열화가 잘 되어있어서 출시 당시에는 원가가 높았던 것이 다른 기업에 비해 잘 떨어지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뭐, 프로모션이든 가격인하든 용량색상통수든 원체 많이 하던 거라서 각각 보면 그냥 그런데, 요즘 갑자기 여러개가 겹쳐서 더욱 불탄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한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3등 우주안녕
2021.04.11. 00:40

가격정책에 있어서 신뢰성과 단순성이 있는 디시젼이 있으면 좋겠어요. 신뢰성이라함은 언제 사도 호구가 아니라는 측면이고 단순성이라함은 이제 S시리와 Z시리즈는 기교(프로모션)보다 가격과 제품자체로 정면승부하는 걸 말합니다. 이게 고객충성도와 프리미엄이미지에 영향을 주거든요. 사실 Z폴드2도 솔직히 199만원 출시가격 가능해보입니다. 239만원 주고 사는 사람(예판포함)이 아무도 없어요.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흑우탐지견 우주안녕 님께
2021.04.11. 00:47

당시 일하던 매장에서 하도 눈치를 줘서 239만원 정가 주고 구매한 흑우가 여기 있습니다... 자급제는 아무런 프로모션도 없는데 그 매출을 다른데 가서 할거냐고... 실적하라고 ㅠㅠㅠ

[흑우탐지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흑우탐지견 님께
2021.04.11. 00:42
흑우탐지견 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흑우탐지견 님께
2021.04.11. 00:43

앗...아...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흑우탐지견 우주안녕 님께
2021.04.11. 00:46

그런데 그 때 대부분은 200 언저리에 구매하셨던걸로 기억이 나네요. 당시 지옥에서 199에 팔았던 것 같고, 오프라인은 이것저것 해서 최종가격이 조금 더 싼 것 같았고... 차라리 출고가를 조금 낮춰주면 좋을텐데 말이죠

[흑우탐지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흑우탐지견 님께
2021.04.11. 00:49

맞습니다. 180후반대(스마일캐시까지 포함하면)로 구입할 수 있었죠. 그런게 아니라면 대부분은 200초반-190후반대에서 사셨을겁니다.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흑우탐지견 우주안녕 님께
2021.04.11. 00:52

제 손에는 폴드가 너무 무거워서 2달인가 쓰고 처분했는데 중고가격이 130~140 언저리였던거 보고 충격이 엄청났었죠... 239만원 정가 주고 구매한 제품이 2달만에 100만원이 감가되버리니 ㅠㅠㅠ 지금은 S20U 쓰고 S21+ 주문해두기는 했지만 삼성 제품 감가는 정가로 봤을 때 진짜 코인마냥 주르륵 내려가버리니 가슴이 아픕니다..

[흑우탐지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흑우탐지견 님께
2021.04.11. 01:47

선생님입장에서는 정가라면...충분히 코인마냥이겠네요 ㅠㅠ 전 그냥 한달에 10만원씩 쓴다~ 이러면서 삽니다🤣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08 13
핫글 미니 23얼츄라와 먹방데이트 [9] file 애상 12:39 438 10
핫글 미니 OPPO new algorithm killed vivo X100 Ultra! [8] updatefile iceuniverse 17:48 216 7
핫글 미니 샤오미 폴더블 신제품 유출 정보 (vs 폴드 5/6) [8] update Daylight 13:35 761 6
198967 미니 갤럭시 Z 폴드3/플립3 생산 시작 [13] Thomasp5675 21.06.19 1082 8
198966 미니 아이폰 -> 출시 직후에 사도 지장 없음/ 갤럭시 -> 출시하고 6개월 지나야 무난 [42] 이라세오날 21.06.17 1062 8
198965 미니 샷슈 [11] file 말티즈는참지않아 21.06.16 302 8
198964 미니 빙우주: Z 플립3는 성공할 것 [11] Thomasp5675 21.06.15 1191 8
198963 미니 버즈 프로 아즈라 ㄱㄱ [32] file seohyun212 21.06.15 1138 8
198962 미니 "영국 통신사 보다폰, 5G 네트워크 장비 공급업체로 삼성전자 선정" [7] aleji 21.06.15 736 8
198961 미니 샀슈 [16] file 시엠 21.06.14 485 8
198960 미니 혹시 도움이 되실까해서 이어팁 회사별 사이즈 [8] file 펄럭펄럭 21.06.14 710 8
198959 미니 아즈라 버즈프로 15일 6시 런칭 16일부터 배송 [6] file 펄럭펄럭 21.06.14 538 8
198958 미니 삼성전자 공밀레 레전드.. [13] file 슈피리어 21.06.13 1687 8
198957 미니 갤럭시Z폴드3 발표 언팩 이벤트 8월3일 개최 [5] ProjectZer0 21.06.12 815 8
198956 미니 갤럭시 Z 폴드3/플립3 출시일 [12] Thomasp5675 21.06.12 1519 8
198955 미니 LG가 모니터 리뷰 가이드 제시로 말이 좀 나오네요. (feat. hardware Unboxed) [22] file 폴드투를쓰는겁니다 21.06.12 1950 8
198954 미니 이온1, 플렉스1, 알파1 퀵쉐어 지원 먹었어요 [37] file 레이루브 21.06.11 1026 8
198953 미니 오너 [5] file 몽구스 21.06.10 430 8
198952 미니 애플이 보는 안드폰 vs 우리가 보는 안드폰 [9] file 으냥 21.06.09 1013 8
198951 미니 s21 막 눌러도 hdr 후처리 훌륭하군요 [5] file 개구리페페 21.06.09 682 8
198950 미니 액티브4 외관 변화 거의 없길 바라시는 분...? [15] file MrGom™ 21.06.08 511 8
198949 미니 아이패드OS 새로운 사파리 볼매입니다 [19] file Alternative 21.06.08 887 8
198948 미니 15 버전 간략 후기 [7] file idsr 21.06.08 906 8
198947 미니 픽셀 6 후면 카메라 거의 확정이군요 [4] file 선라이즈 21.06.07 615 8
198946 미니 (약스압) 갤북 프로 체험단 후기 남길 겸 같이 남기는 후기... [1] file 대성대표파트라슈 21.06.07 429 8
198945 미니 저는 후레자식이었습니다. [10] Havokrush 21.06.07 698 8
198944 미니 결국 4K 디스플레이 떼 버렸습니다. [12] Havokrush 21.06.06 1426 8
198943 미니 S10e에서 기변했습니다. [14] file 까마귀 21.06.05 698 8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