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대형기기 *TV·모니터와 같은 영상가전, 생활·주방가전, 차량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천서진

TV OLED를 이길 수 있는 LCD

https://fireflystory.tistory.com/m/31

 

듀얼 레이어 LCD로 흑백LCD+컬러LCD를 조합해서 OLED의 명암비와 LCD의 밝기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술로 생각됩니다.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지만 어차피 벽에 걸거나 바로 앞에 놔두는데 두께가 크게 중요할까요

 

다만, 대형 OLED의 수율이 올라가면 원가 경쟁력에서 밀릴물건이라는게 흠이죠

천서진
모두가 완벽할수 없으니간 찌그러져도 괜찮아!!!
댓글
19
수플레
1등 수플레
2021.05.22. 23:01

레퍼런스 모니터를 그렇게 만드는데 투과율이 낮아 밝기 손실때문에 발열이랑 사용전력이 엄청나다고 하네요...

[수플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천서진
글쓴이
천서진 수플레 님께
2021.05.22. 23:02

일단 BOE에서 1000니트까지는 가능하게 했다는데 LCD는 1500, 2000니트도 있는지라....

[천서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수플레
수플레 천서진 님께
2021.05.22. 23:04

LCD는 그냥 백라이트만 밝으면 그만이라...

백라이트 발열만 잡으면 되죠

[수플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천서진
글쓴이
천서진 수플레 님께
2021.05.22. 23:05

그게 힘드니..... 그리고 위에 컬러LCD가 있어서 무작정 밝기를 올린다고 문제가 해결될거같지도 않고요 ㅠㅠㅠ

[천서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천서진
글쓴이
천서진 수플레 님께
2021.05.22. 23:20

그돈이면 OLED를....

[천서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토카모
2등 오토카모
2021.05.22. 23:01

내연기관과 증기기관의 세대 교체를 보는듯같아용

[오토카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천서진
글쓴이
천서진 오토카모 님께
2021.05.22. 23:03

개인적으로는 상용화되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손해는 투자한 기업들이 보는거고 소비자는 번인없는데 명암비가 좋은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어서 좋은거고요 ㅋㄴㄴ

[천서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3등 흡혈귀왕
2021.05.22. 23:15

OLED 대비 두께도 이점이 있는건가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천서진
글쓴이
천서진 흡혈귀왕 님께
2021.05.22. 23:19

아니요 LCD2개를 이용하고 투과율이 낮아 백라이트를 더 쎄게 쏴서 발열이 늘어나기 때문에 두께는 훨씬 두꺼워 질거에오 ㅠㅠㅠ

[천서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천서진 님께
2021.05.22. 23:29

그러면 딱히 이점은 없겠네요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캬)
(캬)
2021.05.22. 23:17

LCD의 가능성은 대체 어디까지인지ㅋㅋㅋ

[(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일.칠칠이사오삼팔오
일.칠칠이사오삼팔오
2021.05.23. 00:19

OLED의 명암비+LCD의 밝기+LCD의 발열+LCD의 전력소모*2+LCD의 두께*2

[일.칠칠이사오삼팔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레이루브
레이루브
2021.05.23. 00:15

이래도 oled를 이길 수 없는 이유는

플렉서블이겠죠?

[레이루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천서진
글쓴이
천서진 레이루브 님께
2021.05.23. 00:18

두께와 전력소모 아직 대규모 상용화가 안됨 단가가 높아짐 등등 여러가지죠

[천서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SLD
ASLD
2021.05.23. 00:47

이거 존나 뜨겁고 팬달면 시끄럽고

못써먹어요

[ASL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둠다다디디다
둠다다디디다
2021.05.23. 21:14

이미 상당히 오래전부터 전문가용으로 여기저기 사용중인 기술이라 새로운 기술이라기보다는 저렇게 화질적으로 장점이 많은데도 한정된 시장에서만 사용되고있는 이유가 있는 놈이죠.

[둠다다디디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
개🐶
2021.05.23. 17:02

OLED도 인치수 80정도면 1000와트 먹는 에어컨보다 더한 녀석이 되죠

[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8 차량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 출시...8,281만원 뉴스봇 21.07.07 1 238
827 차량 일론머스크: 자율주행이 생각보다 어려워 [10] 사이렌오더 21.07.07 0 427
826 차량 ELECTRIFIED G80 출시 [8] file S.LSI 21.07.07 1 403
825 차량 리막, 부가티 인수…전기 하이퍼카 시대 연다 [1] 뉴스봇 21.07.06 1 160
824 차량 볼보 S60 급발진 '주장' 사고가 공중파를 탔군요 [25] file 땅콩항공호갱 21.07.06 1 769
823 차량 기아, The 2022 레이 출시 [14] 뉴스봇 21.07.05 1 561
822 차량 Canoo의 ‘sport vehicle’ 포착 [8] file 사이렌오더 21.07.05 2 310
821 차량 G80 스포츠 [6] file Thomasp5675 21.07.05 1 414
820 생활 건조기는 삼성이죠? [15] 애기미붕이 21.07.05 0 500
819 차량 현대차, 수소트럭 엑시언트 주행거리 100만km 돌파 file 뉴스봇 21.07.02 2 237
818 차량 전기차가 내연차보다 힘이 좋은가요?? [20] Kanata 21.07.02 0 651
817 차량 국내서 41만km 달린 볼트가 나왔네요 [21] 땅콩항공호갱 21.07.02 1 592
816 차량 6월 국산차 판매순위 [13] file 감비아도나츠 21.07.02 0 470
815 차량 샀슈 [9] file 난거북넌토끼 21.07.01 19 536
814 차량 다마스 부★활 [9] [성공]함께크는성장 21.07.01 2 659
813 차량 아우디, 더 뉴 아우디 SQ5 TFSI 출시 [2] 뉴스봇 21.07.01 0 263
812 차량 현모스 고양 차량 착석기(?) [16] file LG산흑우 21.06.30 9 402
811 차량 곧 멸종될 것 같은 차를 시승했습니다 [9] file 땅콩항공호갱 21.06.29 3 570
810 차량 현대·기아차, 주행거리 연장 위해 차세대 전기차에 CNT 히터 도입 검토 뉴스봇 21.06.29 0 169
809 TV LG 올레드 TV, 4K·120Hz서도 돌비비전 게이밍 지원 뉴스봇 21.06.29 0 133
808 차량 폭스바겐, 2035년까지 유럽서 내연기관 완전 퇴출 뉴스봇 21.06.28 0 86
807 차량 쌍용차에 대한 회계 중간보고서가 나왔다는데 [4] 룬룬 21.06.28 4 320
806 생활 창문형 에어컨 달았네요 [6] file 배붕이 21.06.27 5 510
805 TV 왔슈 [6] file 김애용 21.06.26 6 299
804 TV 최근 삼성의 WOLED 구매 찌라시에 대해서 분석한 글이 있네요 Elsanna 21.06.25 4 25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