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이번 바뀐 삼성 3GAA 공정 PPA 조정은 경쟁상 굉장히 우려스럽긴하네요;;;

Bimg_b7d279ebad3e732f8771fc3f99fbdd4b_j15l.jpg

 

 

처음 삼성파운드리가 3GAE 관련 노드 발표땐

굉장히 낙관적이었습니다.

 

7LPP 대비

 

성능 30% 개선

소비전력 50% 개선

면적 45% 개선

 

으로 면적 개선은 생각보다 크진않지만

MBCFET 도입으로 성능과 소비전력이 크게 개선될것으로 전망되었거든요....

 

 

 

그리고 나중엔 오히려 PPA가 더 향상됬습니다.

 

20200703_hot5_04_mns_1.jpg

 

무려 5LPE랑 비교시 무려

 

성능 30% 개선

소비전력 50% 개선

면적 35% 개선

 

이라고 갱신됬는데...

 

 

 

당시 5LPE의 경우

 

Bimg_846764e817c2fedb328e16d8a4fe3f4f_3ojo.jpg

 

이미 7LPP 대비

 

성능 10% 개선

소비전력 20% 개선

면적 25% 개선

 

라는 나름 나쁘지않은 수치여서 장미빛 미래가 펼쳐질것으로 예측됬습니다.

 

물론 결과물이 그따구로 나올거라곤 상상도 못했으니깐요;;;;

 

 

 

사실상 5LPE는 6.0T 메탈트랙과 SDB를 통해 셀면적이 줄어든 7LPP랑

다를바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런와중에...

 

123.jpg

 

 

7LPP 대비 3GAE의 PPA가 변경되었습니다.

올라도 모자를판에 감소되버렸네요.

 

7LPP 대비

 

성능 10% 개선

소비전력 20% 개선

면적 25% 개선

 

로요....

 

 

심지어 저 수치는 5LPE 발표때 7LPP 대비 향상된

PPA 수치입니다;;;

 

 

아니 그러면 애초에 5LPE때 목표했던 PPA를

MBCFET이 도입된 3GAE에서나 달성됬다는 소리가 되려나요??ㄷㄷㄷㄷㄷ

 

참고로 저 수치대로라면

 

 

TSMC N5랑 대결하기도 빡쌘 수치입니다;;;;;

5LPE가 발표 성능대로 나왔어도 TSMC N6이랑 N5 사이급의 어딘가 성능으로 예측되었는데

그걸 3GAE에서 달성했다면 당근 TSMC N5랑 경쟁이 성사가 안된다는것이죠...

 

 

적어도 저 수치대로라면 긍정적으로 생각은 못할 상황이긴합니다.

루머처럼 퀄콤이 TSMC 4나노로 넘어가는것도 전혀 이상하지않구요...

 

"삼성 3GAE 쓸바엔 TSMC N4 쓸래"가 되니깐요;;;ㅠㅠ

 

 

 

누누히 이야기했지만 삼성파운드리가 망할일도 없고 파운드리 사업을 접을일도 없습니다.

 

매출이나 물량 비중은 아직까지도

 

28nm/14nm/11nm/10nm/8nm 쪽 비중이 더 크고 이쪽은 잘 나가니깐요...

문제는 7nm 이하 미세공정쪽에서 저렇게 밀리게되면 삼성파운드리가 업계 2위 포지션이 되더라도

1위인 TSMC랑 1위 2위 사이 격차가 너무 벌어져버릴 것으로 예측되서 아쉬운것이죠..ㅠ

 

 

애초에 10나노 이하 미세공정을 안정적으로 양산하던게

삼성과 TSMC정도 뿐이니 TSMC가 꽉차면 삼성 문을 두드리는 업체들은 계속 있을겁니다....

하지만 저런 향상치로 빅고객들이 유지가 잘 될런지는 모르겠네용.....ㅠㅠ

 

 

참고로 10나노 시절만해도 삼성파운드리 정말 좋았습니다.

10LPE가 면적이랑 밀도가 TSMC 10FF대비 좀 밀리긴 했지만 반년빨리 런칭하고

성능은 둘이 쌍둥이라 할정도로 비슷했고 10LPP에선 확실히 10FF 대비 더 나았으니깐요...

 

요 스탭이꼬이기 시작한게

바로 7나노 부터네요 ㅠㅠ

 

삼성은 10나노 노드가 오래갈것으로 예상해서

10LPE/10LPP/10LPU 등등 장기화 노드로 로드맵잡고 7나노는 EUV적용하면서

느긋하게가려했는데

 

TSMC가 ArFi로 7나노 강행하고 그게 성공적으로되서

삼성도 부랴부랴 7LPP 조기런칭 하려고했지만 여의치않아서 10LPU를 로드맵에서 제거하고

백엔드를 좀더 줄인 8LPP를 플랜B로 내세웠지만 TSMC N7 상대하긴 부족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EUV도입하고 N7 대비 1년 늦게 런칭한 7LPP는

성능상 TSMC N7P를 상대하긴 커녕 N7이랑 비교됬으니 뭐ㅠㅠ

 

모든 시작은 7LPP부터네요...

 

 

 

 

아무튼 제일문제는 엑시노스네요;;;;;;

퀄콤이야 TSMC로 건너가면 그만이지만 엑시노스는 선단공정 계속 써야할테니깐요;;;;;;;;;;;;ㅠㅠㅠ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14
Aimyon
2등 Aimyon
2021.05.29. 01:51

킹갓 대만아찌 다시 모셔와야 됩니다. 근데 엑시노스 삼파 독점 계약 끝난다고 하지 않았나요?

[Aimy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Aimyon 님께
2021.05.29. 01:53

그부분까지는 잘모르겠네요...

S.LSI가 CIS는 이원화하는거 같던데말이죵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3등 reador...
2021.05.29. 01:56

gaa 면 새로운 구조인데 10%는 에바인 것 같습니다.

오히려 잘못 적은게 아닌가 샆을정도로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reador... 님께
2021.05.29. 01:57

7LPP랑 5LPE도 사실상 목표 PPA 달성 실패로 보이는지라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reador... 흡혈귀왕 님께
2021.05.29. 02:21

혼돈 파괴!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orbear
polorbear
2021.05.29. 02:01

그냥 삼성이 지금 까지 끌거온걸로 대단하다 보고는게 맞는게 아닐지...    꿈과 현실은 다르니깐요.  

삼성은 꿈 과 희망으론 정말 희망찬 미래로  우리 최소 이정도야 했는대 현실은 개판인거고 TSMC는 이정도 일꺼 같은데 ? 했지만 현실은  전부 압도하는 최강이 나온것이고.

[polorb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polorbear 님께
2021.05.29. 02:03

뭔가 7나노부터 너무 EUV만 믿고 타겟성능을 높게 잡은것도 있는듯하네요...

프론트엔드랑 미들엔드를 빡쌔게 조여야 성능이 더 오를텐데.....

 

10나노까지만해도 정말 나쁘지않는데 말이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polorbear
polorbear 흡혈귀왕 님께
2021.05.29. 02:12

EUV만 믿고? 라기엔 너무 멀리 와버린거 아닐까요. 

그리고. 과연 이것을 몰랐을까요? 이미 다 알고 있었고.  진행된 결과라 봅니다.  일단 입부터 털고 이정도면 해결 가능 하겠지 했지만 현실은...

[polorb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polorbear 님께
2021.05.29. 02:16

뭐 그건 내부에서만 알겠죠 아마

어찌됬던 7나노 이전까지만해도 잘나갔던것도 사실이었던지라...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reador... 흡혈귀왕 님께
2021.05.29. 02:22

근데 2019년 목표치에서 2020 한번 더 높였다가

2021년에 나락으로 떨어뜨린다라

 

흠좀무...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xteen
rexteen
2021.05.29. 06:44

스펙너프가 실제로 있었을 수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아마 수치를 잘못썼다던지 (예를들어 5lpe에서의 성능개선 성능수치를 썼다던지..숫자가 같네요) 아니면 7나노 핀펫을 mbcfet으로 전환시 개선이득을 썼다던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성능이나 전력소모는 예기치 못하게 기대수준보다 안나올 수는 있겠지만 칩 면적의 경우는 공정 설계에서 정해지기 떄문에 갑자기 줄어들리가 없거든요. (물론 아직 라인 깔기 전이니 작년대비 올해 갑자기 변경되었을 수 있겠지만..차이가 너무 크네요)

 

그런데 7나노 핀펫대비 3나노 mbcfet에서 칩 면적이 25% 밖에 개선이 안되었다라는건, mbcfet이 어쨋든 칩면적을 개선시킬 수 밖에 없음을 고려하면 7나노에서 5나노로 변경했을떄, 그리고 5나노에서 3나노로 옮겼을 시 (즉 7나노핀펫->3나노핀펫으로 가정시) 칩 면적 개선이 거의 없었다 라는 얘기가 되니까요.

 

그러고보니 바뀌었다라는 게시물은 제 기억으론 한달전 정도에 본거 같은데..그떄는 숫자를 잘 안봤었네요

[rextee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92 13
핫글 미니 애플 제품들이 중고판매도 잘되네요. [21] 잇흥 10:45 846 14
핫글 미니 마소는 제발 기본 앱의 웹앱화를 멈춰달라..!! [13] updatefile Fluent 15:34 587 13
핫글 미니 iPhone 16 Pro Max [7] file iceuniverse 13:02 878 11
118534 미니 미코랑 삼성의 관계 [2] Hoshizora 21.06.01 525 1
118533 미니 태블릿 사용용도투표(7천명) [11] file Aix843 21.06.01 426 1
118532 미니 아이폰 se2가 A5X시리즈를 완전히 잡지는 못했나보군요 [3] Hoshizora 21.06.01 532 1
118531 미니 슬슬 독점의 폐해가 나오기 시작하네요. [1] Niflheimr 21.06.01 774 0
118530 미니 아 근데 요새 삼성 답답하네요 [3] 피묻은고라니 21.06.01 715 2
118529 미니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셀룰러 kt꺼 흑우 되려했는데 일초냉각 21.06.01 187 0
118528 미니 일본 A52 3일 발매네요 [10] file 카더 21.06.01 532 3
118527 미니 3080ti 발표, MSRP 1199달러긴한데 [7] sourire 21.06.01 411 2
118526 미니 맥북에어 써보니까 비율이랑 해상도가 참 중요한거같네요. [10] file Serian 21.06.01 1672 0
118525 미니 암드 인텔 기술력 차이를 보여주는 썰 [2] 시엠 21.06.01 1050 11
118524 미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 [30] file 뇌이징 21.06.01 982 16
118523 미니 위메프발 아이패드도 오늘 오네요 Aix843 21.06.01 161 0
118522 미니 갤럭시 Z 플립 보호필름 2회 무상 부착 서비스 [1] file Thomasp5675 21.06.01 514 6
118521 미니 요새 플래그쉽에 유리 들어가는거 회의적 입니다. [6] Eako 21.06.01 518 0
118520 미니 답정너 지름신고합니다.jpg [4] file rollin 21.06.01 532 9
118519 미니 스싱 블투 키보드 서피스에서 사용 [2] file Thomasp5675 21.06.01 238 3
118518 미니 x86과 ARM 두 진영의 긱벤치비교는 무의미한가요? [11] 좌상탄아홉발이상무 21.06.01 625 0
118517 미니 왔슈.jpg file StirFry 21.06.01 212 2
118516 미니 RDNA2로 GPU 바뀌고 설마... [8] qazsdf 21.06.01 739 2
118515 미니 스싱 랩스 이런 기능도 생겼군요 [10] file Thomasp5675 21.06.01 462 3
118514 미니 암드 확실히 기세가 남다르네여 [14] 시엠 21.06.01 674 3
118513 미니 EO-IG955 음질 괜찮은가요? [3] 순진미소년 21.06.01 265 0
118512 미니 혹시 워치 이거 왜이러신줄 아나요? [5] 가방 21.06.01 372 0
118511 미니 AMD V캐시 얘기가 조용하네요 [5] 시엠 21.06.01 479 1
118510 미니 마지막 LG폰, 결국 추첨제로 판다 [3] 프로입털러 21.06.01 613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