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ix843

미니 아이패드에 oled가 들어간다니

  • Aix843
  • 조회 수 1217
  • 2021.05.31. 18:19

개인적으로 전자기기 사용량이 그렇게 많지 않아서인지? 번인을 여태껏 한번도 겪어보지 못했습니다

예전부터 갤럭시 oled 번인에 관련해 많이들 얘기가 나왔었는데

아이폰에 oled가 들어가고, 특히 이번세대는 전량 oled가 들어가고 나서는 

핸드폰쪽에서는 크게 말이 나오지 않는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태블릿은 아직 아이패드는 lcd인지라 그런지

'태블릿은 lcd가 좋고 oled번인때문에 태블릿엔 별로다, 불안하다' 라는 말을 많이 봤습니다

물론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태블릿 특성상 장기간 같은화면을 켜둘수도 있고 필기앱같은 부분에서 불안할수도 있겠죠

그런데 태블릿은 구조상 스마트폰보다 번인 확률도 적기도 하고, 실제로도 탭s6 이후로 번인에 관한 글은 거의 본적이 없는것같네요

태블릿 구매후 솔직히 대부분 영상머신이나 웹서핑으로 사용하실텐데 이부분에서도 oled가 나을것같구요

 

이제 아이폰 아이패드 플래그쉽 라인업이 oled니 

번인관련이나 lcd가 더 낫다 라는 글은 거의 없어질것 같은데 허허..

역시 애플이 해야 그런 얘기들이 줄어드는거겠죠

댓글
13
라테린
1등 라테린
2021.05.31. 18:23

사실 삼성엘지가 욕 쳐먹으면서 2,3년하다가

애플이 쓰면 단점이 있긴했나 정도로 단점들 다 묻히는게 한두번이 아니라서..

[라테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베인글로리장인
2등 베인글로리장인
2021.05.31. 18:22

태블릿이랑 스마트폰 oled 소자 크기가 몇배차이나나요?

[베인글로리장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3등 Mr.BlueSky
2021.05.31. 18:42

제가 느끼기엔 폰 기준으로는 X 출시나 그 1년 전 즈음부터 2~3년의 스마트폰 수명 주기 내에서 번인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생각하고, 특히 아이폰은 자체 번인 보정 소프트웨어와 특수 디스플레이(최근 기종 제외)를 탑재해 번인을 줄이기도 했죠. 아이폰X는 그럼에도 일부 전시용 폰에서는 번인 논란이 소소하게나마 있었고요. 

이런 맥락을 모두 무시하고 단지 아이폰에서 탑재하니 논란이 잠잠해졌다고 하면 오해의 소지가 다분해보입니다.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라테린
라테린 Mr.BlueSky 님께
2021.05.31. 18:28

실제로 벌어진 사실이 그런걸 어떡하나요.. 기술이 발전한거도 맞고 애플 탑재타이밍이 맞아떨어지기도 했고요

[라테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뱡카 Mr.BlueSky 님께
2021.05.31. 18:28

초기 아몰레드에 디인분들은 oled싫어할만도 할듯합니다 x는 oled 많이 올라오고 차용했고

[뱡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best Mr.BlueSky Mr.BlueSky 님께
2021.05.31. 18:34

태블릿이 폰에 비해 번인 특성이 유리하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오래되면 거의 무조건 바꾸는 스마트폰과 달리 태블릿은 성능의 한계가 오더라도 영상 머신, 전자책이라는 확고한 용도가 있으니 폰과 같은 잣대를 놓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중고가만 보더라도 초기 1~2년을 제외하면 그 이후로는 감소폭이 상당히 적죠.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Mr.BlueSky 님께
2021.05.31. 18:30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x843
글쓴이
Aix843 Mr.BlueSky 님께
2021.05.31. 18:40

네 선생님 댓글에도 동의합니다

한 갤s8 정도때부터 번인얘기가 많이 줄어들었죠

그런데 아무래도 쌓인 이미지가 있다보니 oled 번인에 대한 공포가 박힌거겠죠

물론 애플도 이제 이정도 기술이면 oled 넘어가도 괜찮겠는데? 라고 판단해서 넘어간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이제 이 교체과정에서

갤럭시 oled는 번인잘나는데 아이폰은 번인 안온대

혹은 oled 까던분들의 태세전환을 좀 봤어서요

그냥 푸념정도로 들어주시면 되실것같아요 하하..

[Aix843]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Aix843 님께
2021.05.31. 18:51

아하 어떤 의미인지 알겠습니다. 확실히 그런 분들이 없다고 하면 그것도 거짓말이겠죠.. 애플 사용자 전체를 모두 광신도처럼 프레임 씌우려는 일부 사람들도 있어 저도 조금 예민했던 것 같습니다.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콜홍
콜홍
2021.05.31. 18:29

저는 만에 하나에 대비해서 보험을 드는 것처럼.

아이패드에 올레드를 장착한 제품이 나오기 전부터 번인 얘기가 나오는 것 자체가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그건 분명 단점이 맞습니다.

 

글구 스마트폰과 달리 같은 화면을 오래 보는 경우가 많고, 사용 기간도 긴 편이기도 하구요.

아이폰에서 번인이 눈에 띄지 않았으니 아이패드도 괜찮을 것 같다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콜홍]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NKING
2021.05.31. 19:02

OLED로 처음 나온 아이폰X의 번인 내구성이 그시절까지의 갤럭시들 대비 유의미할 정도로 우수했던것과

갤럭시가 S10 세대에 와서야 소자 개선과 보정 알고리즘 등으로 번인 이야기가 좀 잦아들기 시작했던것도 사실인데

실제로 OLED가 LCD대비 겨우 쓸만해진 것이 최근 들어서라고 생각하는 저로서는 단순히 애플이 쓰니 태세전환 했다는 "그 분들" 취급 받는 것 같아 좀 억울한 감이 있습니다.

[FUNKING]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블루베리스무디
블루베리스무디
2021.05.31. 19:00

지극히 개인적으로는 oled 아이패드가 실제로 들어간다면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그 선택이 실패에 가까울거다 라고 생각해요.

oled를 사용한 아이폰X부터 지금까지 폰 범주 안에서는 oled를 굉장히 훌륭하게 사용했다고 봐요. 폰 범위 안에서.

왜냐, 아이패드 맥북과 달리 소지하면서 화면을 보는 매커니즘 안에서는 베젤을 줄이는게 중요하고( 물론 안드로이드 폰 베젤에 비해 형편없지만) 베젤을 줄이면서 터치id에서 페이스id로 옮겨간 홈버튼삭제+전면노치구간 을 만들며 '이유'있는 변화를 가져왔어요.

oled+스테인리스 쓰면서 무게+가격 올리는 행동도 하구요. 그런데 태블릿 환경에서는 매커니즘이 다를뿐더러 예술 쪽, 의류나 그림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에게 또다른 혼동을 줄거같아요. 인텔에서 애플실리콘으로 간거처럼요. m1 탑재는 맥os를 이용하고, 비교도 안되는 발열, 전성비 등 자체 앱을 사용하는 맥북유저들에게 결국은 좋은 방향으로 가겠지만,

oled 태블릿은 HDR 영상을 띄우는 용도외에는 전체적인 컬러 캘리나, 번인현상을 억제하기위한 밝기제한 등 기존에 전문적으로 쓰던 사람들에게 꽤나 혼동을 줄거같아요.

저같은 일반적으로 쓰는 사람들에겐 넷플릭스 hdr감상 좋고, 블랙 좋고, 균일도 좋고 좋을수도 있겠지만 그 부분은 미니led로도 꽤나 많이 커버가 되는데 미니led모델이 이제 출시되는 이 시점에서 oled 차용?! 개인적으론 완전 별로라 봐요.

이 생각이 틀렸다는 걸 보여줬으면..

[블루베리스무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헤스티
헤스티
2021.05.31. 19:14

사실 번인도 번인인데 밝기가 크죠. 폰으로는 HDR 딱히 보는거도없고 바꾸기도 편해서 별상관안하지만 좀 디스플레이가 큰 기기의 영역으로 들어가면 전 게임이건 영화건 HDR 컨텐츠를 주로 보는데 이게 HDR 컨텐츠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OLED는 걱정이 안될래야 안될수가 없어서요. 지금 48CX나 갤탭칠도 그러한 부분을 의식해서 전반적인 밝기가 상당히 낮은데 이 문제가 해결되기전까진 아직까진 모니터나 태블릿은 미니LED 쪽을 더 기대해보는편이예요.

[헤스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9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34] [성공]함께크는성장 24.06.02 1251 24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6] file AquStar 24.06.02 847 19
핫글 미니 갤럭시 뒷판 녹아서 분리되는 계절이 돌아왔군요 ㅋㅋ 개빡치네 [40] update TempNick 24.06.02 1918 11
95979 미니 노트북 이 둘 중 뭐가 나을까요 [13] file 霧津 21.05.31 1890 0
95978 미니 TSMC N5 대비 N5P 향상치 [1] file 흡혈귀왕 21.05.31 784 3
95977 미니 썬더볼트 케이블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뇌이징 21.05.31 142 0
95976 미니 혹시 이번 s21 업뎃후 폴더 블러가 제대로 나오시나요?? [2] file 환상의사기꾼 21.05.31 313 0
95975 미니 삼송은 지나치게 많이 내는 것 같아요 [14] 여우같은하비 21.05.31 720 3
95974 미니 왜 같은 쿠팡인데 저는 왜 안 새벽이죠. [5] file 땅콩항공호갱 21.05.31 394 0
95973 미니 11번가는 패드 5세대를 내놓아라... [2] file Anesthesia 21.05.31 287 1
95972 미니 구글포토 유료화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IXAC 21.05.31 178 0
95971 미니 올해 갤럭시 핏 2 후속작이 나올까요? [6] Maul 21.05.31 331 0
95970 미니 아니 이게 뭐죠 [40] file LG산흑우 21.05.31 1514 22
95969 미니 그러니까 내년 노트출시 검토는 [7] 만두궁물 21.05.31 404 1
95968 미니 맥도날드 emv 풀렸다길래 애플페이 한국 시도 경험 [2] file idsr 21.05.31 1053 3
95967 미니 S20+에서 만족스럽게 넘어갈 기기는 몇년간 안나오겠네요 [10] 버르닝 21.05.31 566 4
95966 미니 애플워치 충전방식은 안바뀌겠죠? [11]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1.05.31 1096 2
95965 미니 플웨즈 이제 스마트폰 리뷰 안 하나요? [2] 코드명다빈치 21.05.31 324 0
95964 미니 애플이 아이패드에 OLED 채택 확정했다네요. [14] NOARK 21.05.31 1095 3
95963 미니 혹시 이 모니터들 가성비 어떤가요...? [6] file 흔한고딩 21.05.31 317 0
95962 미니 드디어 아이패드에도 OLED가 ㄷ ㄷ ㄷ [1] Eomjunsik 21.05.31 580 0
95961 미니 인텔이 타이거레이크와 조합되는 5G모뎀을 발표했네요 [4] 스퀴니 21.05.31 271 0
95960 미니 LG도 가상인간 '래아' 있네요 [11] file LG산흑우 21.05.31 814 7
95959 미니 버추얼 어시스턴트는 뭐죠 대체 [5] [성공]함께크는성장 21.05.31 451 2
95958 미니 애플의 미니LED 자체 생산은 눈여겨봐야 겠네요 [4] Rekoj 21.05.31 590 3
95957 미니 노트9에 비하면 엄청난 발전이네요. [24] file AlieNaTiZ 21.05.31 956 6
미니 아이패드에 oled가 들어간다니 [13] Aix843 21.05.31 1217 4
95955 미니 갓성페이 충성충성 ^_^ [4] file 삼드 21.05.31 765 6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