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차기 엑시노스2200과 스냅드래곤895 공정 관련 주절주절

차기 스냅드래곤895 스펙표도 유출되면서 내년 AP들 윤곽이 어느정도 드러난듯합니다.

공정 관련해서 말이 많은데....

 

일단 링크드인 정보랑 디지타임즈의 정보만 놓고보자면

 

공정.png

출처 : https://gamma0burst.tistory.com/

 

퀄콤 차기 AP는 5LPP 공정을 쓴다고 나오고 있습니다. (여담으로 8LPU를 쓴 AP도 나오는거 같네요?)

4nm 공정을 쓴다고 포착되는건 오직 모뎀쪽만 포착되는 상태...

 

 

기존 삼성파운드리 로드맵을 좀 확인해보겠습니다.

 

b37535656b305e97d1d6ea10ee96d5f0.png

 

원래 계획대로라면 삼성파운드리는 7LPP를 베이스로해서

6LPP -> 5LPE -> 4LPE 등으로 백엔드를 축소하는 식으로 버티면서 

3GAE를 MBCFET 도입후 풀노드 공정으로해서 전환하려했을겁니다.

 

 

그런중 갑자기

 

5LPP, 5LPA, 4LPP 등등 라인업이 추가되었습니다.

 

https://fuse.wikichip.org/news/5004/samsung-details-5nm-and-4nm-adds-8lpa-5lpp-and-4lpp-nodes-readies-3nm-gaa-for-next-year/

 

wikichip 유료 기사인데

최근 8LPA까지 추가된것으로 보이는군요?

 

 

 

갑자기 저렇게 라인업이 계속 추가된것은 아시다피

 

10nm 라인업 이후 나온 EUV 라인인

7LPP, 5LPE 등등 모두 성능이 실망 스러웠습니다.

 

7LPP는 EUV 도입하고 TSMC 1세대 ArFi 7나노인 N7 대비 1년이나 늦게 나왔는데

성능은 N7이랑 거의 동일했고

 

5LPE 공정은 원래라면 TSMC 6나노 공정인 N6과 1세대 5나노인 N5 사이의 어딘가 성능이어야 하는데

어찌된게 성능이 7LPP에서 개선이 안된것처럼 보입니다. (백엔드 개선에 따른 면적만 줄었나?)

 

 

 

이런 상황에서 삼성파운드리도 제대로 끝맺음 하면 안되겠다고 싶어서

중간에 개선된 라인업을 막 늘린게 아닌가란 생각이 드는데....

 

 

 

결론은 5LPP가 5LPE 대비 뭐가 달라졌냐는 겁니다.

 

 

저는 여전히 5LPP가 기존 로드맵에 있던 4LPE 공정의 리네이밍 공정이라고 인지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4LPE인지는 모르겠지만

 

 

5LPP = 4LPX(?)

 

라는 정보가 계속 포착되는거보면 뭐가됬던 기존 5LPE에서 프론트엔드, 미들엔드 개선외에도

백엔드쪽도 면적이 개선될만한 어드밴티지 옵션이 들어갓을 것으로 보입니다.

 

 

 

예전 5LPE 대비 4LPE의 백엔드 변경 사항으로

https://fuse.wikichip.org/news/2823/samsung-5-nm-and-4-nm-update/

 

M1피치를 40nm에서 28nm로 축소

M2를 36nm에서 32nm로 축소

핀 피치 또한 25nm로 축소

 

할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럴 경우 확실히 4nm로 부를수잇을 만큼까지는 축소됩니다.

 

5LPP에 해당 기술이 적용됬다면 5LPP=4LPX도 사실상 맞는말이 됩니다.

 

 

 

 

그럼 엑시노스2200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삼성은 지속적으로 링크드인에

차기 제품은 4nm 공정을 쓸것으로 포착되었습니다.

 

공정2.png

공정3.png

 

출처 : https://gamma0burst.tistory.com/

 

4nm GPU 다이 블록 이야기가 있는데 저 GPU는 당근 RDNA2겠죠...

그러다가 차기 엑시노스2200에 3세대 5나노 공정인 5LPA 이야기까지 나왔습니다.

 

4nm에서 갑자기 5LPA는 뭐냐? 라는 소리가 나올수있어서

5LPP와 5LPA의 차이가 멀지 파악해보는게 맞을거같네요...

 

 

 

일단 약간의 프론트엔드와 미들엔드 차이가 있을수 있겠고 제일 큰 차이는

5LPA에 5LPP에는 없는 면적을 조금이라도 축소할수있는 기술이

최소 2개 이상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실상 5LPA쪽이 좀더 4nm 스러운 공정으로 봐야할까요?

근데 왜 5LPA 이야기가 나오게된것일까요?

 

그냥 좀 뇌피셜로 추측하자면 퀄콤이 5LPP 쓰는데 삼성은 4nm로 광고하면 퀄콤 입장에선

구린 공정처럼 보일 우려가있어서 나름 입김이 적용했을 가능성도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이리되면 스냅드래곤895와 엑시노스2200의 공정 기술이 다르다는 이야기가됩니다.

왜 달라지는 상황이 왔을까요?

 

뭐 이걸 어렵지않게 생각해보면

퀄콤은 스냅드래곤895가 삼성만 쓸것이 아니라 수많은 안드로이드 제조사들도 써야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성능+수율 모두 안정적인 보수적인 공정을 써야했을 겁니다.

 

엑시노스2200에 적용된 공정에 면적을 줄이는 기술이 2개 이상 들어갔을 경우 성능은 확보하면서

면적은 줄일수있어서 이점이 있지만 그만큼 생산 수율은 극악이됩니다.

퀄콤은 그런 모험을 하기 싫었을 가능성이 높겠죠....

 

 

엑시노스2200에 새로운 기술 들어간건 엑시노스가 이뻐서(...)라기보단

삼성파운드리의 신기술 양산 적용에 제일 적합한것이 엑시노스라서 일겁니다.

게다가 삼성 플래그십 라인에만 들어갈테니 퀄콤 스냅드래곤895처럼 물량이 빡쌜 필요도 없죠.

 

이게 제대로만 적용되면 성능은 성능대로 확보되면서 면적을 줄일수있지만

반대로 실패할 경우 성능은 이도저도 아닌데 수율이 개망하는 최악의 경우도 있을 겁니다.

 

이건 나와봐야알겠네요....

 

 

 

 

 

 

<정리>

- 링크드인 내역과 디지타임즈 기사대로라면 차기 퀄콤 스냅드래곤895는 5LPP 공정

 

- 단 여러 루트로 5LPP=4LPX(?) 공정이라는 정보가 들리는거보면 5LPP 자체가 5LPE 대비

프론트엔드, 미들엔드 개선말고도 백엔드 개선으로 면적도 줄었을것으로 보임

 

- 퀄콤이 스냅드래곤895를 4nm 공정으로 광고해도 딱히 문제는 없어보임

 

- 엑시노스2200은 링크드인에 지속적으로 4nm 공정 제조라는것이 포착 그러다 5LPA 이야기나옴

 

- 5LPA는 5LPP 대비 칩 면적을 줄일수있는 기술이 최소 2개 이상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

 

- 5LPA가 갑툭튀한건 퀄콤이 5LPP 쓰는데 삼성은 4nm로 광고하면 퀄콤 입장에선

구린 공정처럼 보일 우려가있어서 나름 입김이 적용?

 

- 스냅드래곤895가 4nm로 광고한다면 엑시노스2200도 결국 4nm로 광고할것으로 보임

노드 기술상 엑시노스2200의 4nm가 면적은 더 작을것으로 보임

 

- 둘이 공정이 다르게된 이유로 엑시노스2200에 삼성파운드리의 신기술 적용 양산에 의한것으로

퀄콤이 해당 옵션대로 했을 경우 원하는 물량을 뽑기 어려워서 일것으로 보임

 

- 엑시노스2200에 적용된 공정이 좀더 4nm 스럽긴하지만 이게 잘만 적용되면 성능 확보와 함께

면적도 줄이겠지만 실패시 성능은 이도저도 아니고 수율은 캐망할수도 있는 우려도 있음

 

- 내년 공정 성능은 제발 TSMC N5와 N5P 사이급 정도라도 되어야할것으로 보임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37
1등 바보중
2021.06.06. 00:19

5lpe가 끽해야 n7p급 성능인데 네이밍이 5lpa던  4lpe던 n5p급 성능만 내면 엄청난 향상 ㄷㄷ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바보중 님께
2021.06.06. 00:21

지금 축척된 데이터만보면 5LPE는 7LPP에서 성능 향상이 거의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스냅드래곤895랑 엑시노스2200에 적용된 공정은 N5랑 N5P 사이급 성능은 되어야할겁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0:28

저번에도 글썼지만 영 성능향상율이 삐리했죠.... 7lpp가 1년 늦게 나와놓고 n7과 동급수준이니;

5lpp라고 칭하면 또 하프노드일거고 4lpe라고 한다면 풀노드급 성능향상이 있을거라고 생각되네요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바보중 님께
2021.06.06. 00:32

5LPP=4LPX라는 이야기가 들리니

5LPP 백엔드 자체는 4LPE랑 동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0:32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중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0:54

성능을 위해선 좀 프론트랑 미들 좀;;;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2등 나랏미
2021.06.06. 00:20

정말 반신반의 하네요. 쨌든 지금보다는 개선은 되겠지 싶지만서도 변수가 있으니 원..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6.06. 00:22

5LPE가 좀 스타트를 잘 끊어주었음 좋았을텐데...

우려스럽긴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0:24

근데 과연 한세대뒤쳐지는 성능을 다시 반세대로 좁힌다면 그거나름대로 대단하긴 하겠네요. 일단 가장 무난한거는 격차를 여기서 더 벌리지 않았음 하는 바램이지만..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6.06. 00:25

그렇긴하죠. 내년 스냅드래곤895랑 엑시노스2200에 적용된 공정 성능이

TSMC N5랑 N5P 사이급만되도 성공입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3등 나르자
2021.06.06. 00:28

무엇떄문에 이렇게 EUV공정이 완성도가 떨어지는지, 이유가 아직 밝혀지지도 않아서 좀 답답스럽긴 하네요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나르자 님께
2021.06.06. 00:30

EUV만 믿고 너무 타겟성능을 높게 잡은게 아닌가란 생각도 드네요....

프론트엔드랑 미들엔드를 좀 꽉 조여야 성능이 오를거같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reador... 나르자 님께
2021.06.06. 00:36

아마 펠리클?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reador... 폴드투를쓰는겁니다 님께
2021.06.06. 00:57

그런데 님께서 달아주신 링크글 보면

https://semiengineering.com/euv-pellicles-finally-ready/

 

Without a pellicle, the results can be catastrophic. If a particle lands on a mask, the scanner could print repeating defects on the wafer, which negatively impacts yield.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제가 다른 곳 사이트에서도 영상을 봤을때도 (어느 영상인지 기억은 안나지만요) 그랬구요.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폴드투를쓰는겁니다 reador... 님께
2021.06.06. 01:04

Pellicle이 particle protection못해서 wafer yield 떨어지는건 국룰인거고, 위의 링크는 EUV pelicle을 ASML이 개발완료해서 주려고해! 입니다. 뭐 저게 말이 틀렸다는게 아니라 저건 당연하거예여. Pellicle 사용하는 지금의 ArF 에서도 particle은 떨어지면서 특정 layer의 patterning 정상적으로 안되면서 defect yield loss 발생합니다.

 

여튼 TSMC가 그동안 썼냐 안썼냐인데 주신 링크에는 in-house pellicle을 썼다는데 또 지들이 쓴 자료에는 우린 pellicle 안쓰고 대신 wet-cleaning (이게 지금 보편적으로 그동안 사용했던 PR 이후의 공정입니다) 이 아니라 dry-cleaning으로 particle해결했어~ 라고 해서 앞에 글에서 물음표를 던진거구요.

 

 

아셔야하는건 지금 저 Pellicle 사용 여부때문에 수율이 개판났다? 아니라는겁니다. mask 수명줄어들어서 단가 손해보고, 잦은 mask 교체 등으로 뭐 얼마나 나겠냐만 제품별 편차발생하고, particle 이슈로 DLY 무너질수야 있는데 그거 하나로 개판나긴 힘듭니다.

[폴드투를쓰는겁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폴드투를쓰는겁니다 님께
2021.06.06. 01:01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eador...
reador... 폴드투를쓰는겁니다 님께
2021.06.06. 01:08

넵넵 :->  밤이 깊었네요. 편히 주무시고 좋은 일요일 되세요

[reado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reador... 님께
2021.06.06. 01:08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2021.06.06. 00:29

여러의미로 기대됩니다. 퀼컴과 엑시노스가 S22로 동시에 들어가니 재밌겠네요.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우주안녕 님께
2021.06.06. 00:31

공정 성능만 좀 멀쩡하길 바랍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0:35

Cpu는 어떻게 될까요..? 그저 발목만 안잡길 바래야하려나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6.06. 00:44

ARMv9쪽 좋은 이야기가

그닥 안들리는데 CPU의 구린 전성비를 공정 성능으로 최대한 억누르던가 그래야할거같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0:45

매우 어렵겠네요. 현재 공정 상태도 어떻게 흘러갈지 모르는 일인데.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존버합니다
2021.06.06. 00:30

걱정되네요 내년 엑시 스냅도...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존버합니다 님께
2021.06.06. 00:33

ARMv9 + 공정성능

두가지가 변수네요...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배붕이
배붕이
2021.06.06. 00:33

지금보다는 좋아질거라 믿고 있습니다.

[배붕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배붕이 님께
2021.06.06. 00:34

7LPP -> 5LPE 연속으로 별로였으면 슬슬 좀 멀쩡해질때도 됬죠....ㅠ

삼성 공정 성능 10나노때까정해도 참 좋았는데..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6.06. 01:35

9810부터 5년째이어진 징크스 이제좀 깨뜨렸음 좋겠어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으헝잇힝으헝
2021.06.06. 01:20

와우.... 일단 좀 복잡해서 반정도밖에 이해하지 못했지만 결국엔 발표날에 엑시2200이든 스냅 895든 4나노에 성능 빠방했으면 좋겠습니다.

[으헝잇힝으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으헝잇힝으헝 님께
2021.06.06. 12:27

공정 성능만 좋아도 두칩 성능은 선빵할듯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아무노래
아무노래
2021.06.06. 08:15

2200이 판뒤집기를 위한 도박수를 던진걸로 보면 될려나요.. RDNA2 + 신공정

[아무노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아무노래 님께
2021.06.06. 12:29

공정 신기술 테스트하기엔 엑시노스 만큼 좋은게 없죠..(나쁘게 말하면 임상실험)

이게 잘만되면 성능+면적 모두 잡을수있을듯한데 나와봐야알듯합니다.

 

저 신기술 테스트하게된 배경 자체도 뭔가 0티어급 업체(?)가 해당 기술을 원했고

그 기술을 성공적으로 런칭 테스트하기엔 엑시노스2200이 제일 최적이었겠죠..

 

반대로 말하면 엑시노스2200은 삼성파운드리 입장에선 무조건 성공적으로

선적해야하는 부담감이 ㄷㄷㄷㄷ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2021.06.06. 08:54

삼파가 뭔가 GF 테크를 타는거 같아서 불안하네요...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회로 님께
2021.06.06. 12:31

GF는 미세공정 개발 GG치고 포기한 사례라서 비교는 어려울거같습니다.

 

삼성은 성능이 별로이다할 뿐이고 TSMC와 더불어

10나노 이하 노드 양산하는 유일한 업체이니....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5airair5
5airair5
2021.06.07. 18:48

저도 말씀하신 것처럼 엑시와 스냅 차기작이 다른 공정 쓸줄 알았는데, 최근에는 다른 얘기가 들리네요.

- 두개 다 결국 5LPP(퀄컴은 4LPX라고 하겠지만).

- 5LPA는 4LPE로 이름 바꾸기

 

[5airair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5airair5 님께
2021.06.07. 19:41

일단 퀄콤과 S.LSI가 무선사에 광고하는 스펙표에는

그냥 두 칩 모두 심플하게 4nm로 표시된거 같더군요...(옵션명 표시안됨)

 

파미르는 제가 아는게 맞다면

면적 줄이는 2개의 기술이 추가로 들어간것으로 아는데

이게 현재 0티어 업체(?)가 요청했던 기술이다보니

 

시험 테스트할겸 들어간걸로 보입니다.

아니면 5LPP에서 해당 두옵션이 들어갔을수도 있을거같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69 13
핫글 미니 [잡담] PC 들일 때 맥이냐 윈도우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22] update 불심 15:32 721 10
핫글 미니 ios18 제어센터라는데 [18] file 오레오가좋아 09:29 1266 8
핫글 미니 갤럭시 문자 알림 아이콘 바뀌었네요. [3] file 바닐라라떼 10:03 744 4
210592 미니 버지는 아이폰13에 9점을 주네요. [38] Eomjunsik 21.09.21 1281 17
210591 미니 오늘 강력하게 기억에 남는것 : [5] file 별빛정원 21.09.15 981 17
210590 미니 찌라시) 갤럭시 탭S8 울트라의 4K 디스플레이 탑재 가능성 [34] file 시스템모니터 21.09.14 1709 17
210589 미니 GOS가지고는 삼성이 욕 덜먹는 느낌 [16] 갤럭시派 21.09.06 1003 17
210588 미니 이게...뭐죠...? [7] file 그지왕 21.08.30 1088 17
210587 미니 폴드3 간단 소감 file idsr 21.08.21 989 17
210586 미니 웨어 OS가 타사에서 안쓸거라는건 이해가 되질 않네요. [4] sjkoon 21.08.19 916 17
210585 미니 플립3 투고 받아왔습니다 [6] file 이태리밤고구마 21.08.18 692 17
210584 미니 늦은 폴드3 디프 실물 후기 [10] file 오토카모 21.08.16 1371 17
210583 미니 애플 제품 관련 유튜버는 차고 넘쳐서 [9] [성공]함께크는성장 21.08.16 1453 17
210582 미니 UDC는 딱 1년만 더 준비했었으면 어땠을까 싶기도 합니다 [13] Niflheimr 21.08.13 614 17
210581 미니 협찬 영상에 대한 관행은 소비자에게 손해만 낳을 뿐이죠. [6] Mr.BlueSky 21.08.12 674 17
210580 미니 마침내 다가왔습니다 [10] file TM.Roh 21.08.11 1120 17
210579 미니 의외로 폴드3 저렴하지 않나요? [14] file Memeko 21.08.09 1327 17
210578 미니 삼성 포함 광고 중 최고 극혐은 [5] 달무리 21.08.09 755 17
210577 미니 근데 억빠 아니고 솔직히 광고 신경 안쓰이긴해요 [27] 개구리페페 21.08.09 823 17
210576 미니 폴드 중앙부 S펜 인식 되는 이유 [7] 한겹 21.08.08 3162 17
210575 미니 오늘자 아이폰 12 Pro Max 몇 장 📸 [1] file Daileee 21.08.07 729 17
210574 미니 A칩과 M칩의 차이점 [9] sourire 21.08.05 1439 17
210573 미니 왔슈 [14] file 팬텀 21.08.05 538 17
210572 미니 소신발언) [10] LG산흑우 21.08.02 1124 17
210571 미니 삼성폰이 LG처럼 될 가능성은 한없이 낮은게... [13] Stellist 21.08.01 1117 17
210570 미니 사과를 하는게 최고의 선택이죠 [11] file Thomasp5675 21.07.22 1062 17
210569 미니 탭 S7 FE를 원하는 팬들이 하이엔드 유저가 아닐 수도 있겠죠 [16] 쑥부쟁이 21.07.19 1594 17
210568 미니 KEEP CALM [21] file 마키세크리스 21.07.16 735 17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