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선라이즈

미니 삼성이 두들겨 맞는 근본적인 이유는..

국내에 대조군이 없어요. 

하다못해 대만이나 유럽처럼 다양한 회사 제품을 써보면 오해 내지 편견 해소가 되는데 현실은 일본보다 플래그십 라인의 갈라파고스 상태입니다. 애플 아니면 삼성. 과정이 어찌 되었든 간에 현재의 결과가 그렇습니다.

 

삼성의 현 위치를 모르는 상태이니 갖은 말이 나오기 쉽습니다. 심지어 전파법으로 인해 픽셀, 엑스페리아, 메이트, 원플 등을 써본 분이 소수일 수밖에 없는 법구조도 한몫합니다. 실제로 써보면 환상이란게 사라집니다. 보통 그래서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에서 환상이 떠돌기 마련입니다. 가장 실용적이여야할 스마트폰이라는 카티고리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즉, 자연스럽게 아이폰과 비교를 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그건 사실 다른 카테고리거든요. AP, OS가 다른데 기능이 비슷하면 같은 선상에서 견줄 수 있는가는 개인마다 다를 수도 있으니 확언까지는 무리겠습니다만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사실상 수직계열화를 이뤄낸 애플과 삼성의 대결은 기본적으로 삼성이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심지어 애플과 다르기 삼성은 사업 분야가 많습니다. 직원수 차이나 접근할 수 있는 인재풀도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삼성이 지는 게임입니다. 그 차이를 애써 무시하는 분도 있고 일부 수긍하는 사람도 있고.. 다양한 사람들이 있으며 저도 그 부분은 존중합니다. 어차피 과몰입했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결국 관리기록에서 뵐 수 있더군요..

 

 

그냥 현상적인 각도에서 살펴봤습니다.

댓글
32
레이루브
1등 레이루브
2021.06.06. 11:06

그나마 비교되면 소니일까요?

[레이루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글쓴이
선라이즈 레이루브 님께
2021.06.06. 11:08

픽셀보다 최적화 별로고 카메라도 그럭저럭이라 갤럭시와 1대1 비교하면 8대2 정도로 치우칠 것 같네요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무야호
best 2등 무야호
2021.06.06. 11:06

물아일체 =  관리게시판 이죠.^^

[무야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글쓴이
선라이즈 무야호 님께
2021.06.06. 11:08

알아서 걸어가니..ㅋㅋ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콜홍
3등 콜홍
2021.06.06. 11:14

저도 갤럭시랑 어이폰은 비교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교 대상이 그 둘 뿐이라는게 함정이죠 ㅜㅜ

[콜홍]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글쓴이
best 선라이즈 콜홍 님께
2021.06.06. 11:14

구조적으로 삼성은 애플 못 이깁니다. 그저 차이로 인한 강점에서 일부 우위를 점할 뿐이라 생각하네요.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lalopp
2021.06.06. 11:16

저도 미코에서 최근에 까이는게 심화된게 애플이랑 행보가 비교되서 인 것 같네요.

 애플은 최근 m1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배한뒤 명백한 방향성을 가지고 순조롭게 나아가는 반면 삼성은 최근 폰이나 북이나 뭔가 헤매고 있다는 느낌을 주니까요. 어떻게보면 일반인들보다 기덕들 입장에서 이런게 더 크게 다가오죠.

 

여기서 더 오버하시는분들이 삼성제품들의 명백한 장점들까지 까내리는거나 애플단점까지 쉴드치는거고.. 

[lalopp]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글쓴이
선라이즈 lalopp 님께
2021.06.06. 11:17

더 나아가 근본적인 원인은 무생물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2021.06.06. 11:22

같은 얘기의 반복이라고 느끼실 수도 있지만 제가 느끼기에 '갤럭시와 아이폰이 동급이 아니다'라고 프레임이 바뀐 것부터 갤럭시 입장에서는 조금 아쉬울 것 같아요. S10때만 해도 이 정도는 아니었거든요.. 물론 그때에도 아이패드나 생태계는 애플이 호평이 많긴 했지만 폰은 단순 호불호라는 느낌이었고, 지금도 많은 일반인 분들은 그렇게 생각하죠.

 

그런데 점점 비싼 폰 쓸꺼면 아이폰이라는 인식이 넓어지는건 삼성 입장에서 여러모로 패착인 것 같습니다. 테크 기업이고 고급 시장을 아예 놓은게 아니라면 장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장은 플래그쉽일테니까요.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글쓴이
best 선라이즈 Mr.BlueSky 님께
2021.06.06. 11:23

예전에 어떤 글을 봤는데 카메라 부서 상주 직원 수부터 차이가 제법 났습니다. 투자하는 부분에서 동급이 아닌데 결과가 동급이려면 애플이 헛돈을 쓰거나 삼성이 노동법을 준수하지 않거나 둘 중에 하나겠지요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BlueSky
Mr.BlueSky 선라이즈 님께
2021.06.06. 11:57

넵 맞죠. 다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결국 자업자득이고 괜찮은 가격에 좋은 제품만 나오면 되지 내부 사정까지 고려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똑같이 투자해도 예전에는 매년 업그레이드 되는게 눈에 띄게 보였는데 요즘엔 발전이 더뎌진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쓰는 폰이 어느 것이건 갤럭시가 잘 나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은건데 다음 폰은 좀 더 괜찮게 나오면 좋겠네요.

[Mr.BlueSk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선라이즈
글쓴이
선라이즈 Mr.BlueSky 님께
2021.06.06. 12:01

요컨데 피지컬 차이라는 거죠.

좋은 비유일지는 모르겠는데 1kg 이내 경량 노트북에서 쓰로틀링 없는 외장그래픽을 겸비한 성능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좋죠. 그런데 2kg대 노트북은 그것보다 못할 수가 없다는 말입니다.

[선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Mr.BlueSky 님께
2021.06.06. 11:26

늘 궁금한건데 "비싼폰 쓸거면 아이폰" 이라는 말씀의 근거가 있는건가요..? 점유율도, 판매량도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데 뭘 근거로 이런 말씀을 하시는 건가요?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MrHS 님께
2021.06.06. 11:28

아이폰 판매량도 결국 판매량의 반 가량을 차지하는 중국, 내수 빼면 갤럭시 플래그쉽이랑 차이가 그렇게 막 크진 않죠.

(물론 아이폰이 더 많이 팔리기는 합니다)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best 바보비버 Thomasp5675 님께
2021.06.06. 11:37

그 두개를 왜 빼나요..?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바보비버 님께
2021.06.06. 11:48

미국 내수야 뭐 한국에서 갤럭시 점유율 70%인것 처럼 당연히 애플이 사기적으로 높을 수 밖에 없죠.

중국은 여러모로 특수한 시장이다 보니...

 

그리고 '고가형 스마트폰은 아이폰이다' 라기엔 저 특수한 두 시장 빼고는 갤럭시 점유율이 그렇게 낮지 않다는걸 말한겁니다.

걔네 둘 빼면 그렇게까지 차이가 나지 않으니까요.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best 바보비버 Thomasp5675 님께
2021.06.06. 11:58

미국에서 애플 점유율은 30~40%정도라서 한국 정도도 아닌데..

 

그리고 중국같은 경우에는 아무리 특수한 시장이라도 세계 시장중에 하나인데 굳이 전부 뺄이유를 모르겠네요

 

애초에 저렇게 비교할꺼면 삼성도 국내 판매량을 빼고 계산해야 맞지 않을까요?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바보비버 님께
2021.06.06. 11:57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바보비버 님께
2021.06.06. 12:24

네 빼야죠.

 

유럽 기준으로 비교했을때 6%p 차이났다니까요?

그렇게 고가형 폰은 아이폰이면 유럽에서 갤럭시 플래그쉽이 저렇게 많이 팔릴 일은 없겠죠?

저 두 시장 빼면 '고가형 폰은 아이폰' 이라고 보기 매우 어렵잖아요.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바보비버
best 바보비버 Thomasp5675 님께
2021.06.06. 12:49

아니 쫌 흥분하신거 같으신데 저는 왜 굳이 애플이 성공했고 잘파는 시장을 빼고 삼성에 유리하게 계산하는지 물어본거에요ㅋㅋ 반대쪽에서 유럽하고 한국시장빼고 삼성 판매량 보면 현저히 낮다고 하면 이상하잖아요??

 

그리고 저는 고가형은 폰은 아이폰이라는 말에 굳이 동의하는편도 아니에요 제가 써왔던 폰들만 해도 삼성 플래그쉽만 써왔으니 행동으로도 아니라고 말하는데..ㅎ

 

근데 궁금한게 6%차이난다는 자료를 볼수 있을까요? 궁금하네요 그리고 혹시 말씀하시는 판매량이 고가형인지 플래그쉽인지 정리 해줄수있나요? 서로 두개를 헷갈리게 말씀하셔서 뭐가 뭔지 정리가 안되네요

[바보비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Thomasp5675 님께
2021.06.07. 08:50

자꾸 카운터포인트 통계 언급하시면서 6%p 차이난다고 하시는 것 같은데... 그 근거는 이 문장 아닌가요?

 

In Q3 2020, Apple accounted for 45% of European smartphone sales in the premium segment (>$500 wholesale), followed by Samsung with 39%.

 

근데 2020년 3분기면 아이폰12 발표 직전이라 애플 수요가 최약체일 때고, 그 바로 뒤 문장에

 

But in November,  the first full month of iPhone 12 sales, Apple accounted for 74% (Samsung had 16%).

 

바로 이렇게 나와있는 건 왜 애써 무시하시는지요...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1N9 님께
2021.06.07. 09:02

4분기 전체 판매량이면 몰라도 아이폰 12 전 모델 출시 직후 딱 한달이니 당연히 애플이 다 가져가겠죠?

갤럭시도 유럽에선 노트가 그렇게 잘 팔리지 않아서(노트20 출시 직후에도 상위권에 못 드는 국가들이 꽤 있던걸로 압니다) 3분기 즈음이면 수요 많이 줄었을 시기인데요?

S20 안 팔린건 다들 아실테고, 판매량 좀 나온 FE는 10월에 나왔으니까요.

 

삼성도 저렇게 출시 이후 한달로만 한정하면, 전 세계 판매량에서 S20+ 5G가 1위하기도 했어요.

(카운터 포인트 $800이상 프리미엄 4월 판매량 자료 기준)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Thomasp5675 님께
2021.06.07. 09:02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N9 Thomasp5675 님께
2021.06.07. 09:28

아이폰 출시 직후 쓸어가는 건 말씀대로 당연합니다. 저도 삼성이 유럽시장에서 애플에게 플래그십 5:1 차이난다고 보지도 않구요. 근데 저걸로 아이폰이 갤럭시 플래그십 판매 5배다 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듯이, 반대로 저 자료의 한 문장만 가져와서 몇번이나 둘 간의 점유율이 6%p 차이밖에 안난다고 언급하시는 점에 대해 그렇게 얘기하긴 무리가 있지 않나 말씀드린 겁니다.

 

저 자료를 따져보면 삼성폰이 유럽 기준으로 플래그십에서 애플에 거의 뒤지지 않는 매력도를 지녀서 6% 내외의 차이를 유지하고 있는게 아니라, 아이폰 대기수요가 최대이며 하반기 플래그십인 노트가 출시된 3분기 기준으로도 둘의 프리미엄 점유율은 6%p 차이가 난다고 보는게 맞는듯한데요 (물론 갤럭시도 그때가 가장 유리한 시기는 아니지만 적어도 신규 S시리즈 출시까지 반년가량 남았고 노트가 시장에 투입되는 시기이죠)

[1N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Thomasp5675 1N9 님께
2021.06.07. 09:49

물론 그것도 맞지만, 그러면 노트20은 8월 21일에 출시되었기에 8월이나 9월 한달 점유율로 비교해야 맞죠.

게다가 아이폰 12 시리즈와 반대로 갤럭시 20 시리즈는 근래들어 가장 안 팔린 시리즈이고, 제일 저렴한 모델이 €899에서 시작하는지라 $599~699인 아이폰 Xr/11 대응 모델도 없던 시기이고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S20+ 5G의 4월 한달 판매량은 글로벌 $800 이상 초프리미엄 모델 1위를 기록했던거 보면

(물론 $500~600 이상으로 기준을 낮추면 당연히 아이폰 11이 1위겠지만) 출시 직후에 가장 많이 팔리는건 갤럭시도 마찬가지라는거죠.

 

그리고 제 말의 의도는 "갤럭시가 아이폰이랑 얼마 차이 안 난다" 라기 보단, "플래그쉽은 아이폰이다" 라기 어렵다는 의미였습니다.

가장 안 팔렸던 시리즈만 해도 저정도 팔렸으니까요.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homasp5675
best Thomasp5675
2021.06.06. 11:26

적당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갤럭시 S21이 뭐 별로다? 그럴수 있죠.

근데 더 나아가서 중국에 밀리니, 망했으면 좋겠니, 갤럭시는 싼마이라 팔리는거니 등등...

좀 의도가 보여요.

 

중국이랑은 비교도 안될 만큼 앞서있고, 망했으면 좋겠다는 진짜 뭔지 잘 모르겠고 ㅋㅋ

해외에서 갤럭시 플래그쉽 팔리는거 보면 절대 싸서 팔리는것도 아닌데

이런식으로 계속 말 나오는거 보면 진짜 어디 한쪽으로 치우쳤다는 느낌이 많이 들어요.

[Thomasp567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半沢直樹
半沢直樹
2021.06.06. 11:59

그저 해외에서 응원할뿐, 삼성...다음 레벨로 넘어가는 고통은 크겠지만 더욱 발전했으면 합니다. 

[半沢直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u피아
su피아
2021.06.06. 12:10

애플은 미국기업(인구3억5천만 전세계 최대 소비시장), 삼성은 한국기업(인구5천만) 애플과 삼성은 출발점 부터 달라요. 애플은 자국에서 무슨 사업을 시작해서 성공만 하면 전세계 표준이되죠 미국이니깐. 삼성이 이정도 하는것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삼성같은 글로벌기업이 나온것만해도 기적이 아닐까 생각해요. 

[su피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디아블로
best 디아블로
2021.06.06. 12:20

애플비교이전에 

자사플래그십에 한짓거리가

램너프,외장미지원 21은 소재까지 너프

거기다 ap개망해서 더 이미지안좋아지고

카메라개선도 미미하죠

20이 디자인,가격빼고 다때려넣은거면

21은 딱 반대가된격

[디아블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rHS
MrHS 디아블로 님께
2021.06.06. 12:48

AP는 둘다 망해서 뭐...

[MrH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슌너
슌너
2021.06.06. 14:06

쓰는 유저 입장에서 가격이 거의 동일한데 당연히 대조군을 애플로 두고 봐야죠

여기가 삼전 주주게시판도 아니고 스마트폰 유저가 모인 곳인데 왜 삼전의 상대적 기업가치를 따져서 만족해야 하는건지...

[슌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57 13
핫글 미니 올인원프로 간단 사용 [13] updatefile 하늘목장 10:28 1080 20
핫글 미니 S25U에 HP2 센서가 쓰이긴하지만.... [13] 흡혈귀왕 12:23 927 12
핫글 미니 Tokyo Max Plus Ultra [16] update SultanateofRum 18:01 413 8
207478 미니 과연 이번 S22 박스 디자인은? [2] 한겹 22.01.18 1082 12
207477 미니 [루머] 갤럭시 스마트폰 플래그쉽 및 중,저가 모델 마케팅 전략 [14] 프로입털러 22.01.18 1355 12
207476 미니 엑시 2200 전량폐기했다던 그 유튜버는 어떻게 된건가요 [16] 카밀리아 22.01.18 1269 12
207475 미니 배터리 교체되는폰 오랜만에 만지니까 새롭네요 ㅋ [11] file 감자해커 22.01.16 1403 12
207474 미니 엑시노스 2100 멀티 4000점 돌파 [12] file 샐리 22.01.15 2072 12
207473 미니 메타(페이스북)최근 자사 커스텀 개발 CPU생산을 위해 삼성과 접촉중 [1] 장준후 22.01.13 841 12
207472 미니 MKBHD, 픽셀6 프로 버그 많아서 S21U 사용중 [10] file 구보 22.01.12 950 12
207471 미니 복귀기념 200만원짜리 태블릿 질렸슈 [22] file 닉포토 22.01.11 1434 12
207470 미니 삼파 비판은 충분히 나올수있는 얘기인거 같아요 [26] AirDrop 22.01.10 1218 12
207469 미니 빙냥: 2200은 플래그십 AP 중 최악 [9] file AirDrop 22.01.10 1645 12
207468 미니 그래도 전 엑시노스를 기대합니다 [25] file 띠링 22.01.09 1040 12
207467 미니 원UI 4.0 제일 불편한게 이거네요 [2] file 두유 22.01.07 1009 12
207466 미니 폴드3로 돌아왔슈 [2] file Idle6 22.01.01 735 12
207465 미니 스냅8 Gen1도 싱글 거진 1280점 나오는군요 [4] file 흡혈귀왕 21.12.31 1008 12
207464 미니 빙단또 주의) s22 베젤은 [8] file Karion 21.12.29 1654 12
207463 미니 갤럭시S22에 비스포크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14] file Stellist 21.12.27 2647 12
207462 미니 유튜버가 만들어 파는 폴드3 케이스입니다. [15] file Stellist 21.12.22 1748 12
207461 미니 LG전자, 더 강력해진 울트라기어 게이밍 노트북 공개 [17] file TM.Roh 21.12.20 963 12
207460 미니 One UI 진짜 많이 발전했네요 [15] 시엠 21.12.19 1666 12
207459 미니 대설주의보 속 폰카 📷 [8] file 개구리 21.12.18 1265 12
207458 미니 이중잣대 [8] file 마키세크리스 21.12.18 908 12
207457 미니 3분기 삼성 폴더블 판매량 한국이 30% 점유 [8] file Thomasp5675 21.12.17 1305 12
207456 미니 안드 12 공인인증서 개노답이네요;; [15] 여가어딥미코 21.12.16 1582 12
207455 미니 A53 5G 엑시노스라서 장점 [9] 흡혈귀왕 21.12.15 1034 12
207454 미니 일반모델은 건들면 안되는 조합을 시도하네요 [7] file 시엠 21.12.14 1612 1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