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존버합니다

미니 수정)찌라시)삼성 엑시노스 mRDNA GPU관련

 대만발입니다. 

 삼성측과 AMD 측 협업으로 상당히 전력소모를 많이 잡았지만 여전히 모바일에서 사용하기엔 높은 전력소모.

하지만 향간의 소문대로 10w가 넘어가거나 하진 않는다고 합니다. 평균적으로 8w정도로 M1코어 수준이라는 소문입니다.

 

 AMD측이 면적부분에서 손해보더라도 CU갯수를 늘리고 클럭을 낮추는 형태로 제시하여 어느정도 해결이 된상태.

출시 전까지 누수전력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합니다.

삼성의 경우 CU갯수를 줄이고 클럭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려고 했다는 후문.

쓰로틀링이 걸리더라도 타켓 성능이 높아서 만회하는 형태.(실제 테스트에서 최악의 쓰로틀링이 걸린상태에서 차세대 말리보다 성능이 높았다고 함)

RDNA아케텍쳐 절대 성능치는 이미 나온상태라 성능상 문제는 없으며, 지금까지 개발방향이 최대한 전력 최적화를 하는 과정이었다고 합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6338024?od=T31&po=0&category=0&groupCd=

 

 

 

 

(실제 테스트에서 최악의 쓰로틀링이 걸린상태에서 차세대 말리보다 성능이 높았다고 함)

 

말리 너는 도대체..

 

 

 

존버합니다
15promax
에어팟프로2
워치7 45mm
탭s7+
댓글
31
1등 바보중
2021.07.21. 14:49

옆동네 출처는 적어주시는게;;

[바보중]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글쓴이
존버합니다 바보중 님께
2021.07.21. 14:49

복붙했는데 짤렸었네유 바로 수정했습니당 ㅠㅠ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3등 흡혈귀왕
2021.07.21. 14:57

CU 개수는 애초에 기획 단계부터 6CU였을겁니다.

 

한 3나노쯤가면 8CU정도로 늘릴지도 모르겠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LSI
S.LSI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4:56

역시 편의점은 CU

[S.LS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S.LSI 님께
2021.07.21. 14:56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S.LSI 님께
2021.07.21. 14:57

참 구리(CU)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글쓴이
존버합니다
2021.07.21. 14:57

근데 M1이랑 비교되는 정도면 모바일에 쓰기 괜찮을런지 모르겠네요 A시리즈랑 비교가 아니라 M이라니..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존버합니다 님께
2021.07.21. 14:57

일단 제가 인지하는 성능이 맞다면 M1 GPU에 탈탈 털리는 성능입니다.

M1은 급이 달라요....

 

A14 GPU에 두배이상 성능이라....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4:57
회원님 5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글쓴이
존버합니다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2

전력소모가 M1이랑 동급이라는 말이 써있어서... 화룡되는건 아니겠쥬...

+ 찾아보니 이미 2100 888 도 8W급이라는 말이 있나보군여

 

 

3. 공정의 전성비가 차이가 없는데 이전세대(865)에 비해 GPU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엑시2100과 스냅888 모두 피크 GPU 소모전력량을 크게 늘림. (4W 내외에서 8W 정도로 2배 늘림)

그 결과 엑시2100과 스냅888 모두 GPU 사용시 애플 A시리즈처럼 쓰로틀링이 극심해짐.

왜 이런걸 애플 따라하는지 모르겠다고 한탄중.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존버합니다 님께
2021.07.21. 15:03

피크 성능을 올려야해서 그렇겠죠.

이번 스냅888이랑 엑시2100부터 5G 모뎀까지 원칩화된 상태에서

 

성능을 올리려면 칩면적을 키워야하는데

그러면 생산단가가 올라가고 수율도 저하됩니다.(가뜩이나 지금 수율로도 말많으니)

 

결국 최대한 트랜지스터를 배제하고 클럭을 땡기는 방향으로 갔겟죠

5LPE의 부족한 성능에 결국 불타오르고 ㅠㅠ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2021.07.21. 14:59

삼성 특유의 클럭땜빵하기 또 하려는건가...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7.21. 15:00

RDNA2 IP 자체가 고클럭 특화 아키텍쳐라서

클럭이 낮지는 아닐겁니다 절대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4

여태까지 망한 원인중하나가 코어 적게 때려박고 고클럭으로 땜빵했기 때문이 아닌가요..엑시노스2100도 그렇고 왜 같은일을 되풀이 하는건지..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나랏미 님께
2021.07.21. 15:06

아뇨 Mali는 코어 겁내 때려박았는데

밀도당 성능이 부족했던탓이 크죠....

 

그리고 위에 적었다시피 화웨이 기린처럼 코어 더 때려박을수있습니다.

다만 생산단가가 올라가고 수율이 개판되는 문제가있습니다.

 

가뜩이나 엑시2100 캐시 그리된게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카더라까지 돌고있으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9

결국 원가절감인가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best gamma 나랏미 님께
2021.07.21. 15:32

필요 이상으로 면적 줄이는 것도 아니고 수율-성능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서 스윗스팟 잡는건 당연한 선택입니다.

반도체는 공산품이지 예술품이 아니니까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amma 님께
2021.07.21. 15:32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gamma 님께
2021.07.21. 16:04

아 잠깐 글을 다시읽어봤는데 암드가 제시한대로 cu를 늘리고 클럭을 낮췄다는건가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나랏미 님께
2021.07.21. 16:04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NXY901TW
GNXY901TW
2021.07.21. 15:00

다이면적 줄이려고 했나보네요... 그냥 암드 말좀 들어!!

[GNXY901T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흡혈귀왕 GNXY901TW 님께
2021.07.21. 15:02

근데 어쩔수없는게 다이가 커지면 결국 생산단가랑 수율로 이어지기때문에

줄이는 방향이 맞습니다.

 

가뜩이나 엑시노스 시리즈는 스냅드래곤이나 기린, 화웨이 대비 늘 면적이 컸거든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NXY901TW
GNXY901TW 흡혈귀왕 님께
2021.07.21. 15:04

그렇군요... 하긴 드랍된 몽구스 M6도 다이면적이 엄청났던 걸로 기억합니다

[GNXY901T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GNXY901TW 님께
2021.07.21. 17:10

5khOVtwp9idq0NXc.jpg

이게 암드 4700 르누아르 다이 샷인데

보시다시피 순수 cpu 다이 사이즈와 (붉은 테두리 + 흰색 그라데이션) 순수 gpu 다이 사이즈 (검정 테두리 + 흰색 그라데이션) 사이에 그리 큰 차이가 보이지 않습니다. 1 : 0.75정도 되려나요?

 

엑시노스 2200의 다이 샷이 안나와서 추측에 불과할 따름이지만, 이와 같은 추세가 변하지 않는 건 당연하리라고 봅니다. 암드측 권유대로 CU를 6개에서 8개로 증설하고 클럭을 낮춰 전성비를 잡아보자는 건... 일견 합당해 보이는 선택지임은 분명하나, 생산성에 있어선 결코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gpu 부분이 늘어나는 건 곧 칩 전체의 면적이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과 동일한 결론이기 때문이죠.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NXY901TW
GNXY901TW 1q2w3e4r! 님께
2021.07.21. 17:15

그렇군요...

[GNXY901T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NXY901TW 님께
2021.07.21. 17:15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2021.07.21. 15:02

전성비는 많이 때려 박고 클럭으로 낮추는게 확실히 좋죠.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2021.07.21. 15:09

암드도 그래픽카드 죽쓰던 시절에 자주 하던 짓거리였죠 ㅋㅋㅋ

스윗스팟 한참 넘긴 채로 클럭을 당겨서 출시하는... 당시엔 엔비디아보다 전성비가 1세대 이상 뒤쳐졌는데 지금은 rdna2 아키텍쳐 빨인지 tsmc 7nm 공정빨인지 어쨌든 엔비디아를 전성비로 압살하는(+클럭도 넣는 대로 들어가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형국이 되어버렸습니다.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1q2w3e4r! 님께
2021.07.21. 16:37

Fury X 28nm 시절엔 참... 암울했죠 ㅠ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1q2w3e4r!
1q2w3e4r! 회로 님께
2021.07.21. 17:23

퓨리X의 저전력 버전인 R9 나노는 당대 어떤 그래픽카드보다도 전성비가 좋았습니다. 퓨리X의 오버클럭 마진이 0에 가까웠던걸 생각해보면 퓨리 X는 클럭을 당길 수 있는 한 최대로 당겼다는 소리가 되는 셈이죠 ㅡㅡㅋ

[1q2w3e4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1q2w3e4r! 님께
2021.07.21. 17:53

나노는 정말 매력적인 제품이었죠

그 성능에 단돈 $499 ㅎ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딸기맛치킨
딸기맛치킨
2021.07.21. 15:25

그동안 똥말리 때문에 어쩔수 없이 많은 MP를 탑재할수 밖에 없었던 삼성 입장에선 CU를 하나라도 줄이고 고클럭으로 가고싶었겠지만

 

애초에 데탑용으로 설계된 아키텍쳐를 노트북도 아니고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하기엔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긴 하죠.

 

[딸기맛치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2021.07.21. 15:26

'대만발'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gamma 님께
2021.07.21. 15:26
회원님 4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회로
2021.07.21. 16:36

8895 G71 MP20같은 흉악한 GPU를 다시 볼지도...?

[회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으헝잇힝으헝
2021.07.21. 16:37

게임 안하니 피크성능 최대 가즈아

[으헝잇힝으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59 13
핫글 미니 삼성 폴더블 AS는 명불허전이네요 [11] 새벽하늘 24.06.07 1168 21
핫글 미니 24년 1분기, 유럽 갤럭시 S 시리즈 전년 대비 58% 상승 [1] file AquStar 24.06.07 461 10
핫글 미니 근데 폴드 슬림 존재 자체는 확인했는데 [52] 흡혈귀왕 24.06.07 769 9
191016 미니 이..이쁘네요!! [5] file rockoon 21.09.04 777 6
191015 미니 애플워치는 참 영리하게 나온 물건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3] file 1N9 21.09.04 755 6
191014 미니 아이폰 13 노치 2.0 ㅋㅋㅋㅋㅋ [7] file 릅갈통 21.09.03 1443 6
191013 미니 탭s6 후기 [6] [성공]함께크는성장 21.09.03 649 6
191012 미니 내가 누구? [1] file [성공]함께크는성장 21.09.03 316 6
191011 미니 쫄깃쫄깃했던 요녀석들이 참 그립군요 :) [3] file 낭만올빼미 21.09.02 563 6
191010 미니 갤럭시 웨어러블앱 바뀌고 나서 좋은점 [2] Chrop 21.09.02 542 6
191009 미니 현재 갤럭시에서 존재하지 않는 스마트폰 [11] 만두궁물 21.09.02 1038 6
191008 미니 애플도 기본앱에 광고를 넣나봅니다…? [12] file 핑퐝퐁 21.09.02 1112 6
191007 미니 플립 심하게 마렵네요 2탄 [4] file 가시멜로관 21.09.01 701 6
191006 미니 S7 FE lte 구매자 보상이 있네요. [17] file 닮은살걀 21.09.01 891 6
191005 미니 마루타 "ON" [7] file 아무노래 21.09.01 710 6
191004 미니 어제에 이어 애플스토어 가로수길 방문후기 [4] 1N9 21.08.30 456 6
191003 미니 미스틱브론즈 -> 팬티블랙 [6] file GalaxyZFold2 21.08.30 560 6
191002 미니 플립3 신규색상? [15] file SAMDDD 21.08.30 901 6
191001 미니 뜬금없는 3년된 기기 사진(iphone XS max) [12] file IT명자 21.08.30 582 6
191000 미니 폴드3 사진 [6] file 불펌냥이 21.08.30 953 6
190999 미니 저의 워치 배터리 Test file a1001 21.08.29 361 6
190998 미니 삼성페이에 광고빠진다면 이때감성으로 돌아가면 좋겠네요 [2] file 버르닝 21.08.29 1009 6
190997 미니 이게 7만 5천원이라니 ㅋㅋㅋ [4] file 크나앙 21.08.29 1447 6
190996 미니 플립3 GOS 해제 매우간단후기 [7] file 배붕이 21.08.29 3274 6
190995 미니 딱히 사과폰 쓰면서 한국에서 불편한점은 못느껴봤네요 [25] 가시멜로관 21.08.29 1045 6
190994 미니 갤럭시워치4 배터리 지속시간 (실생활 벤치마크) [4] file Stellist 21.08.29 1400 6
190993 미니 플립 사용자의 심정 [3] file Kanata 21.08.28 595 6
190992 미니 구글 근황 [4] RoseBlue 21.08.28 837 6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