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한겹

미니 복습해보는 S펜이 중앙부 인식되는 이유

  • 한겹
  • 조회 수 4118
  • 2021.08.11. 19:04

https://meeco.kr/mini/32973203

 

S펜은 EMR 방식이고, 와콤과 협업해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애플펜슬은 AES방식이고요.

 

EMR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전자기 공명식입니다.

997BC93D5BC9826121.png

 

위의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아래에는 전기장을 뿜어내는 디지타이저 패널이 있고, 펜에는 그 전자기에 반응하는 코일이 있습니다.

 

KR101995403B1.png

 

패널에서 나오는 전기장에 의해 코일이 전자기 파장을 내게 되고, 이를 다시 패널에서 인식해서 위치를 특정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펜 속에서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센서가 있고, 펜에서 나오는 자기장의 상대적인 위치 등을 통해서 기울기 및 정확한 펜의 위치를 특정하게 됩니다.

장점은 펜이 얇고 배터리가 필요없어지지만, 대신 패널의 값도 비싸고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게 됩니다.

 

반면에 AES 방식은 능동 정전기식이라고 하는데, 별도의 패널이 아닌 우리가 스마트폰에서도 많이 쓰는 정전기 패널을 응용해 만듭니다. 펜은 말하자면 손가락의 대신이라고 할 수 있는데, 펜에서 기울기, 압력 등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를 패널로 보내 표현하게 됩니다.

장점이라면 별도의 패널이 필요없어서 얇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지만, 별도의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해 배터리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외에도 두 방식에는 여러 장단점이 있는데 많이 나오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외곽오차" 문제입니다.

이는 AES보다 EMR 방식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위의 원리를 보시면 AER 방식은 직접 손가락으로 패널을 누르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외곽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없는 반면, EMR은 패널이 펜에서 나오는 자기장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고 인식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Screenshot_20201030-195017.png

 

위 그림의 위쪽을 보시면 알 수 있다시피 EMR 방식에서 펜의 위치 특정은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고 그 중 X축 Y축으로 가장 강한 지점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동서남북 네 지점에서 산을 보고 그 꼭대기 위치를 특정하는 것처럼요.

하지만 외곽으로 가게 되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자기장이 제한적이게 됩니다.

패널 중앙에 있을 때에는 네 방향에서 보고 위치를 특정했는데, 외곽으로 가면 세 방향, 두 방향에서 보고 위치를 특정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폴더블 패널의 중앙은 어떨까요?

일단 이번 삼성의 갤럭시 폴드3는 양면에 패널을 각각 탑재했다는 기사가 나온 바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걱정하시는 분들은 중앙부에서 외곽오차 문제가 발생하면 어떡하지, 혹은 아주 가운데 부분에서 인식이 되지 않으면 어떡하지와 같은 걱정을 하시게 됩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걱정은 EMR 방식의 특성을 이해하시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위의 그림의 아래쪽을 보시면 명확하게 알 수 있겠습니다.

우선 EMR 방식은 재차 설명드렸듯이 어느 한 지점을 바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장이 넓은 범위에 인식이 되어서 가장 센 지점을 찾는 식으로 위치를 특정하게 됩니다.

그런데 양패널을 유기적으로 동작하게 한다면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패널이 없는 정중앙이라고 아예 인식이 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외곽과 달리 두 방향, 세 방향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여섯방향에서 보는 것과 마찬가지이죠.

그렇기 때문에 중앙부에 펜이 인식되는 것입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남은 과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얼마나 보정을 잘 하느냐이죠.

그리고 관련해서는 삼성이 꽤 높은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EMR 방식은 자기장을 인식하는 특성상 자석과 상극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간혹 S펜을 사용하고 있을 때 자석을 가져다 대면 포인트가 확 튀는 증상이 나오곤 하죠.

그런데 갤럭시 탭S7 시리즈에서는 자석을 제품 안에 탑재했음에도 그러한 증상이 발현된 적이 없습니다. 규격대로 만들지 않은 서드파티에서는 그 부위만 필기가 되지 않는 증상이 나오고 있는데도 말이죠.

 

그 외에도 S펜 관련 삼성이 출원하고 승인된 특허를 보면 참 신기한 것들이 많습니다.

현재의 S펜에 적용이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EMR방식으로 기본적으로 인식하는데 AES처럼 정전기를 발생시켜 위치나 기울기 등을 보정하는 특허도 있더라고요?

그러면서 원래는 코일을 두 개 사용해서 상대적인 차이를 바탕으로 기울기를 검출했는데, 이 특허를 사용하면 코일을 하나만 사용해도 기울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습니다.

상당히 초창기 특허인데 개인적으로 S펜 분해 영상 보면서 이 특허가 적용되었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S펜과 그것이 폴더블 화면의 정중앙에 인식되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물론 제가 전공자는 아니고, 실제와 다를 수 있겠지만 제가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면서 낸 결과, 이러한 틀에서 벗어나진 않을 것입니다.

언팩도 앞으로 몇 시간 채 남지 않았는데 빨리 봤으면 좋겠네요

한겹
S22U.2022.2.22
S22U.2022.2.22
댓글
17
오레오가좋아
best 3등 오레오가좋아
2021.08.11. 19:23

걍 반쪽쩌리이길 바라는 사람들이 봣으면 하네요

[오레오가좋아]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霧津
霧津
2021.08.11. 19:45

전문적인 설명 감사합니다 ㄷㄷ

[霧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er
best Aimer
2021.08.11. 20:13

중앙부 인식이 안되면 사실상 결함품에 가까운 물건인데,

그런 물건을 내놓고 S-Pen을 세일즈 포인트로 내세우는 자살골을 삼성이 넣을리가 없죠(...)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일탈백서
일탈백서
2021.08.11. 19:55

술술 읽히네요. 이런 원리와 기술인줄 처음 알았습니다. 정말 재밌고 유익하고 소중한 글 같습니다!

[일탈백서]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족구왕
족구왕
2021.08.11. 20:02

뭔가 어려운걸 굉장히 쉽게 이해가게 설명 잘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족구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당필근
당필근
2021.08.11. 20:14

실제 구현 모습이 어떨지 너무 궁금하네요ㅎㅎ

과연 박수가 나올것인가...

[당필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덕원
2021.08.11. 20:51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여섯방향이라는건 다소 비약이 있는 것 같습니다. 통짜패널에서 가운데 한줄의 인식부가 없는 거랑 똑같지 않나요

피크값 없이도 상대적으로 큰 두 값을 이용해 계산한다는 말씀이신 듯한데 적어도 통짜패널보다 정보량이 많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한겹
글쓴이
한겹 덕원 님께
2021.08.11. 21:10

아주 단순화해서 설명해서 이런 오해가 생긴 것 같습니다.

단순하게 양쪽으로 나뉜 패널에서 한 패널의 한 지점을 내기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넷이라고 했을 때, 패널과 패널 사이에서는 한 패널이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셋이고, 그 사이의 한 지점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패널의 정보 셋을 취합한다는 의미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올린 그림 중 세번째는 삼성이 출원한 특허 이미지 중 하나인데, 여기서는 XY 2개 축에서 감지되고, 패널 사이에 있을 때에는 양패널 4개 축에서 감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겹]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덕원 한겹 님께
2021.08.11. 21:34

음.. 모서리 쪽 측정과 동일해서 (선생님 표현을 빌리자면 3방향) 외곽오차가 존재하나 이중으로 측정해서 완화시킨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Hahn
Hahn
2021.08.11. 21:03

자세한 설명 추천드리고 갑니다. 막연히 FPCB 한장으로 괜찮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미코에 올라온 특허와 여러 선생님들의 추론을 종합해보니 동박의 장기내구성을 고려해서 회로를 나눈게 fact인가 봅니다.

[Hah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보살
2021.08.12. 07:48

삼성의 기술력은 상상을 초월하는군요!

[보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걸리면하이킥
걸리면하이킥
2021.08.12. 14:14

이해는 되지만 접히는 부분의 패널 간극이 최대한 좁아야지만 오류없이 가능할텐데요..

방수까지 때려 넣으면서 S펜까지 동시 지원하다니.. 갓성..  

[걸리면하이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748 13
핫글 미니 오늘 애플 발표는 실망이 더 크네요. [14] Stellist 09:42 984 18
핫글 미니 iOS18 애플 최대의 난맥상 해결...jpg [6] file aleji 09:35 897 11
핫글 미니 결국 모든 건 마이크로소프트로 귀결되는군요 [17] updatefile MrGom™ 11:16 617 10
1677 미니 삼성페이 새버전은 6월9일 예정인가 봅니다 [11] file Chrop 22.05.11 2879 8
1676 미니 왜 구글이 삼성 LSI 엑시노스와 텐서칩에서 작별하냐면 [7] 다람쥐 22.05.12 2881 1
1675 미니 S10은 정말 초깔끔 디자인이었군요 [6] file 난민 20.02.13 2882 0
1674 미니 [65] 클랩어게인 21.03.30 2882 44
1673 미니 1000xm5 게임용으로 무난할까요 [5] 민초홀릭 22.06.04 2884 1
1672 미니 애플 아이폰, "한국은 일본 제국령 조선" [29] file 여가어딥미코 22.08.09 2884 27
1671 미니 삼성이 ARM에서 사람 빼왔네요 [5] file Aimyon 22.10.04 2884 11
1670 미니 나이별 제조사 사용 비율 이야기보고 표로 정리했습니다 [30] file 폴드투를쓰는겁니다 21.07.23 2885 31
1669 미니 폴드, 플립에 삼성이 진심이긴 하네요 [13] GalaxyBudsSeries 22.06.02 2885 10
1668 미니 iOS 업데이트 셀룰러로 하는 법 아시나요? [15] file 비온날흙비린내 20.04.24 2886 0
1667 미니 비교하기에도 무색한 750G VS 778G 성능비교 [9] TM.Roh 21.08.10 2886 3
1666 미니 소니 WF 1000XM4를 지금 사는건 어떨까요? [10] [커플]GeeKs 22.06.03 2887 0
1665 미니 DSEE HX 기능... cd넣고 듣던 시절에서 나온 소리 이네요 [6] AriMoon 19.07.17 2888 0
1664 미니 샤오미 워치가 24만원이면 누가 저걸 사요. [7] 아재건달_보노뭘보노 22.05.11 2889 7
1663 미니 회사에 적축 들고가면서 정말 고민 많이했습니다 [15] 지나가던호갱 22.05.26 2889 18
1662 미니 갤럭시에 아이폰같은 AOD가 들어간다면?? [11] file Kanata 22.10.03 2889 18
1661 미니 아이폰13 프로세싱이 확실히 빡시네요.. [24] file 사람in 21.09.26 2890 7
1660 미니 게임부스터 하는일이 뭔가요? [11] 폴리니 19.12.01 2891 0
1659 미니 내비앱 뭐 쓰시나요?? [25] 콜홍 20.12.03 2892 0
1658 미니 태블릿에 액정 필름 없이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12] 도깨비 22.02.15 2893 0
1657 미니 윈도우 11에서 HDR 쓰면 캡처할 때 색이 틀어지네요. [9] 그렇군요 22.05.13 2893 0
1656 미니 s23 카메라어시스턴트 옵션별 화질차가 좀 있네요. 스카이블루, 그린색상 비교 [15] file 감자해커 23.02.10 2893 19
1655 미니 네이버 지도에 다크모드 적용될 예정?? [3] file OHWO 23.05.21 2894 11
1654 미니 애플 펜슬 제한되는게 꽤 많네요.. [20] Memeko 21.07.01 2895 3
1653 미니 네에 4.1 GOS 클럭제한 풀었습니다 [14] file ESTETS 22.03.05 2896 1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