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프로입털러

미니 UDC 이해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https://meeco.kr/mini/33031982

 

글을 급하게 쓰다보니, 서순이 안 맞고, 좀 곡해된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제 의도는 카메라 품질이 떨어진다, 눈에 거슬리다는 의견을 무시해도 된다는 것이 아닙니다.

 

전반적인 기술의 흐름과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 미래에 대한 전망 등등 기술력 그 자체로만 봤을 때에는 논하는 것 자체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그냥 단순히 '된다'는 정도에 불과할 뿐이라는 설명입니다. 이 같은 시행착오는 기술의 진보에 기여한다는 의미이지 그 외에 다른 의미를 가지지는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2019년에 나온 폴드 1세대만 봐도, 초기에 디스플레이 주름이 심하다는 의견과 찍힘 자국 등등 이슈가 많아 한 번 출시가 미뤄지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힌지도 상당히 발전했고 디스플레이 역시 S펜이 탑재될 정도로 빠르게 발전했죠.

 

갤럭시에 온스크린 지문인식이 처음 탑재되었을 때도, 인식률에 대한 불만과 햇빛에 선명히 보인다는 의견 등등이 많았었죠. 그러나 지금은 많이 좋아졌고, 개선된 편에 속합니다.

 

기술이라는 것이 처음부터 완벽할 수도 없고, 완벽에 가까워지기란 상당히 어렵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UDC 라는 기술을 처음 시도했고, 도입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자는 것입니다.

 

당연히, 그에 따른 기술적인 허점 역시 중요하지만, 지금 당장 논하는 것에 의미를 두기 보다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의미를 두자는 것입니다.

 

애플도 폴더블폰을 개발하고, 시장 자체가 커진다면 UDC의 기술력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고, 경쟁력이 중요한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완전 100% 완벽에 도달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곡해된 것 같아 당황스럽지만, 특정한 입장에서도 아니고, 기술의 전반적인 흐름과 발전에 비추어 봤을 때의 관점이었다는 것을 설명드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 더 나았으면 좋았을텐데'라는 아쉬움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른 기업에 비해서 떨어지는 기술력에 대해 아쉬움이 분명하지만, 그럼에도 발전할 미래를 생각해보면 앞으로가 기대되는 기술입니다.

 

다른 의도는 아니었고, 단지 기술력 부분에서 이해하려고 했다는 점을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리하자면,

 

1. UDC는 '된다'는 것에 의미를 두자.

2. 그 외의 카메라 품질, 눈에 거슬린다는 의견이 무시되어도 된다는 것이 아니다.

3. 앞으로의 UDC 발전 가능성, 미래의 성장 가능성에 비추어 봤을 때 앞으로 개선될 수 있다.

프로입털러
Galaxy S22 Ultra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댓글
15
.8.
1등 .8.
2021.08.12. 16:15

저 글 봤는데 댓글로 왜 까이는지 모르겠네요

 

현재 제일 좋은 형태인 펀치홀보다도 더 발전된 기술에다

 

완전히 검은색으로 가려지던 기존보다도 더 덜거슬리게 나왔는데요

[.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2등 스퀴니
2021.08.12. 16:36

문제는

그런 같은 행동을 했을때.. 반응이 다르다는점이죠.

 

같은 제품을.. (이미 망한)LG라던가 아니면 구글이라던가.. 중국산이라던가..

거기서 내놓는다 하면 같은 반응이 나올까.. 라는 생각이 드네여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프로입털러
글쓴이
프로입털러 스퀴니 님께
2021.08.12. 16:43

폴더블폰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당장보다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성장 가능성이 있는 사업이라고 생각되네요.

[프로입털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프로입털러 님께
2021.08.12. 16:39

UDC가 주된 이야기인데 폴더블이라.....

뭐 폴더블 할때 레이저의 폴더블방식에 대해.. 또는 화웨이의 폴더블 방식에 대한 분위기는 영 달랐다고 기억합니다...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스퀴니 님께
2021.08.12. 16:39
회원님 9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프로입털러
글쓴이
프로입털러 스퀴니 님께
2021.08.12. 16:50

UDC 자체적인 기술도 기술이지만, 특히 디스플레이 특성상 폴더블에서 UDC 기술이 더 어려운 것 같아 그렇게 했습니다.

[프로입털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프로입털러 님께
2021.08.12. 16:51

제가 말씀드리는 부분은 폴더블의 UDC가 어려운건 맞고 그걸 해냈다는것이 대단한건 맞는데..

유독 애플과 삼성만 그런 입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거죠.

타사의 경우에는 뭐 [기믹] 이라는 이름으로 발전하면 유용할 기술들이 [혹평] 당하는 경우가 많으니..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8.
.8. 스퀴니 님께
2021.08.12. 16:51

반대로 애플이 했으면 펀치홀보다도 뛰어나다며 역시 다듬어진 다음 도입한다며 칭찬받았겠지만

 

삼성이 하니 잣대가 매우 엄격하다고 느꼈습니다..

 

분명 기존 펀치홀보다도 더 좋거든요. 완전 검은색보다 배경색이 더 거슬린다는 개인의 취향은 있겠지만요..

[.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8. 님께
2021.08.12. 16:53

뭐.. 애플에대한 반응은 개인적으론 더 역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8.
.8. 스퀴니 님께
2021.08.12. 19:23

저역시 삼성을 엘지에 비교했을땐 스퀴니님에 공감하는 쪽이라 ㄷ

 

[.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3등 덕원
2021.08.12. 21:10

기술 발전 좋은데, 완제품에서 완벽하지 않으면 결국 트레이드오프를 감내해야하는건 소비자입니다.. 기술 발전은 자체 실험실에서 해도 되지 않을까요 방대한 베타테스터가 필요한게 아니라면요. 저는 s10 s20 초음파 지문센서도 같은 맥락으로 별로 달갑지 않네요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프로입털러
글쓴이
프로입털러 덕원 님께
2021.08.12. 21:14

자체 실험실에서 하는 것도 한계가 있을테고, 조금이라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면 신기술을 한시라도 먼저 내놓고 최초 타이틀을 따가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최초라는 것이 다들 목 매는 이유가 이런 맥락에서가 아닐까 싶네요.

[프로입털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덕원 프로입털러 님께
2021.08.12. 21:20

자체 실험실이 한계라는 말씀은 소비자의 희생이 필요하다는 뜻인가요..

또 경쟁에서 우위라 함은 어떤걸 말씀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표면 스펙의 우위인가요? 제품이 좋아야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게 맞지 않나요.  평판이 만들 장기적인 경쟁력에 도움이 되는 부분일지 갸우뚱하게 되네요..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프로입털러
글쓴이
프로입털러 덕원 님께
2021.08.12. 21:22

완벽하게 기술이 개발되기까지에는 장기간이 요구되는데, 이를 모두 다 거치고 출시하기에는 너무 늦어지죠. 완벽하지는 않을지언정 어느 정도 기술이 된다면 곧바로 출시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다른 제조사에서 먼저 개발해서 출시하기 전에 빨리 내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시간 싸움이죠. 조금이라도 시장 점유율이나 매출에서 득을 보려면 100% 완벽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완벽하지 않더라도 출시해서 매출로 이어지는 편이 더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최소한의 틀만 갖추고 나면 나중에는 보완하고 개선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그 다음의 개발은 어렵지 않을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프로입털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덕원
덕원 프로입털러 님께
2021.08.12. 22:17

휴대전화같은 전천후성이 강한 기기에 미완성 신기술을 먼저 탑재하는게 불편함을 감내하게 만드는 것보다 중요한지 또 매출에 도움이 될지도 전 모르겠습니다.

마지막 말씀은 실험실에서도 가능한 부분이구요

또 폴더블폰은 다른 옵션이 있고 단점을 감내할 사람만 사면 되는데 여기에 미완성 udc까지 들어가면 두번 감내하라고 강요하는 행보가 아닌가요..

[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617 13
핫글 미니 해커도 이건 아니였나 봅니다. [8] file 룬룬 24.06.04 1290 16
핫글 미니 갤럭시 S24 울트라 170시간 후기 [19] file 샐리 24.06.04 957 13
핫글 미니 삼성이 오우라에 고소미 시전했군요 [5] file 212212 24.06.04 910 13
208801 미니 One UI 4 공식 소개 영상 (SDC21) [4] MrGom™ 21.10.27 1665 14
208800 미니 근데 텐서 GPU 성능이 좋은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5] GNXY901TW 21.10.26 1016 14
208799 미니 대만발 픽셀6 프로 야간 20배줌 샷.jpg [18] file 사람in 21.10.21 1622 14
208798 미니 기어이 노치를 넣었네요. [29] file Havokrush 21.10.19 1275 14
208797 미니 옹 3개월만에 쓰는 샀슈 [10] file 바보비버 21.10.18 970 14
208796 미니 옳게 된 노트북 [34] file Havokrush 21.10.17 1294 14
208795 미니 왔슈 [2] file kamei 21.10.14 488 14
208794 미니 이번엔 불고기 김밥입니다.(13미니) [3] file 도저히못참겠다 21.10.11 708 14
208793 미니 재밌네요^_^ [42] file 개구리 21.10.09 3095 14
208792 미니 저도 왔슈 [8] file Kradio77 21.10.08 409 14
208791 미니 집안에 사과농장 차렸습니다 [6] file JamesBlake 21.10.08 613 14
208790 미니 EU,애플페이 관련으로 애플을 기소 예정 [16] Elsanna 21.10.07 876 14
208789 미니 ??? : 이봐 서피스... [3] file 띵똥 21.10.05 867 14
208788 미니 혁신은 없다. 지극히 평범해보이는 아이폰 13 이야기 [4] 라테린 21.10.03 1233 14
208787 미니 컬러스케일 영상이 말하는건 [2] 명신보감 21.09.30 857 14
208786 미니 iOS 보안특) [5] Elsanna 21.09.30 1171 14
208785 미니 새로운 경량화 끝판왕 폰이 나왔습니다. [21] file Stellist 21.09.29 1850 14
208784 미니 아이폰13 프로 맥스 해골물이었다니 👿 [11] 오토카모 21.09.28 1391 14
208783 미니 지난 한달간 갤럭시Z폴드3로 찍은 사진들 [27] file Stellist 21.09.25 1183 14
208782 미니 전 그래도 S22U 갑니다 ㅡㅡㅋ [16] 흡혈귀왕 21.09.23 970 14
208781 미니 애플 내부정보 유출 [7] file 개🐶 21.09.23 1545 14
208780 미니 저도 작은 플래그쉽 찾았었는데... 항상 반동이 오더라고요. [8] Stellist 21.09.20 977 14
208779 미니 버즈2입니다 그런데 삼성 제품이 아닌 [5] Haze 21.09.15 842 14
208778 미니 삼성이 갤럭시에 AOSP를 탑재 안하는 이유 [12] file Stellist 21.09.15 1339 14
208777 미니 엑시노스2200 초기 점수가 저 정도면 괜찮은 편이지요. [3] gamma 21.09.13 1316 14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