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대형기기 *TV·모니터와 같은 영상가전, 생활·주방가전, 차량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곳입니다.

감자너겟

TV 기업의 마케팅인가? 사용자를 기만한 편의성인가?

삼성 QLED QT80 제품 이상 색감이나 밝기, 로컬디밍 다 우월한지만

LG 라인 TV를 싸게 살 수 있어서 QNED는 비싸고 OLED는 일단 제외하고 나노셀 모델 중에서 샀습니다.

75NANO93을 구매했습니다.

 

NANO93은 작년 모델보다 원가절감 모델이고 스펙은 DTS 쓰는 입장에서는 다운그레이드된 모양새입니다.

저는 상관없었지만.....다만 휘도가 낮아진 것에 대한 아쉬움은 있었습니다.

모니터와 틀리게 TV는 작업용이 아니기 떄문에 고스펙이 필요하다는 needs는 있었습니다.

 

특히나 요즘 강조하는 돌비비전, HDR10....메인은 돌비비전이지만 여튼 HDR을 생각하면 

uLED나 Direct Local Dimming 혹은 OLED라고 생각했었고

더욱 더 높은 명암 대비를 위해서는 구조상 빛샘을 접어둬도 되는 VA가 답이라고 생각했고

결국 HDR 효과를 위해서는 더 Peak가 높아야 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여담으로 모니터도 32UN650 쓰지만 그떄 당시는 밝기에 대한 불편함 점은 못 느꼈습니다.

모니터로 작업하면서 암전에서 모니터만 켜두는 경우가 없어서 눈이 부시다라는 개념이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거실에서 쓰는 NANO93도 사용하던 모니터와 최대 휘도가 크게 차이 나지 않음에도

TV는 감상용으로 의외로 암전 상황에서 쓰는 경우가 많아서 

Peak가 삼성 제품에 비교해서 휠씬 낮음에도 눈뽕이 너무 심하네요.

사용하다 보니 그냥 임의로 결국 절전모드나 강제로 조절해 백라이트를 강제로 낮춥니다.

 

오히려 백라이트가 약한 것이 OLED는 번인 때문에 밝기 제한이 작동하지만

IPS이던 VA이던 LED TV 경우에는 직하 방식이라도 로컬디밍을 위해서는 블루밍 현상 때문에

딱 이정도 휘도가 적당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거 생각하면 과연 삼성의 최대 휘도가 PD급으로 내주는 것이 마케팅용인가 궁금해진 합니다.

물론 내 눈이 나이가 들어서 그럴 수도 있죠 ㅠㅠ

하지만 또 넷플이나 애플티비에서 지원하는 돌비비전으로 영상을 보면

제가 설정을 하였던 값보다 휠씬 따뜻한 색상을 씁니다.

제 기준에서 생각하는 생각에서는 특히 흰색은 다소 누렇게 보이는 수준...

 

근래 와서 이런 것을 보다보면 저의 색기준이 잘못 되었나 싶기도 합니다.

다른 분들의 생각이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근래 갤럭시 화면도 선명한 화면이 아닌 자연스러운 색감으로 쓰고 있었는데...

 

 

 

 

 

 

댓글
4
Elsanna
1등 Elsanna
2022.02.28. 16:26

OLED라면 모를까 어떤상황에서도 300nit는 돌비비전이던 HDR10이건 그냥 끄는게 더 낫습니다

[Elsann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너겟
글쓴이
감자너겟 Elsanna 님께
2022.02.28. 16:30

담에 OLED를 영입해서 써봐야겠네요.

다만 써보지 않아서 문의하지만 OLED도 ABL에 걸려서 휘도값이 낮아지지 않는지요?

 

현재 삼성은 돌비비전 미지원이라 패스하고

LG는 돌비비전 지원은 별도 끄는 법이 없는거로 알고 있습니다만 

끄는 법이 알고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감자너겟]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Elsanna
Elsanna 감자너겟 님께
2022.02.28. 16:34

이건 그냥 실드TV나 애플TV를 사서 출력을 SDR로 바꾸는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OLED도 ABL이 화이트 50%이상에서 터져서 밝은곳에서 모니터로 쓰기 실격인거지 1~10%는 나노셀보다 충분히 밝습니다. 암튼 불끄고 3~400니트가 밝다고 느끼시는거면 사실상 HDR컨텐츠가 안맞다고 봐야할거 같네요.

[Elsann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너겟
글쓴이
감자너겟 Elsanna 님께
2022.02.28. 16:51

저한테는 암전에서 그정도 밝기는 안 맞나보네요. ㅜㅜ

밝은 환경에서는 400nit도 안 밝은데 암전에서도 화면이 어느정도 사이즈 있어서

그런지 전체적으로 밝은 부분이 영역이 넓어서 그런지

Peak가 그정도까지 치지 않겠지만 눈뽕이 너무 심하네요. ㅠㅠ

돌비비전을 볼떄는 그나마 괜찮은데 일반 티비방송을 볼떄는 밝은 계열은 눈뽕이...

 

돌비비전은 결국 자동으로 켜지는 거라 막을 수는 없지만 돌비비전이 ON되었을 떄

제작사가 의도한 색감대로 맞춰지는 것이라 제가 색감을 과도하게 진하게 보는 것 같네요.

[감자너겟]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72 차량 테슬라 모델3/Y 북미 리콜, 광고 안한 탓? [2] PaulBasset 22.02.15 0 227
1571 차량 포르쉐 AG, 마칸 T (Macan T) 최초 공개 뉴스봇 22.02.17 0 232
1570 생활 비스포크 큐브 질문입니다 [5] sourire 22.02.21 0 205
1569 차량 E트론 GT 시승 후기 file 타이타이달 22.02.23 3 334
1568 차량 Carwow) 폭스바겐 id buzz [4] PaulBasset 22.02.24 0 230
1567 차량 오토센스) 폭스바겐 ID Buzz 시승 PaulBasset 22.02.27 1 223
1566 차량 볼트 EV 시승기 [2] PaulBasset 22.02.28 1 303
1565 차량 S클래스 찐 출고기 [7] file 타이타이달 22.02.28 15 588
TV 기업의 마케팅인가? 사용자를 기만한 편의성인가? [4] 감자너겟 22.02.28 1 435
1563 차량 캐딜락, CT5-V 블랙윙 국내 출시 뉴스봇 22.03.02 0 209
1562 차량 아이오닉 5 N [5] file 노태문 22.03.02 4 505
1561 생활 원룸 청소기 로봇 vs 무선 [7] [성공]함께크는성장 22.03.03 0 235
1560 차량 기아 "2030년 전기차 120만대 판매 목표...PBV 개척에도 박차" 뉴스봇 22.03.03 0 86
1559 생활 원룸 무선청소기 뭐가 좋을까요 [2] [성공]함께크는성장 22.03.03 0 139
1558 생활 스마트싱스에 붙는 멀티탭 있을까요? [2] [성공]함께크는성장 22.03.04 0 204
1557 차량 PHEV,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 못한다? PaulBasset 22.03.04 1 138
1556 생활 국내에도 스싱 후드 출시되려나 보네요 [3] file MrGom™ 22.03.04 3 379
1555 차량 GOS로 혼란한 미게에 소니 소식 [1] file 마키세크리스 22.03.05 3 494
1554 차량 기아 인베스터 데이에서 가장 눈에 띈 차량 [1] file 겅래민 22.03.05 1 343
1553 생활 스마트 전구 관련 질문 있슴다 [1] [성공]함께크는성장 22.03.06 0 147
1552 TV 스마트 모니터 M8 이거 마이크로 HDMI군여... [4] file MrGom™ 22.03.07 0 442
1551 차량 요즘보면 현대가 삼성보다 더 혁신적으로 느껴져요 [13] 로봇치킨 22.03.09 7 828
1550 TV QD-OLED 모니터 가격 흉악하네요 ㄷㄷ [2] file Aimer 22.03.09 1 415
1549 생활 LG전자, 10만원대 '전기주전자' 내달 출시 [18] file MrGom™ 22.03.10 3 1181
1548 차량 이야 벤츠 역시 전기차 시대에서도 혁신을 해내네요 [9] 갤럭시派 22.03.10 9 673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