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삼성은 대체 뭘 만든걸까요?...

  • ATNT
  • 조회 수 3661
  • 2022.03.31. 00:40

719d6c9e49f9b4f0dc07f366b77e8f3e.jpg

 

 

대체 뭘 어떻게 만지면

 

같은 5LPE, 같은 Cortex-A78, 같은 2.4GHz대 클럭 가진 CPU를

 

퀄컴보다 전력효율 절반컷으로 만들수 있는지

 

진짜 저런거 보면 A53 사느니 A52s가 훨씬 괜찮겠네요.

댓글
14
1등 Kerubim
2022.03.31. 00:59

1080은 찾아봐도 전력 분석한게 없네요. 비교하기 좋을거 같은데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ATNT Kerubim 님께
2022.03.31. 01:14

1080도 저것보다 나은거지 사실 SPEC 기준 전성비 뜯어보면 경쟁사 대비 영 좋지는 않았던걸로 기억합니다.

 

같은 5LPE라도 퀄컴쪽이 더 클럭 낮으면서도 성능은 오히려 더 좋게, 전력은 오히려 더 적게 먹는 사례가 최근 5nm 공정 들어서 빈번하게 있었던걸로 기억해요.

 

그래서 퀄컴쪽 5nm CPU들 보면 의외로 TSMC N7P 정도는 나오는데, 삼성쪽 5nm CPU 보면 그보다도 더 못나오는 경우가 꽤 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AT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ATNT 님께
2022.03.31. 02:00

1080 spec 분석한게 있었나요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ATNT Kerubim 님께
2022.03.31. 04:00

1780231ac5738c163.png

 

SPECint2017.png

 

 

1. 공통적으로, 같은 5nm LPE 공정을 쓰더라도 삼성쪽의 전력효율이 퀄컴보다 더 낮게, 그리고 클럭대비 성능도 더 낮게 나오는 경향성이 보여집니다.

 

2. A77과 A78을 동일 클럭(2.6GHz)에서 비교시, 오히려 A78쪽이 공정 우위(N6 vs N7)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A77과 A78은 동일한 전성비를 가져가더라고요. 그 외에도 전반적으로 오히려 동일 조건에서 A78이 전력효율 면에 퇴화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3. 물론 현재 퀄컴, 삼성이 부진한 이유가 전부 ARM 탓은 아닙니다. 근본적으로 윗 표에 나온것처럼, 동일한 A78@2.6Ghz 상에서 N6과 5LPE를 비교했을때 전력효율은 100% vs 82%로 벌어집니다. 그리고 SD780G의 A78@2.2Ghz도 SD695와 비교시 N6 vs 5LPE의 전력효율은 후자가 전자의 75% 수준입니다. 명백히 5LPE의 전력효율은 N6의 70%~80%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점이라고 해봤다 트랜지스터 밀도가 N6 대비 소폭 앞서는 것 말고는 없죠.

 

4. 그러나 SF의 5LPE를 과도하게 평가 절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ndrei.F의 글을 보면, 삼성의 A78@2.8Ghz와 퀄컴의 A77@2.8Ghz를 비교해서, 전자쪽이 35% 전력을 더 소모한다고, 5LPE가 N7P보다도 더 열등한 공정이라고 비교한 적도 있었는데, 이는 위에 설명한것처럼 공정한 비교가 아니라고 봅니다.

 

근본적으로 삼성 S.LSI측이 퀄컴측보다 오히려 ARM 레퍼런스를 더 못다루고 있음은 분명한 사실이고, 또한 위의 A78 vs A77 비교에서 보여졌듯이, 오히려 A78의 전력효율 자체가 더 퇴화했습니다. 디메리트를 2개 먹여놓고, 삼파 5LPE가 N7P보다 못하다는건 좀 어폐가 있죠.

 

5. 윗 표에 나오듯이, SD888의 A78@2.42g와 SD865의 A77@2.42g는 서로 동일한 전성비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저 표가 아닌 아난드텍의 표를 참고해도 둘 간의 전성비 차이는 6848J vs 6024J, 대충 13% 이내로 좁혀집니다. A78이 A77에 비해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참고하면 5LPE는 대충 N7P와 동일합니다. 이는 A55@1.8Ghz를 865(N7P) vs 888(5LPE) 상에서 비교시 전성비가 서로 동률인것으로 나온 것과 일치하는 결과입니다.

 

6. 그 외의 사례도 있습니다.

https://twitter.com/Golden_Reviewer/status/1503241256985530368/photo/3

의외로 퀄컴이 설계해서 삼성 파운드리에 양산된 물건들을 보면 디멘시티9000 양산품과 비교해서 80~90% 수준의 전력효율은 뽑아줍니다.

 

 

7. 따라서 결론적으로 현재 삼성, 퀄컴의 부진은 ARM과 삼파 양측의 공동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세대가 올라갈수록 ARM의 CPU는 점점 더 비효율적인 잔디깎이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삼성파운드리를 사용하는 S.LSI와 퀄컴은 이중으로 피해를 볼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퀄컴은 그나마 최대한 삼성, 미디어텍과 비교해서 더 효율적으로 ARM 레퍼런스 아키텍쳐를 활용하면서 이러한 피해를 최대한 지연시키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7나노 공정은 경쟁사의 N7 수준, 5나노 공정은 기껏해봐야 경쟁사의 N7P 수준이며, 4나노 공정 또한 경쟁사의 N6 수준을 못 넘어섰으며, 심지어는 본문 2200 vs 8G1에서 보이듯이, 야심차게 준비한 4LPE는 4LPX와 다를바 없으면서, 수율은 극악으로 찍는 골칫덩어리가 되어버렸습니다. 

 

미디어텍은 TSMC 공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TSMC 공정은 7 - 6 - 5 - 4나노 공정을 거치면서 공정 자체가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적극적인 성능 향상을 꾀할수 있는 상황입니다.

[AT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ATNT 님께
2022.03.31. 15:19

예전만큼의 설계능력을 못 보여주는거 같긴 한데 1080보다 1280이 클럭도 더 낮으면서 성능 전력 다 처지는건 좀 이상하긴 하네요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ATNT Kerubim 님께
2022.03.31. 03:54

사실 가장 어질어질한건 A510입니다.

 

나머지야 뭐 그래도 8G1+나와서 공정리스크 해결되면 어느정도 문제가 완화될수 있겠지만...

 

1.PNG

 

더 상위 공정인 4LPX를 쓰고도 리틀코어 하나가 0.61W를 먹는건 뭐하는 시츄에이션인지 궁금하더라고요.

[AT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ATNT 님께
2022.03.31. 15:25

a510은 뭐.. arm 발표부터가 그모양이었으니

ea16728a5dcaadee90a524d7f1814c42.png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GG8
best 2등 LGG8
2022.03.31. 01:02

💩

[LGG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다
3등 노다
2022.03.31. 01:22

그래도 중급기는 무난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건 뭐...

[노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뱡카
2022.03.31. 05:12

플래그칩 칩에 집중하던가 아님 아예 플래그십 칩을 없애든가 좀...

응 A칩 탑재된 거 사면 그만이야~

[뱡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캬)
(캬)
2022.03.31. 12:02

그냥 778G 넣어주지...

[(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럭시派
갤럭시派
2022.03.31. 12:21

모래로 난로를 만드는...?

 

[갤럭시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갤럭시派 님께
2022.03.31. 12:21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물
다물
2022.04.01. 09:50

2200은 실력은 없지만 영혼을 갈아서 최적화를 했고, 1280은 대충 만들었나보네요.

[다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633 13
핫글 미니 삼성이 오랫동안 간과하고 있는 것 [16] Beoplay31 24.06.28 1553 33
핫글 미니 갤워치 울트라는 굳이 애플의 오션 스트랩을 따라할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입니다.. [22] file Stellist 24.06.28 1313 29
핫글 미니 갤워치 울트라랑 버즈 3 킹받는 점...jpg [10] Daylight 24.06.28 1359 23
161025 미니 S23 울트라 케이스 잠깐 벗기고 닦다가 살짝 부딪혔다고 도색 벗겨졌네요 [6] Mate 24.05.11 791 2
161024 미니 플립 루머가 잘 안나오네요. [4] AurA 24.05.11 880 2
161023 미니 샀슈 [1] file 연년생 24.05.10 368 2
161022 미니 스냅8gen3탑재한다해도 램8기가면 플립6,? [2] S27울트라존버 24.05.10 639 2
161021 미니 잡담: Apple M3 시리즈 다이사이즈 [1] file Section31 24.05.10 867 2
161020 미니 왠지 S25 노멀도 8기가 탑재 할듯한 느낌이 드네요 [18] 닉넴이 24.05.10 1129 2
161019 미니 갤럭시 엑스커버5 One UI 6.0 재 배포 file 운김 24.05.10 519 2
161018 미니 24 시리즈에게 남은 문제는 [17] 적당히하자 24.05.10 1226 2
161017 미니 애플 14 맥북프로, 13 패드프로 가격 비교 [2] file S.R 24.05.10 627 2
161016 미니 마참내! file CountDooku 24.05.10 463 2
161015 미니 삼성, 인도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빼앗겼지만 프리미엄에서 1위 유지 file AquStar 24.05.09 562 2
161014 미니 삼성인터넷 윈도우 버전은 어떻게 됐나요? [1] OneUI2 24.05.09 373 2
161013 미니 9400이 9300+에서 빅코어만 X5로 바뀌는 구성이라던데 [15] 흡혈귀왕 24.05.09 701 2
161012 미니 루머] A18 Pro 긱벤치 점수? [5] file 좌지우건 24.05.09 900 2
161011 미니 워치 10.5 또 업데이트 있네요 [2] file 에피 24.05.09 580 2
161010 미니 일 언론 “네이버-소뱅, 라인야후 매각가격 협상…금액 차 커” [1] MrGom™ 24.05.09 518 2
161009 미니 아이패드 뽐이 다시 오긴 하는 것 같습니다 [1] sourire 24.05.09 364 2
161008 미니 아이폰 17 프로 12GB 썰은 맥북,아이패드에도 호재네요. [10] 요트맨 24.05.09 853 2
161007 미니 스냅X 앨리스는 작년에 나왔음 꽤 센세이션했을텐데... [1] 흡혈귀왕 24.05.09 379 2
161006 미니 폴드 잠금화면 꾸미기 참 별로네요 [4] SoundbyAKG 24.05.09 472 2
161005 미니 엥 아이패드 프로 가격 동결 아니었네요.....? [1] Stellist 24.05.08 1065 2
161004 미니 삼성인터넷 업데이트 (25.0.1.3) [1] 녹차맛킷캣 24.05.08 580 2
161003 미니 아이패드 프로 두께를 그대로 유지했었더라면 [4] file 성능확실 24.05.08 527 2
161002 미니 아직은 갈길이 남아보이는 기본캠~ (ft.강남, 꿀조합 hp2+지캠) [2] file pietoro 24.05.08 252 2
161001 미니 카드가 있어서 깔아놓은 NH Pay앱이 file 노이저 24.05.08 412 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