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미니 삼성은 대체 뭘 만든걸까요?...

  • ATNT
  • 조회 수 3659
  • 2022.03.31. 00:40

719d6c9e49f9b4f0dc07f366b77e8f3e.jpg

 

 

대체 뭘 어떻게 만지면

 

같은 5LPE, 같은 Cortex-A78, 같은 2.4GHz대 클럭 가진 CPU를

 

퀄컴보다 전력효율 절반컷으로 만들수 있는지

 

진짜 저런거 보면 A53 사느니 A52s가 훨씬 괜찮겠네요.

댓글
14
1등 Kerubim
2022.03.31. 00:59

1080은 찾아봐도 전력 분석한게 없네요. 비교하기 좋을거 같은데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ATNT Kerubim 님께
2022.03.31. 01:14

1080도 저것보다 나은거지 사실 SPEC 기준 전성비 뜯어보면 경쟁사 대비 영 좋지는 않았던걸로 기억합니다.

 

같은 5LPE라도 퀄컴쪽이 더 클럭 낮으면서도 성능은 오히려 더 좋게, 전력은 오히려 더 적게 먹는 사례가 최근 5nm 공정 들어서 빈번하게 있었던걸로 기억해요.

 

그래서 퀄컴쪽 5nm CPU들 보면 의외로 TSMC N7P 정도는 나오는데, 삼성쪽 5nm CPU 보면 그보다도 더 못나오는 경우가 꽤 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AT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ATNT 님께
2022.03.31. 02:00

1080 spec 분석한게 있었나요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ATNT Kerubim 님께
2022.03.31. 04:00

1780231ac5738c163.png

 

SPECint2017.png

 

 

1. 공통적으로, 같은 5nm LPE 공정을 쓰더라도 삼성쪽의 전력효율이 퀄컴보다 더 낮게, 그리고 클럭대비 성능도 더 낮게 나오는 경향성이 보여집니다.

 

2. A77과 A78을 동일 클럭(2.6GHz)에서 비교시, 오히려 A78쪽이 공정 우위(N6 vs N7)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A77과 A78은 동일한 전성비를 가져가더라고요. 그 외에도 전반적으로 오히려 동일 조건에서 A78이 전력효율 면에 퇴화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3. 물론 현재 퀄컴, 삼성이 부진한 이유가 전부 ARM 탓은 아닙니다. 근본적으로 윗 표에 나온것처럼, 동일한 A78@2.6Ghz 상에서 N6과 5LPE를 비교했을때 전력효율은 100% vs 82%로 벌어집니다. 그리고 SD780G의 A78@2.2Ghz도 SD695와 비교시 N6 vs 5LPE의 전력효율은 후자가 전자의 75% 수준입니다. 명백히 5LPE의 전력효율은 N6의 70%~80%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점이라고 해봤다 트랜지스터 밀도가 N6 대비 소폭 앞서는 것 말고는 없죠.

 

4. 그러나 SF의 5LPE를 과도하게 평가 절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ndrei.F의 글을 보면, 삼성의 A78@2.8Ghz와 퀄컴의 A77@2.8Ghz를 비교해서, 전자쪽이 35% 전력을 더 소모한다고, 5LPE가 N7P보다도 더 열등한 공정이라고 비교한 적도 있었는데, 이는 위에 설명한것처럼 공정한 비교가 아니라고 봅니다.

 

근본적으로 삼성 S.LSI측이 퀄컴측보다 오히려 ARM 레퍼런스를 더 못다루고 있음은 분명한 사실이고, 또한 위의 A78 vs A77 비교에서 보여졌듯이, 오히려 A78의 전력효율 자체가 더 퇴화했습니다. 디메리트를 2개 먹여놓고, 삼파 5LPE가 N7P보다 못하다는건 좀 어폐가 있죠.

 

5. 윗 표에 나오듯이, SD888의 A78@2.42g와 SD865의 A77@2.42g는 서로 동일한 전성비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저 표가 아닌 아난드텍의 표를 참고해도 둘 간의 전성비 차이는 6848J vs 6024J, 대충 13% 이내로 좁혀집니다. A78이 A77에 비해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참고하면 5LPE는 대충 N7P와 동일합니다. 이는 A55@1.8Ghz를 865(N7P) vs 888(5LPE) 상에서 비교시 전성비가 서로 동률인것으로 나온 것과 일치하는 결과입니다.

 

6. 그 외의 사례도 있습니다.

https://twitter.com/Golden_Reviewer/status/1503241256985530368/photo/3

의외로 퀄컴이 설계해서 삼성 파운드리에 양산된 물건들을 보면 디멘시티9000 양산품과 비교해서 80~90% 수준의 전력효율은 뽑아줍니다.

 

 

7. 따라서 결론적으로 현재 삼성, 퀄컴의 부진은 ARM과 삼파 양측의 공동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세대가 올라갈수록 ARM의 CPU는 점점 더 비효율적인 잔디깎이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삼성파운드리를 사용하는 S.LSI와 퀄컴은 이중으로 피해를 볼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퀄컴은 그나마 최대한 삼성, 미디어텍과 비교해서 더 효율적으로 ARM 레퍼런스 아키텍쳐를 활용하면서 이러한 피해를 최대한 지연시키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7나노 공정은 경쟁사의 N7 수준, 5나노 공정은 기껏해봐야 경쟁사의 N7P 수준이며, 4나노 공정 또한 경쟁사의 N6 수준을 못 넘어섰으며, 심지어는 본문 2200 vs 8G1에서 보이듯이, 야심차게 준비한 4LPE는 4LPX와 다를바 없으면서, 수율은 극악으로 찍는 골칫덩어리가 되어버렸습니다. 

 

미디어텍은 TSMC 공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TSMC 공정은 7 - 6 - 5 - 4나노 공정을 거치면서 공정 자체가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적극적인 성능 향상을 꾀할수 있는 상황입니다.

[AT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ATNT 님께
2022.03.31. 15:19

예전만큼의 설계능력을 못 보여주는거 같긴 한데 1080보다 1280이 클럭도 더 낮으면서 성능 전력 다 처지는건 좀 이상하긴 하네요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ATNT Kerubim 님께
2022.03.31. 03:54

사실 가장 어질어질한건 A510입니다.

 

나머지야 뭐 그래도 8G1+나와서 공정리스크 해결되면 어느정도 문제가 완화될수 있겠지만...

 

1.PNG

 

더 상위 공정인 4LPX를 쓰고도 리틀코어 하나가 0.61W를 먹는건 뭐하는 시츄에이션인지 궁금하더라고요.

[ATN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erubim ATNT 님께
2022.03.31. 15:25

a510은 뭐.. arm 발표부터가 그모양이었으니

ea16728a5dcaadee90a524d7f1814c42.png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GG8
best 2등 LGG8
2022.03.31. 01:02

💩

[LGG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다
3등 노다
2022.03.31. 01:22

그래도 중급기는 무난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건 뭐...

[노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뱡카
2022.03.31. 05:12

플래그칩 칩에 집중하던가 아님 아예 플래그십 칩을 없애든가 좀...

응 A칩 탑재된 거 사면 그만이야~

[뱡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캬)
(캬)
2022.03.31. 12:02

그냥 778G 넣어주지...

[(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갤럭시派
갤럭시派
2022.03.31. 12:21

모래로 난로를 만드는...?

 

[갤럭시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갤럭시派 님께
2022.03.31. 12:21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물
다물
2022.04.01. 09:50

2200은 실력은 없지만 영혼을 갈아서 최적화를 했고, 1280은 대충 만들었나보네요.

[다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79 13
핫글 미니 갤워치가 무장점 소리 들을 정도는 아니죠 [35] [성공]함께크는성장 24.06.02 1295 24
핫글 미니 갤럭시 워치 센서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7] file AquStar 24.06.02 875 20
핫글 미니 LG의 아픈 손가락... [8] file 고슴도치 24.06.02 1106 9
213530 미니 노인을 장기 교체하여 괴롭히는 게시글.jpg [16] file 스퀴니 21.03.18 1303 29
213529 미니 "내가 누구?" [39] file 보거 21.01.22 1395 29
213528 미니 갤럭시S21U 카메라디자인이 아이폰12 프로맥스보다 마음에 드는 점 [8] file Stellist 21.01.16 1310 29
213527 미니 못 참고 오프에서 샀슈 [13] file 도깨비 21.01.15 1152 29
213526 미니 21이 20보단 예쁨 [28] 오토카모 20.11.29 2091 29
213525 미니 놑10플아 안녕.. [23] file 수크 20.10.27 1186 29
213524 미니 삼공카) 고객애 미친 삼성서비스 [45] file 갤럭시S2 20.09.29 2095 29
213523 미니 한강물로 유리공예 사진찍기(feat. 울트라) [27] file 괴짜 20.06.28 1045 29
213522 미니 아이패드 프로 13인치 픽업완료 [8] file 포도맛사과쥬스 24.05.15 1182 28
213521 미니 폰 뭔가가 들어오긴하려나봅니다. [25] file 봄차 24.05.14 2214 28
213520 미니 ㅌㅋㅁ) 아이폰 전화 누락 현상이 진짜군요 [18] 갤럭시S23 24.04.24 2703 28
213519 미니 망 공동 구축해 통신사 돈 아꼈는데 왜 5G 요금은 안내려갈까? [16] file 룬룬 24.04.21 1473 28
213518 미니 다시 아이폰 미니로.. [13] file Stellist 24.03.20 1259 28
213517 미니 당근 사기당했네요 [54] 갤럭시S23 24.03.12 1981 28
213516 미니 13프로는 정말 명작 맞습니다 [17] 크나앙 24.03.01 1914 28
213515 미니 이 친구가 왜 제 손에 들려있을까요? [17] file 릅갈통 24.02.13 1910 28
213514 미니 S24로 망친 일본 여행 후기 [55] file 제로비 24.02.09 3629 28
213513 미니 샀슈) 이게 영정사진이 될줄은.... [17] file 투야 24.02.06 2246 28
213512 미니 비전 프로 배터리 포트는 새로운 독자규격 [38] file HSC 24.02.01 1770 28
213511 미니 제 평생의 동반자가 도착했습니다. [28] file 보거 24.01.24 1644 28
213510 미니 S24 보면 삼성/안드의 아이폰을 만든 느낌입니다 [13] flair 24.01.21 2538 28
213509 미니 삼성 개인적으로 이것도 변했으면 합니다 [8] file Niflheimr 24.01.20 1729 28
213508 미니 중국은 진짜 12램인가 보네요 하 [17] file 범죄자호날두 24.01.18 2338 28
213507 미니 S24 이쁘군요 [20] file 우주안녕 24.01.14 3184 28
213506 미니 갤북4 군인은 삼케플 더 주기도 하네요 [5] file 에피 24.01.02 1289 28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