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저 법안이 비단 애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산업전체에 적용되는 규제이기떄문에 애플뿐만 아니라 구글 기타 등등에 전부 적용됩니다.

 

예를들면 삼성도 MST기술 서드파티한테 무상으로 열어줘야할껄요?

(다행히도 EU쪽에서 MST기술을 사용하지는 않겠지만요)

 

 

이게 애플을 단순히규제하는게 아니라 산업전반에 광범위한 적용을 담고 있고

약간 남용 수준까지 너무 초월적인 규제이기도 해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18
Stellist
1등 Stellist
2022.07.06. 17:27

무상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미 MST 서드파티에 개방되어 있지 않나요? KB페이 같은거 MST로 작동하는거 같던데...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Stellist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7:29

아... 무료가 아니었군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Stellist 님께
2022.07.06. 17:31

저의 짧은 지식으로도 MST API가 따로? 있는거로 알고 있진 않습니다.

 

MST가 완전 개방되었다면 조금더 산업전반에 활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보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요그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7:32

유럽 법안을 보면 서드파티 개방를 허용만 하면 되는걸로 보이는데요. 그리고 애플같은 경우에는 아예 nfc결제를 서드파티에 일절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오직 애플페이만 쓰라고 강요하고 있죠. 삼성이 수수료 받고 허용하는거랑은 차원이 다릅니다.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요그 님께
2022.07.06. 17:57

네 두가지 방식을 보면 삼성이 조금더 개방적인건 사실이나 두개 모두 EU법안 취지에 맞는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사과는 확실히 그쪽 개방을 반쪽만해놔서 개발사들이 개발을 못합니다.
삼성은 결제에 대해서 계약을 통해 삼성페이 기능으로써 정해진 기능만 사용하도록 개방합니다.

둘다 EU법안에 기대치에 못미쳐요.

 

사과는 NFC전반을 안드로이드 수준까지 개방해야하고
삼성은 삼성페이 브랜드 계약을 안맺더라도 결제 포함 API를 전부다 공개해야할걸요?

 

저 법안이 가지는 문구가 사용자 H/W기능에 무제한 엑세스를 의미하는데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요그 님께
2022.07.06. 17:54

그리고 돈 받는것도 명확하지 않지만 아래글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 비지니스 이용자에게 더 부당한 조건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서 사과주식회사가 애플페이 운영하는 자회사한테 결제 NFC 기술 비용 무상으로 처리하면 다른 비즈니스 이용자에게도 무상으로 처리해야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2등 요그
2022.07.06. 17:28

무상으로 열어줘야하는지는 법안을 자세히 살펴보아야합니다. 그리고 삼성은 이미 mst를 페이코랑 kb앱에 풀어주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요그 님께
2022.07.06. 17:30

수수료를 받는지 여부는 저도 법안 자체를 살펴보지 않아서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법안취지를 보면 무조건적인 개방으로 보여지네요.

그리고 MST를 선별된 파트너한테 수수료 여부에 관계없이 열어주는게 아니라 API수준으로 평등하게 개방하는것이라 지금수준과 차원이 다를것으로 보여집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GG8
3등 LGG8
2022.07.06. 17:31

이참에 국내도 nfc가 대세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LGG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멀라이즈
노멀라이즈
2022.07.06. 17:37

전혀 다른 내용으로 보입니다.

특히 MST는 예로서 매우 부적절하게 보이네요.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노멀라이즈 님께
2022.07.06. 17:46

어떤 부분이 전혀 다르게 보이시는지 말씀해주시겠어요?

MST가 EU지역에서 안사용해서라고 한다면 저는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네요.

근거리 통신 기술에 해당하고 EU지역에서 H/W상 장착되서 판다면 아래 EU 디지털 마켓법에 따르면 공개해야하는건 맞는것처럼 보여지는데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멀라이즈
노멀라이즈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7:52

MST는 마켓도 아니고

기술적인 우위?라고 할만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독점이라고 볼만한 부분도 없죠.

국내 점유율이 높으니 독점처럼 보이기야 하겠지만 어차피 카드를 좀 더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정도 입니다.

MST 없다고 물건 구매 못하는것이 아니죠. NFC도 있고 실제 카드를 써도 된다는거죠. 다만 좀 더 불편한 정도일 뿐

 

말씀하신 대로 MST가 문제라면 결국 페이 서비스 전부가 문제가 될것이고 애플과 구글은 페이 서비스도 문제가 되니 더 아프겠군요.

[노멀라이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노멀라이즈 님께
2022.07.06. 17:53

아뇨 저 법안의 진짜 문제는 일정규모이상의 빅테크 기업에 적용되는거고 점유율, 독점 그런거 없이 그냥 닥치고 개방이니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길 초월적인 법이라는점입니다.

법조항에 저런거없이 그냥 일정규모이상 기업이만 싹다 공개하라니까니까 굉장~한 법안이죠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8:08

음... 게이트키퍼는 찾아봤는데 일종의 블랙리스트 처럼 관리될걸로 보입니다. DMA 자체엔 규모에 관한 구체적인 얘기는 없어요.

 

현재까지 첫번째 DMA 쳐맞을 회사가 어디인가 찾아봤는데 메타, MS, 구글, 애플, 아마존 정도가 거론되고 있고 여기서 MS는 뺄까 말까 이런 얘기만 나오고 있습니다. 이 리스트가 업데이트 가능성은 있지만 당장의 문제는 아니란거죠.

 

삼성은 휴대폰을 제외하면 글로벌 마켓이라고 할 만한 거대 플랫폼을 가진 회사는 아니라서 너무 유권해석을 확대해서 하신것 같고, 이 법의 사례들이 나와야 판단이 될 것 같습니다. 특허 기술까지 법으로 강제 오픈하면 위헌 소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불심 님께
2022.07.06. 18:11

아 삼성이 안들어간다면 나름신기하면서도 다행이네요. 저도 근데 이런 코멘트를 다는게 다를거라 생각해서 조금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만, 말씀하신대로 특허기술이 법으로 강제 오픈하는거 자체가 너무 초월적인 부분이 좀 있어서 저게 과연 시행될 수 있을까 싶긴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Futuristics 님께
2022.07.06. 18:13

그래서 제가 위헌 얘기를 한 것입니다. 유럽이든 대한민국이든 기본적으로 '헌법' 레벨에서 지적 재산권 보호 얘기가 나옵니다. 그래서 이 범위를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API들이 public으로 전환될 순 있겠지요. 하지만 MST는 좀 얘기가 다를것 같습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아이
우주아이
2022.07.06. 17:53

애플의 폐쇄정책과 비교하는 건 개인적으로 좀 억지로 보이지만

말씀대로 삼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거니깐요

하지만 전 솔직히 삼성보다는 애플쪽만 보고 싶네요

앱선대원군 방식이 솔직히 개열받거든요

[우주아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81 13
핫글 미니 진짜 광기 (기가지니 LTE) [8] file 하늘목장 00:25 1016 13
핫글 미니 현장나왔다가 봤는데, 갤워치 신형 테스트하나보데요? [7] elcid 11:34 637 10
핫글 미니 미니기덕질이 너무 재미가 없네요 [6] 고슴도치 11:30 376 9
135081 미니 LG톤프리.. 콩나물은 고급형만 나오나봅니다(추정).jpg [9] file 스퀴니 22.07.25 882 1
135080 미니 삼파 + X1 두개...입니다.jpg [19] file 스퀴니 22.07.25 1186 1
135079 미니 중국에서 Phone X 14 Pro Max라는녀석이 나왔답니다 [8] file 이응이응 22.07.25 1094 1
135078 미니 어무니 버즈프로 외이도염.. [2] 무르 22.07.25 555 1
135077 미니 노트20인데요 [5] 감비아도나츠 22.07.25 625 1
135076 미니 중고로 산 미니기기 두 개를 새 걸로 교체받고 왔습니다 file 지나가던호갱 22.07.25 393 1
135075 미니 블라인드 게시물 file 익명 22.07.25 727 1
135074 미니 쿠팡 에어5 가챠 질렀습니다. [8] Eomjunsik 22.07.25 944 1
135073 미니 버즈 프로2에 LC3코덱 들어간다는 얘기가 아직 없네요... [1] 이치고 22.07.25 488 1
135072 미니 패러럴즈 진짜 악독한 BM이네요... [7] 흡혈귀왕 22.07.25 1004 1
135071 미니 one ui5.0에서 최적화된다는 루머가 있는데 [4] 출사표 22.07.25 1263 1
135070 미니 닌텐도스위치 프로가 나온다면 [15] 출사표 22.07.25 967 1
135069 미니 진지하게 톤프리 생각해볼까요 [4] [성공]함께크는성장 22.07.25 596 1
135068 미니 톤프리가 이 갈고 나오는군요 [성공]함께크는성장 22.07.25 492 1
135067 미니 마이크론.하이닉스도 LPDDR5 안만드는게 아닌데 [2] dlwlrma 22.07.24 780 1
135066 미니 갑자기 궁금해진건데 [4] 걔는춘자 22.07.24 407 1
135065 미니 샤오미도 진짜 중구난방이었네요 [9] sourire 22.07.24 986 1
135064 미니 버즈 2 프로 기대중인 기능 [6] cP하나 22.07.24 552 1
135063 미니 일단 램부터 올려주세요 [6] 윤이 22.07.24 502 1
135062 미니 일단 녹스부터 떼어내면 어떨까요 [14] [성공]함께크는성장 22.07.24 1072 1
135061 미니 X4 GT 완충속도가 표기랑 좀 많이 다른데 이유가 뭘까요 [10] S7엣지 22.07.24 406 1
135060 미니 요즘은 지도앱에서도 고주사율 되네요 [6] file 감비아도나츠 22.07.24 1056 1
135059 미니 번호이동 질문 [1] 룬룬 22.07.24 188 1
135058 미니 아이패드 미니6 케이스 뭐가 좋을까요? [3] file 예의바른불효자 22.07.23 754 1
135057 미니 TWS 쓰시는 분들 윈도우 유튜브 싱크 맞나요? [14] MrGom™ 22.07.23 472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