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흡혈귀왕

미니 48MP 논비닝은 장단이 명확합니다.

48MP 논비닝일 경우

 

[장점]

- 순수 RGB Bayer 빨로 스냅샷 품질 좋음

- 순수 RGB Bayer 빨로 8K 비디오 품질 좋음

 

 

[단점]

- 기본 모드가 48MP라서 그만큼 셔터렉이 발생하고 촬영 딜레이 발생

- 48MP 1.25um일 경우 저조도에서 수광량이 기존 12MP 1.9um 시절 대비 떨어짐

- 야간 모드일 경우 48MP라서 그만큼 후처리할 것들이 늘어나서 딜레이 발생

- 기본 모드가 48MP라서 4K 비디오 촬영 시, 불가피하게 다운샘플링을 해야함

 

 

이렇게 적어보니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네요 ㅡ,ㅡa;;

 

 

MX 사업부가 GW2 센서를 포기한것도 이유가 명확합니다.

그걸 메인으로 쓰기엔 셔터렉과 딜레이 60fps 비디오 미지원 등등 아쉬운점이 많으니깐요

흡혈귀왕
퀄콤빠, AMD빠, 테그라빠
댓글
23
구보
1등 구보
2022.08.21. 23:58

단점들을 다 A16으로 커버할지 궁금하네요..ㄷㄷ

[구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best 흡혈귀왕 구보 님께
2022.08.22. 00:00

A15 자체도 SD8 Gen1 대비 AI 성능이 크게 밀리는지라

A16이라고 딱히 별다른 수가 될지는 모르겠네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흡혈귀왕 님께
2022.08.22. 00:22

선생님 그런데 스냅 젠원보다 A15의 성능이 크게 밀리는거 맞나요..?

 

제가 알기론 스마트폰에선 영상 후처리가 가장 빡센 연산으로 알고 있는데

아시다시피 아이폰은 4K 돌비비전, 프로레스, 시네마틱모드의 랙포커스 기법 등 다양한 옵션과

준수한 품질을 주고있습니다 심지어 센서사이즈가 경쟁사대비 훨씬 후달릴때도 처리 잘해서 앞섰잖아요

딥퓨전도 지금의 후처리 기조와 만나서 구려져서 그렇지

최초 도입됐을때도 꽤 빡센 연산의 결과물로 기억합니다 셔터랙없이 말끔했구요

ProRAW또한 Jpg랑 다를바없는 처리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가로사옥 님께
2022.08.22. 00:28

제가 이야기하는건 AI 성능이요

AI 벤치보면 확실히 SD8 Gen1이 A15보다 높아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흡혈귀왕 님께
2022.08.22. 00:30

벤치마크는 정량화된 점수니까 납득되는데

실제로 연산처리해서 보여주는 결과물은 아무래도 A15쪽이 앞서기에

의문이 생겨서 댓글을 남겼습니다 :)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씨샾
씨샾 가로사옥 님께
2022.08.22. 00:29

조금 다르긴한데.. s22u gcam으로 computational raw로 찍어보면 jpeg이랑 처리속도가 똑같이 나옵니다.

삼성 소프트웨어가 이상하개 느린거 같습니다.

expert raw보고 있으면 속터집니다...

[씨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씨샾 님께
2022.08.22. 00:32

ExpertRAW 갤럭시에 도입된다고 했을때 엄청 반가운 소식이라고 생각했는데

사용성이 처참해서 속이 상했던 기억이 납니다.. 디지털프라자가서 직접 써보고 깜짝 놀랐었네요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씨샾
씨샾 가로사옥 님께
2022.08.22. 00:34

도대체 뭘 하고 있는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씨샾]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가로사옥
가로사옥 경전철(이엿던것) 님께
2022.08.22. 00:35

네 점수는 그런것 같은데 결과물은 좀 반대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것 같아서요..

[가로사옥]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가로사옥 님께
2022.08.22. 00:36

튜닝의 숙련도 차이죠

애플이 그부분에 있어서 압도적으로 뛰어난것이구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2등 우주안녕
2022.08.21. 23:59

맞습니다.

단점을 잘 커버하면 칭찬받는거고 (아이폰이라서 기대하는게 있긴 합니다) 

단점이 그대로 들어나면 역시나 욕먹는거쥬 🤭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우주안녕 님께
2022.08.22. 00:01

참고로 갤럭시가 그렇게도 욕먹는 셔터렉이

더 심하게 생길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흡혈귀왕 님께
2022.08.22. 00:05

그러게요. ㅎㅎ 사용성을 강조하며 꿋꿋이 12MP로 밀던 애플이 고화소를 한다니...과연 믿는구석이 있나? 하면서 기다려봅니다  ㅋㅋㅋ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우주안녕 님께
2022.08.22. 00:06

참고로 그 픽셀조차도 픽셀6에 고화소 모드를 막았습니다 ㅡㅡa;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oijm0715
3등 choijm0715
2022.08.21. 23:59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가 취하고 있는 24mp 논비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뭐 모바일 이미지센서 자체가 없긴 하지만;;

[choijm0715]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choijm0715 님께
2022.08.22. 00:00

4K에 특화로 간다면 아주 좋은 화소일거같긴하네요

12MP 대비는 고화소이고 24MP면 4K 비디오 촬영 시 풀픽셀리드아웃 해도 딱히 문제안될듯하구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개구리
개구리
2022.08.22. 00:04

사용성, 화질, 요구되는 처리성능, 단가, 사진파일용량, 물리적 크기 등

장단을 따져보고 고려해야할 사항이 너무 많고

우선순위를 어떤 부분으로 두느냐에 따라서도 방향성이 다르지않나 싶읍니다.

추후 고화소 및 비닝 시장이 성숙해지면 여태껏 다른 기술들이 그래왔듯 최선을 찾겠죠ㅎㅎ

[개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개구리 님께
2022.08.22. 00:05

그런 의미에서 저는 오히려

S20/S21+/S21/S21+ 같은 구성이 선택권이 굉장히 명확한 구성이라고 봅니다.

 

필요하면 순수 RGB Bayer 12MP 1.8um나 순수 RGB Bayer 64MP 0.8um으로

왔다갔다 할수있으니깐요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tdpc
2022.08.22. 08:49

48이라는 완벽한 숫자를 보고 당연히 애플도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비닝 고화소로 넘어가는구나 싶었는데, 설마 진짜 논비닝일까 싶습니다.

프로세싱도 프로세싱이고, 누적 용량도 엄청날 텐데요, 무엇보다 초광각&망원과 일반 광각간 사진품질이 일관성 없게 차이나는 상황을 애플이 좋아할까 싶구요.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tdpc 님께
2022.08.22. 00:05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흡혈귀왕
글쓴이
흡혈귀왕 tdpc 님께
2022.08.22. 00:07

픽셀6 조차 50MP 촬영을 막아버렸는데

순수 48MP 논비닝으로 간다는것은 화질을 위해 사용성을 포기하는짓이라서

루머가 조금 의심스럽긴합니다.

[흡혈귀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Sparrow
2022.08.22. 00:22

제아무리 A16이라고 해도 48MP에 스마트HDR과 딥퓨전을 셔터렉 없이 처리할 수 있는지 조금 회의적이긴 합니다. 

주야간 사진 및 동영상 화질과 범용성에 있어서 픽셀비닝 지원되는 48MP센서가 더 우세하지 않나 싶습니다.

2층 트랜지스터 기술이 적용된다면 말이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요.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628 13
핫글 미니 삼성이 오랫동안 간과하고 있는 것 [14] update Beoplay31 11:22 1269 31
핫글 미니 갤워치 울트라는 굳이 애플의 오션 스트랩을 따라할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입니다.. [22] file Stellist 10:04 1169 27
핫글 미니 갤워치 울트라랑 버즈 3 킹받는 점...jpg [10] Daylight 12:27 1151 22
171121 미니 메쉬 스트랩 알아보고 있는데 [12] Havokrush 20.03.04 286 0
171120 미니 갤럭시노트20의 프로젝트명 [36] file ProjectZer0 20.03.04 776 0
171119 미니 저도 MF 무제한 테스트..(S20 노멀).jpg [5] file 스퀴니 20.03.04 368 0
171118 미니 RTX3080 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긱벤치 유출 [4] file 요크 20.03.04 422 0
171117 미니 이거 MF 불량 맞나요? ㄷㄷㄷ [16] file 보거 20.03.04 403 0
171116 미니 울레기 MF 초점 테스트(수정) [4] file MistEye 20.03.04 277 0
171115 미니 오늘에야 삼성 최근 플래그십 전부 써봤습니다 [5] 선라이즈 20.03.04 347 0
171114 미니 생폰 쓰시는 선생님 계십니까 [45] 코르크샌들 20.03.04 1569 0
171113 미니 미코엔 MF문제가 엄청 많네요 [3] 딸기맛치킨 20.03.04 292 0
171112 미니 Csc 변경하는게 힘들줄 몰랐습니다... [9] 작은히포하마 20.03.04 402 0
171111 미니 그런데... 실제로 무한대 초점은 초점이 안맞는게 정상이지 않나요? [8] Stellist 20.03.05 829 0
171110 미니 빅스비가 알려준 신제품 정보 [4] file aleji 20.03.05 566 0
171109 미니 완전 저조도로 가니깐 제 S20 Ultra도 MF이슈가있긴하네요... [7] file 흡혈귀왕 20.03.05 307 0
171108 미니 MF 불량....gif [15] file 보거 20.03.05 494 0
171107 미니 톰브라운 버즈에 삼성 로고가 어디있을까..했는데 [3] file S.C 20.03.05 755 0
171106 미니 밑에 글 보고 AOD 오랜만에 켰는데.... [7] file 오토카모 20.03.05 392 0
171105 미니 S10 MF 테스트....... [3] file 흡혈귀왕 20.03.05 335 0
171104 미니 일단 MF 이슈가 S20/S20+에서 있는지 없는지 봐야할듯하네요. 흡혈귀왕 20.03.05 138 0
171103 미니 근데 섭센을 처음 가봐서 그런데 ㅋㅋㅋ ㅠㅠ [10] 보거 20.03.05 332 0
171102 미니 AOD하니 그 기능이 없어진게 아쉽네요. [7] file 코르크샌들 20.03.05 640 0
171101 미니 S20랑 S10 MF 이렇게 하는게 맞나용 [5] file 감자해커 20.03.05 473 0
171100 미니 S20울트라도 아까말한 HDR 합성문제 있습니다. [17] file 감자해커 20.03.05 622 0
171099 미니 아이폰 HDR 특히 동영상이 훌륭하긴 하지만 완벽하진 않습니다 [4] 폴리니 20.03.05 495 0
171098 미니 드디어 csc 변경했습니다!! [15] file 작은히포하마 20.03.05 627 0
171097 미니 아이패드 pdf 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눈먼시계공 20.03.05 326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