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iOS 클린에너지 차징이라는걸 찾아봤습니다.

일단 이 기능의 동작배경은 상세히 설명되어있지 않고 누가 소스코드 뒤져서 발견했나봅니다.

 

 

1. 아이폰이 현재 위치한 위치정보를 수집합니다.

 

2. Clean energy charging 전용 프로세서 (데몬)이 EIA(미국에너지기관)으로부터 탄소배출량을 수집합니다.

그외에도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다고 하는데 그거는 상세히 공개되어있지 않습니다.

 

https://www.eia.gov/environment/emissions/state/

 

 

3.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iOS는 현재 지역에서 소모되는 전기가 클린한지 판단해서 동작합니다.

아예 충전을 안하는지,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아직 공개되어있는바가 없습니다.

 

 

결론 : 허울좋은 마케팅

 

 

이 기능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개념까지 올라올라면, 전력 인프라가 먼저 지능망으로 구현되어야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합니다.

 

친환경캠페인에 있어서 반드시 아이폰같은 클린에너지 차징이 아니더라도,

실제 친환경이랍시고 종이빨대를 운영하거나 뭐 다양한 환경캠페인이 있습니다만

실제로 심도있게 들여다보면 이러한 캠페인들은 대부분 친환경과 거리가 멀었습니다.

 

따라서 그냥 허울좋은 마케팅 그 이상으로 보기 어려운듯 합니다.

 

 

 

댓글
41
존버합니다
1등 존버합니다
2022.09.15. 14:44

그럼 저 설정 켜져있으면 재생에너지가 아니면 충전을 안하는건가요..?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존버합니다 님께
2022.09.15. 14:46

그러지는 않은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막말로 저기 서버에서 클린에너지라고 하더라도 제가 쓰는전기가 클린에너지인지 입증할 방법이 없는데요.. 어디서 제 전기가 오는지도 모르는데..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충전하는데 클린에너지 지표가 바닥이에요.

근데 전 한국에서 충전한 보조배터릴 갖고와서 아이폰을 충전하는데 위치정보 기반으로 여긴 클린에너지 지역이 아니여서 충전이 안된다고 하면 넌센스같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명신보감
best 2등 명신보감
2022.09.15. 14:48

허울좋다기보단 결국 이런 움직임이 있긴 해야하지 않나 싶어요. 이걸로 애플이 수익을 버는것도 아니고 친환경에 대한 관심을 조금이라도 이끌 수 있다면 나쁠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명신보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명신보감 님께
2022.09.15. 14:51

그런관점에서 보면 괜찮다고 보여질수도 있으나, 저런 비효율적인 연산이나 아이폰 자체의 소비전력이나 충전루티능ㄹ 조금더 효율적으로 쓰는게 더 효율적이라고 보여져서요. 

뭐 관점에 따라다르겠지만 제 눈엔 눈가리고 아웅으로 보입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질레트퓨전프로맥스
best 3등 질레트퓨전프로맥스
2022.09.15. 14:50

허울좋은 마케팅에 쓰레기라고까지 말할 일인지는 모르겠네요

[질레트퓨전프로맥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질레트퓨전프로맥스 님께
2022.09.15. 14:55

사실 이건 반드시 apple만의 문제라고 하긴 그렇고 친환경 캠페인 전반에 대한 의문입니다.
 

지금 종이빨대를 쓰는것도 친환경이라고 포장하지만 실제로 들여다보면 아닌경우가 더 많죠 

결론적으로 이것도 그것과 별 다를바는 없어보입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질레트퓨전프로맥스
질레트퓨전프로맥스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4:57

애플이 고속충전을 제한하면서 친환경 충전만을 강제한 것도 아니고, 쓰기 싫으면 안 쓰면 되는 기능인데요..

 

스타벅스 종이빨대랑 비교하기엔 좀 무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질레트퓨전프로맥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질레트퓨전프로맥스 님께
2022.09.15. 14:59

아 저 기능이 고속충전을 제한하거나 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쓰기 싫으면 안쓰면 되는 기능이구요.
 

종이빨대를 비교한건 저런 친환경정책이 사람들이 1차원적인 사고로 생각하기에 친환경이라고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별 도움이 되지 않기때문에 예시를 든것입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질레트퓨전프로맥스
질레트퓨전프로맥스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5:45

예 무슨 기능인지는 저도 잘 알고 있구요 말씀하신 내용이나 맥락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지금은 수정하셨지만 본문에 사용하신 어휘가 상당히 매콤하길래 몇마디 적어본 겁니다 ㅎㅎ;

[질레트퓨전프로맥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질레트퓨전프로맥스 님께
2022.09.15. 15:02

음 그래서 본문을 적절히 수정했습니다만, 그래도 매콤하시다면.. .;;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anata
Kanata
2022.09.15. 14:53

삼성 글로벌 골? 그거랑 큰 맥락에서 비슷하겠군요

 

게다가 저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하면 키노트나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전 세계 OOO대의 아이폰이 클린 에너지로 구동되고 있습니다!! 라는 마케팅도 펼칠 수 있으니...

[Kanat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Kanata 님께
2022.09.15. 14:57

딱 통계를 위한 수치이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그런 대규모 발전단계에서의 친환경은 국가단위에서 결정되는 부분이 많으니까요

애플이 저런식으로 과연한다고 해서 선택지가 존재하거나 하는 부분이 없어보입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leji
aleji
2022.09.15. 14:55

클린전기 아니면 충전거부 ㄷㄷㄷ

[alej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aleji 님께
2022.09.15. 14:56

충전거부가 일어날까요..? 제가 미국은 아니라서 테스트는 불가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utzed
Butzed
2022.09.15. 14:56

저 데이터 처리하는데 드는 전력량, 인력 또한 고려해야할텐데.. 사실상 악성 루프죠 인간이 빠지지 않는 이상.

[Butzed]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Butzed 님께
2022.09.15. 14:58

네 저도 저걸 데몬이 상주하면서 저걸 결정하고 프로세싱하는데 ..

아이폰이 그정도 전기를 소모하나 싶기도 하고.. 애초에 그냥 충전효율을 더 올릴생각이나

더 효율적인 충전루틴을 만드는게 더 맞는것 같긴 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intake Butzed 님께
2022.09.15. 15:30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의 효율화를 위해 어차피 도입되어야 하는 기술입니다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intake 님께
2022.09.15. 16:21

최종적으로 보면 스마트 그리드는 말씀대로 도입되어야하는 기술이 맞고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다만, 여기서 말씀하시는 내용은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내용보다는 아이폰이 저걸 위한 연산을 하는거 대비 효율이 있는가입니다. 물론 이 내용은 객관적인 증명된게 없기떄문에..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intake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6:41

그냥 전력통계만 받아오면 되는 기술 같은데... 이 정도면 연산의 효율까지 언급하기엔 너무 민망한 수준 아닐까요?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intake 님께
2022.09.15. 16:41
회원님 3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best intake
2022.09.15. 15:05

저는 충분히 의미있는 기술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처럼 국가가 전력망을 독점하고 있는 곳에서는 별 효용이 없을지 모르겠지만 PPA 제도가 잘 도입되어 있는 곳에서는 이야기가 다르거든요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intake 님께
2022.09.15. 15:08

제가 알기론 PPA는 기업간이나 다른 기관간은 이루어지면 개개인간에 이루어지는 경우는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현재 사용하는 전기에 히스토리나 백그라운드를 남기려면 이력추적도 가능해야지요. 

정말 쉽게 돌아봐서 개념자체는 좋다고 말할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현재기술에서는 허울뿐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만약에 말씀하신대로라면 저런식으로 소스코드가 작성되어서 동작하면 안되죠.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intake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5:19

재생에너지 PPA라든가 이런 제도가 왜 나왔나... 가장 큰 이유는 소비자들이 그걸 원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아이폰 점유율이 50%를 돌파한 상황에서 애플이 이런 기술을 도입하면 좋든 싫든 간에 재생에너지에 대한 선택압이 가해질 수밖에 없어요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intake 님께
2022.09.15. 16:21

네 무슨 말씀이신지도 알것 같고 취지도 공감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ayBack
best WayBack
2022.09.15. 15:06

너무 억지이닌가요..;;

[WayBac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imer
Aimer
2022.09.15. 15:12

애플이나 삼성이나 이런식으로 친환경 기업이란걸 어필하는 이유는 블랙록 같은 거대 연금기구들이 기업들에게 esg경영을 강화하지 않으면 투자금을 뺀다고 하고 있기 때문이죠.

[Aime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Aimer 님께
2022.09.15. 15:13

네 저도 그냥 보여주기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카모토슬림
오카모토슬림
2022.09.15. 15:58

보여주기라도 하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왜이렇게 꼬이셨는지...

[오카모토슬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오카모토슬림 님께
2022.09.15. 15:59

종이빨대같이 허울뿐인 친환경정책을 별로 안좋아해서 그런것 같습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best intake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6:05

다른 회사면 몰라도... 애플은 허울뿐인 친환경정책 거의 안 내놓습니다 

당장 탄소 감축 목표만 봐도 그렇습니다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75% 감축하고 나머지 25%는 산림 조성해서 상쇄한다는 게 애플의 탄소중립이거든요

다른 기업은 2050년까지 50% 감축하고 나머지는 배출권 사서 상쇄하겠다 같은 사례가 대다수입니다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intake 님께
2022.09.15. 16:09

네 말씀하신 부분도 분명 공감합니다.

확실히 빅테크기업중 가장 환경정책이 앞장서는거는 맞으니까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무화과맛있어
무화과맛있어
2022.09.15. 16:03

3.  데이터를 기반으로 iOS 현재 지역에서 소모되는 전기가 클린한지 판단해서 동작합니다.

아예 충전을 안하는지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아직 공개되어있는바가 없습니다.

→  결론 : 허울좋은 마케팅

 

이 부분에서 앞뒤를 잇는 논리가 전혀 없는데요...? 작동 원리가 나온 뒤에야 판단할 수 있는 문제 아닌가요?

[무화과맛있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무화과맛있어 님께
2022.09.15. 16:05

어느 데이터를 파싱하는지에 대한 내용은 소스코드로 나와있고,

저기서 말하는 작동원리는 아예 충전을 안하는지 아니면 충전비율을 제한하는지에 대해서 안나와있다는 말입니다.

 

제가 말씀드리는건 저 데이터 자체가 부정확한데 저걸 기반삼는게 허울좋은거라고 말하고 있는거구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무화과맛있어
무화과맛있어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6:11

(저 혼자만의 추측이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친환경 전력이 남는 심야 시간대까지 기다렸다가 충전되게 작동한다면 충분히 의미 있는 기능이 아닐까요? 휴대전화 정도보다야 전기차 스케일에서 더 큰 의미가 있는 기능이겠지만 그저 마케팅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에는 분명히 환경을 위한 기능은 맞아서요.

 

그나저나 데이터가 부정확하다는 근거는 어디에 있죠? 다른 분들 댓글을 보니 스마트그리드 차원에서 충분히 확보 가능한 데이터인 것 같은데요. 

[무화과맛있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무화과맛있어 님께
2022.09.15. 16:14

데이터가 부정확하다는 근거는 위에 예시로도 적어놨지만, 현재는 미국은 전력형 지능망이 구성되어있지 않습니다.

 

혹시 미국이 현재 개인이 사용하는 전기가 친환경인지 어디에서 왔는지 어떤 소스로 발전되었는지 구분할수 있는 인프라가 있나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무화과맛있어 님께
2022.09.15. 16:46

말씀하신 사이트를 들어가봤는데 단순히 전력 예보정도를 제공하는 수준이라서 이게 전력예비량에 따른 충전을 조정한다? (표현이 맞나요..) 수준이고 친환경이라고 볼수 있을까요? 저는 글쎼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무화과맛있어
무화과맛있어 Futuristics 님께
2022.09.15. 16:54

사이트에서 링크 하나하나 다 눌러보셨어요? 위치별 친환경 에너지 공급량 정도는 충분히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해보이는데요,, 그 정보를 활용하여 충전을 조정하는 게 친환경이 아닐 이유가 있나요?

[무화과맛있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무화과맛있어 님께
2022.09.15. 17:00

Emission인가 그부분 말씀하시는거죠? 근데 저 데이터가 정확하다라고 하는것도 없고 면책조건에도 분명히 적혀있는것 같은데요.. 

 

This data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used for determining actual billing values or operational planning.

 

실제 청구나 운영 계획을 결정하는데 데이터를 활용하지 말라구요.. 

 

 

아 근데 이와 별개로 저런식으로 데이터가 수집되는건 저도 처음알아서 이 부분은 조금 근사하게 다가오긴하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도나쓰
도나쓰
2022.09.15. 16:45

회사가 있는 지역이 친환경 전기 생산비율이 높다면 회사에서 배터리를 더 충전해놓고 집에서는 회사에서 충전해온 친환경 전기를 소모하면서 집에서 충전을 덜 한다 이런식으로 작동하려나요 처음봤을땐 미국은 전력선으로 전력계약 정보같은것도 보내줘서 그값을 정품충전기가 읽는건가 했는데 그정도까지는 아니었군요

[도나쓰]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도나쓰 님께
2022.09.15. 16:46

네 그 개념이 동작하려면 스마트 그리드가 구현되고 전력소스에 대한 이력추적이 가능해야합니다.

그래서 너무 뜬구름 같은 허울좋은 기능이 아닌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64 13
핫글 미니 윈도우 태블릿 전성시대가 그립네요. [24] file Fluent 24.05.31 875 11
핫글 미니 요즘 가장 잘 쓰는 기기 갤럭시북S [10] file 달콩이 24.05.31 937 10
핫글 미니 이것이 윈도우 xp [1] file 퍼핑 24.05.31 472 8
56282 미니 노트10 & 노트10플러스 국내 출시 가격 [13] 슈갤럼 19.07.31 760 1
56281 미니 아이폰은 드디어 생활방수 딱지 떼냈네요 [13] file aleji 19.09.23 760 0
56280 미니 게임부스터 온전히 쓸려면 옵티마이징 끄면 안됩니다 [9] file 배붕이 19.09.27 760 0
56279 미니 더버지 레드폰 극딜 ㄷㄷ [6] file 루딱이 19.10.20 760 0
56278 미니 S11은 민족의 혼을 담은 디자인이죠 [3] file 루딱이 19.12.10 760 0
56277 미니 S11 배터리 본 사람 [12] file 판다다판다 19.12.10 760 0
56276 미니 한국도 전량 스냅865 적용! [6] file 슈갤럼 19.12.11 760 0
56275 미니 북쪽 사이버 부대 어마어마 했군여 [5] 판다다판다 20.01.01 760 0
56274 미니 (루머) 모바일에서 AMD가 Intel을 크게 이겼다...? [18] 6_inch 20.01.13 760 1
56273 미니 11프로의 킹갓2400만화소라면 다릅니다 [9] file kkoury 20.01.14 760 0
56272 미니 문제의 그 "서피스"가 국내 출시합니다. [21] Futuristics 20.02.03 760 0
56271 미니 갤럭시S20+ 아우라 레드 색상 [5] file S.C 20.02.12 760 0
56270 미니 플립이 이뻐보이는 이유는 [3] file Aimer 20.02.16 760 0
56269 미니 Android 11 DP2부터 웹 브라우저로 펌웨어 플래싱이 가능합니다. [1] file 취사병고동빈 20.03.19 760 1
56268 미니 다음달 출시 LG스마트폰 이름은 ‘LG 벨벳' [18] file Idle6 20.04.12 760 0
56267 미니 아이패드 프로 12.9인치 vs 아이패드 미니5 (7.85인치) [6] file Stellist 20.05.04 760 0
56266 미니 제가 유일하게 거른 S시리즈... [8] 흡혈귀왕 20.05.05 760 0
56265 미니 980 상태보니 내년 엑시노스 기대되네요 [8] 흡혈귀왕 20.05.10 760 0
56264 미니 아이폰12엔 BOE디스플레이가 들어가나 보네요 [11] Aimer 20.05.16 760 0
56263 미니 삼성위젯 날씨 저만 별로 상관없나요....? [28] file 간다르바 20.06.08 760 1
56262 미니 9ms [11] file lando 20.06.19 760 0
56261 미니 아메리카는 샘성뮤직에도 광고를 넣습니다 [19] file 카더 20.07.06 760 1
56260 미니 울고싶네요 (부제 : 다시는 서피스를 사야할지..) [19] file Futuristics 20.07.08 760 0
56259 미니 풍성한 언팩이 되겠군요 [4] 존버합니다 20.07.22 760 0
56258 미니 아이폰12 120hz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탑재면 추후 풀어주지 않을까요?? [10] 카밀리아 20.07.31 760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