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입털러

삼성전자, 2027년 1.4나노 양산으로 앞서간다

삼성전자가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Samsung Foundry Forum 2022)’를 열고, 파운드리 신기술과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3년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올해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는 팹리스 고객·협력사·파트너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기술 혁신, △응용처별 최적 공정 제공, △고객 맞춤형 서비스, △안정적인 생산 능력 확보 등을 앞세워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최시영 사장은 “고객의 성공이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의 존재 이유”라고 강조하며 “삼성전자는 더 나은 미래를 창조하는 파트너로서 파운드리 산업의 새로운 기준이 되겠다”고 말했다.

 

□ 파운드리 기술 혁신으로 선단 공정 리더십 강화…2027년 1.4나노 양산

 

삼성전자는 선단 파운드리 공정 혁신과 함께 차세대 패키징 적층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 핀펫(FinFET) 트랜지스터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고, 지난 6월 GAA(Gate All Around) 트랜지스터 기술을 적용한 3나노 1세대 공정 양산을 세계 최초로 시작했으며, 앞선 양산 노하우를 기반으로 3나노 응용처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GAA 기반 공정 기술 혁신을 지속해 2025년에는 2나노, 2027년에는 1.4나노 공정을 도입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공정 혁신과 동시에 2.5D/3D 이종 집적(Heterogeneous Integration) 패키징 기술 개발도 가속화한다.

 

특히, 삼성전자는 3나노 GAA 기술에 삼성 독자의 MBCFET(Multi Bridge Channel FET) 구조를 적용하는 한편 3D IC 솔루션도 제공하며 고성능 반도체 파운드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2015년 고대역폭 메모리 HBM2의 성공적인 출시를 시작으로 2018년 I-Cube(2.5D), 2020년 X-Cube(3D) 등 패키징 적층 기술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 I-Cube는 실리콘 인터포저 위에 로직과 HBM을 배치하는 2.5D 패키지 기술이며,
X-Cube는 웨이퍼 상태의 복수의 칩을 위로 얇게 적층하는 3D 패키지 기술임

 

삼성전자는 u-Bump(micro Bump)형 X-Cube를 2024년에 양산하고, 2026년에는 Bump-less형 X-Cube를 선보일 계획이다.

* u-Bump(micro Bump): 일반 범프 대비 더 많은 I/O를 패키징에 넣을 수 있어 더 많은 데이터 처리가 가능
* Bump-less: 패키징에서 범프를 없애고 더 많은 I/O를 삽입이 가능해 데이터의 처리 양을 u-Bump 보다 더 많게 구현할 수 있음

 

□ 2027년까지 HPC, 5G, 오토모티브 등 비중 50% 이상으로 확대

 

삼성전자는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오토모티브(차량용 반도체), 5G, IoT 등 고성능 저전력 반도체 시장을 적극 공략해, 2027년까지 모바일을 제외한 제품군의 매출 비중을 50% 이상으로 키워 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 세계최초로 3나노 공정 기반의 HPC 제품을 양산한데 이어, 4나노 공정을 HPC와 오토모티브로 확대한다. eNVM(embedded Non-Volatile Memory)과 RF도 다양한 공정을 개발해 고객 니즈에 맞춘 파운드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현재 양산 중인 28나노 차량용 eNVM 솔루션을 2024년 14나노로 확대하고, 향후 8나노 eNVM 솔루션을 위한 기술도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는 RF 공정 서비스도 확대한다. 삼성전자는 현재 양산 중인 14나노 RF 공정에 이어 세계 최초로 8나노 RF 제품 양산에 성공했으며, 5나노 RF 공정도 개발 중이다.

 

□ SAFE 생태계 확대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강화

 

삼성전자는 2022년 현재 56개 설계자산(IP) 파트너와 4,000개 이상의 IP를 제공하고 있으며, 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 전자설계자동화(EDA) 분야에서도 각각 9개, 22개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다. 또한 9개 파트너와 클라우드(Cloud) 서비스 및 10개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파트너와 패키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향상된 성능과 기능, 신속한 납기, 가격경쟁력까지 갖춘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해 새로운 팹리스 고객을 발굴하는 한편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 스타트업(Startup) 등 신규 고객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기업

 

삼성전자는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 이어, 4일 ‘SAFE 포럼(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Forum)’도 개최하고, EDA, IP, OSAT, DSP, Cloud 분야 파트너들과 파운드리 신기술과 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 ‘쉘 퍼스트’ 라인 운영으로 고객 니즈에 적기 대응

 

삼성전자는 2027년까지 선단 공정 생산능력을 올해 대비 3배 이상 확대해 고객 니즈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평택, 화성과 미국 테일러에서 선단 공정 파운드리 제조 라인을 운영하고, 화성, 기흥과 미국 오스틴에서는 성숙 공정을 양산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앞으로 ‘쉘 퍼스트(Shell First)’ 라인 운영으로 시장 수요에 신속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쉘 퍼스트’는 클린룸을 선제적으로 건설하고, 향후 시장 수요와 연계한 탄력적인 설비 투자로 안정적인 생산 능력을 확보해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미국 테일러 파운드리 1라인에 이어 투자할 2라인을 ‘쉘 퍼스트’에 따라 진행할 계획이며 향후 국내외 글로벌 라인 확대 가능성도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는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실리콘밸리)을 시작으로, 7일 유럽(독일 뮌헨), 18일 일본(도쿄), 20일 한국(서울)에서 순차적으로 ‘삼성 파운드리 포럼’을 개최하고 각 지역별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소개할 계획이다.

 

또한, 오프라인 참석이 어려운 글로벌 고객을 위해 21일부터 온라인으로도 행사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서 파운드리사업부장 최시영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서 파운드리사업부장 최시영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서 파운드리사업부장 최시영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서 파운드리사업부장 최시영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 참가한 참석자들의 모습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 참가한 참석자들의 모습

프로입털러
Galaxy S22 Ultra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댓글
0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71
핫글 소식 애플, 저조한 판매에 차세대 고성능 비전 프로 개발 중단...보급형으로 선회 new 뉴스봇 06:12 2 325
핫글 소식 루머 : 삼성 갤럭시버즈3 프로 디자인 추가 유출 newfile Stellist 14:33 2 283
핫글 소식 네이버와 결별 급했나?‥라인 페이의 엇박자 [3] new BarryWhite 11:25 2 487
48885 소식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80 12GB의 바른 이름은 RTX 4070 Ti? [1] file 뉴스봇 22.11.09 1 290
48884 소식 BOE, 청두 자동차 디스플레이 팹 가동 뉴스봇 22.11.09 0 115
48883 소식 TSMC 시설투자 축소, 팹 가동률도 조정할 것 뉴스봇 22.11.09 0 128
48882 소식 FSR 2.1 업데이트, 사이버펑크 2077 1.61 패치 배포 뉴스봇 22.11.09 0 165
48881 소식 운명의 일주일, SK발 美배터리 후방산업 수주전 시작 뉴스봇 22.11.09 0 90
48880 소식 SK하이닉스, 모바일 D램 최초 'HKMG' 적용한 LPDDR5X 양산 돌입 뉴스봇 22.11.09 0 119
48879 소식 삼성 '8세대 V낸드' 양산 시작…200단 낸드 초격차 시대 연다 [4] 존버합니다 22.11.09 0 412
48878 삼성전자, 갤럭시 Z플립4 메종 마르지엘라(Maison Margiela) 에디션 공개 [5] 프로입털러 22.11.09 5 915
48877 소식 블룸버그: 애플, 아이폰14 생산 300만대 감축 뉴스봇 22.11.09 0 181
48876 소식 LGD, '12인치→14인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공개 뉴스봇 22.11.09 0 227
48875 소식 일론 머스크, 전체 플랫폼의 유료화 고려하고 있고 현재 그는 고립돼 있어 뉴스봇 22.11.09 0 248
48874 소식 애플 제품 디자인 팀, 최근 수년간 비용에 더 집중한 것으로 알려져 뉴스봇 22.11.09 0 338
48873 애플 공급망 뚫은 자화전자, 삼성 갤S23에도 OIS 납품 [1] 다람쥐 22.11.08 1 543
48872 미디어텍, 레이트레이싱&Wifi7 지원 AP 디멘시티9200 발표 [3] file Stellist 22.11.08 2 467
48871 소식 LG디스플레이, 'MR 시장 겨냥' 올레도스 투자 왜 밀리나 뉴스봇 22.11.08 0 110
48870 구현모 KT 대표, 3Q 호실적 발표날 '연임' 도전…디지코 성과 내세워(종합) 프로입털러 22.11.08 0 93
48869 '우영우·B2B' 쌍끌이 성장…KT 3분기 영업익 두자릿수 증가(종합) 프로입털러 22.11.08 0 129
48868 소식 메타, 크리에이터 기능 업데이트…페이스북 프로필 프로페셔널 모드 공개 및 릴스 기능 업데이트  뉴스봇 22.11.08 0 97
48867 소식 젠하이저, 무선 이어폰 ‘모멘텀 트루 와이어리스 3’ 기능과 성능 업데이트 뉴스봇 22.11.08 0 144
48866 소식 올해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47억 in²로 역대 최대 전망 뉴스봇 22.11.08 0 68
48865 소식 삼성이 생각하는 폴더블폰의 개선점은? 뉴스봇 22.11.08 0 242
48864 소식 게인워드, 보조전원 케이블 교체로 지포스 RTX 4090 출시 지연 file 뉴스봇 22.11.08 0 114
48863 소식 LG디스플레이, 자유롭게 늘리고 비트는 고해상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 뉴스봇 22.11.08 0 108
48862 소식 카카오맵, 서울 지하철역 승강장 간격·높이 정보 제공 뉴스봇 22.11.08 0 168
48861 소식 옴디아, “2023년 디스플레이 수요 전년 대비 6.2% 증가 전망”  뉴스봇 22.11.08 0 72
48860 JVC, ANC 무선이어폰 HA-FX150T 발표 file Stellist 22.11.08 1 146
48859 AVIOT, ANC 무선이어폰 TE-J1 발표 file Stellist 22.11.08 0 105
48858 삼성, 갤럭시워치5 시리즈용 링크 브레이슬릿/밀레니즈 스트랩 발표 [2] file Stellist 22.11.08 2 596
48857 소식 RTX 4080 성능 유출, 순 성능은 딱 RTX 3080과 가격만큼 차이? file 뉴스봇 22.11.08 0 293
48856 소식 대만 VIS, 파운드리 물량 감소로 매출 하락 뉴스봇 22.11.08 0 89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