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IT 소식 *최신 IT소식을 보거나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입털러

[Q&A] 엔지니어링의 혁신: 갤럭시 Z 플립4와 Z폴드4에 담긴 10여년의 혁신

최근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새로운 Z 플립4와 Z폴드4를 출시한 삼성전자는 모바일 가능성의 새로운 미래를 선사했다. 스마트폰을 재해석하고 갤럭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기 위한 10여 년 간의 여정이 두 제품에 담겼다.
 

2010년부터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어온 삼성전자는 혁신의 의미를 새롭게 쓰고 있다삼성전자가 추구하는 진정한 혁신이란 기술 자체의 진보에서 오는 것뿐만이 아니라일상을 변화시키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뉴스룸은 삼성전자 MX사업부 전략제품개발팀장 최원준 부사장을 만나 4세대 시리즈에 관한 혁신과 그 안에 담긴 제품 개발 철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4세대 갤럭시 폴더블 스마트폰은 어떤 부분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었나?

 

Z 폴드4 Z 플립4의 발전은 3세대에 걸쳐 축적된 폴더블폰의 엔지니어링 기술과 더불어 사용자들의 소중한 피드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기존 형태의 바타입 스마트폰과 대비되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했다.

 

수백만 사용자들에게 폴더블 기술을 제공하고 폴더블폰이 대중을 위한 카테고리가 될 수 있도록우리는 안심하고 일상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과 이동성최적화된 대화면 경험타협 없는 성능이라는 네가지 사항에 주력했다.

 

갤럭시 Z 플립4와 Z폴드4의 개선된 힌지(Hinge)는 어떤 점이 달라졌나?

 

 

Z 플립 사용자들은 폼팩터가 한층 더 콤팩트해지길 원했다또한 Z폴드 사용자들은 메인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커버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이동할 때에도 불편함 없이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에 대한 우리의 해결책은 두 기기 모두의 힌지를 재설계하는 것이었다이전의 힌지 디자인은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폴더블 경험을 가능하게 한 엔지니어링 성과다하지만내부적으로는 더 큰 규모의 대량생산과 사용자의 니즈 충족이라는 면에서 디자인을 단순화하고 얇게 만들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새로운 힌지의 개발을 통해 플립4의 디자인은 더 콤팩트해졌고, Z폴드4의 화면비율도 개선되어 커버 스크린의 가로는 조금 더 넓어지고 길이는 조금 더 짧아졌다사소해 보이는 변화지만이동 중에 입력을 하거나 커버 스크린에서 다른 작업을 할 때 한층 더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많은 영향을 준다.

 

뿐만 아니라 재설계된 힌지는 제품 생산과 수명 연장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부품 개수를 60% 정도 줄일 수 있게 되어 잠재적으로 수리해야 하는 부품의 수도 적어지고 대량생산 시 제조공정 복잡도도 낮아지기 때문에그 자체로도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우수한 카메라를 활용해 콘텐츠 제작을 즐기는 사용자들을 위해 이번 Z 폴드4와 Z 플립4에서 개선된 부분은 무엇인가?

 

갤럭시 Z플립4와 Z폴드 모두 카메라를 대폭 업그레이드했다갤럭시 S22에 처음 적용했던 나이토그래피를 플립과 Z폴드에도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빛을 흡수하는 더 큰 카메라 렌즈를 추가해야 한다힌지를 포함한 기구 디자인을 재설계함으로써기기의 두께를 늘리지 않고도 새로운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되는 부품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4세대 Z 시리즈의 무게를 어떻게 줄일 수 있었나?

 

 

폴더블폰에 있어 무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그 동안 우리는 폴드 시리즈의 무게를 줄이는 데 주력해 왔다.

디스플레이와 힌지의 무게를 줄이는 데 집중한 결과 Z폴드4의 무게는 263g으로, Z폴드3(271g)보다는 8g, Z폴드2(282g)보다는 거의 20g 정도 가벼워졌다작지만 지속적인 개선은 여러 세대를 거치며 큰 차이로 이어졌다.

 

디스플레이 구조를 재설계하고 소재를 변경했고 그 결과 Z 폴드4의 디스플레이는 전작보다 15% 더 가벼워졌을 뿐만 아니라 45% 더 견고해졌다힌지 역시 전작보다 21% 가볍게 재설계되어 더욱 사용하기 편안하고 휴대성이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이 외에도 기기 안의 여러가지 부품과 기구물을 최적화한 것도 무게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Z 플립4의 배터리 용량을 어떻게 늘렸나?

 

Z 플립3에 대한 가장 많은 피드백 중 하나가 배터리 사용시간에 관한 것이었다. Z플립4의 경우 부품 실장 기술을 고도화시켜 기구 디자인을 더욱 효율적으로 최적화 했을 뿐 아니라 힌지를 슬림하게 만들어 추가적 업그레이드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폴더블 스마트폰은 힌지에서 서로 만나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기 때문에결과적으로 전통적인 형태의 스마트폰에 비해 내부 공간이 제한된다하지만 힌지를 단순화하여 전작 대비 400mAh나 더 큰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제품 전체 성능의 효율 개선을 통해 전반적인 사용 시간을 대폭 늘릴 수 있었다.

 

Z 폴드4의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 (Under Display Camera, UDC)는 어떻게 개선되었나?

 

 

방해요소 없이 몰입감 있는 사용을 원하는 갤럭시 사용자들을 위해 7.6인치 메인 디스플레이에 UDC 기술을 적용했다이는 갤릭시에서는 폴더블폰에 최초로 도입된 것으로한층 더 몰입감 있고 개선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기존 군집형에서 분산형으로 카메라 상단의 픽셀 구조를 변경해 텍스트 가독성과 같은 시인성을 개선하고 카메라가 더욱 눈에 보이지 않게 했다그 결과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콘텐츠 시청게임독서를 할 때 더욱 방해 없는 경험이 가능해졌다.

 

삼성전자 폴더블의 핵심 요소인 초박형 유리 Ultra Thin Glass(UTG)의 소재는 어떻게 개발되었는가?

 

처음 폴더블제품을 개발했을 때는 플렉서블 폴리이미드를 사용해서 접는 화면을 만들었다하지만폴더블폰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유리와 같이 좀 더 내구성이 강한 소재가 필요했다그렇게 해서 최초의 UTG가 개발됐다.

 

UTG는 원재료에서부터 수많은 단계를 거쳐야 하는 고도로 복잡한 소재다사람 머리카락 한 올보다 얇은 UTG를 코팅하고 정밀한 규격으로 절단한 다음유리 표면을 매끄럽게 문지르는 까다로운 공정을 거친다그렇게 해야만 구조적으로 단단하고 폴더블폰에 설치 가능한 소재가 만들어진다마지막으로철저한 내구성 시험을 거쳐야만 시리즈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매년 각 단계의 개선을 거듭했고현재 수백만 장이 양산돼 수십만 번 접었다 펼 수 있을 만큼 강한 내구성을 지닌 UTG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폴더블 스마트폰의 개발 추진 방향은 어떻게 되는지?

 

진정한 혁신이란 기술 자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그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주는 것 이라고 생각한다삼성은 4세대 폴더블을 출시하기까지 수많은 혁신을 이루어 냈으며이는 한 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닌 10년간의 축적된 시간과 과정이 만들어 낸 것이다.

 

삼성은 앞으로도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파트너들과의 열린 협업을 통해 진정한 폴더블 대중화를 실현해 더 많은 사람들이 폴더블로 새로운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프로입털러
Galaxy S22 Ultra
iPhone 13 mini
Galaxy Book3 Pro
Galaxy Tab S8 Ultra
Galaxy Watch4 Classic
Galaxy Buds2 Pro
댓글
2
1등 골회
2022.10.06. 13:17

삼성 폴더블는 주름보다 무게와 두께 줄이는게 목표 같네요.. 굿굿.. 다음폰은 꼭 폴더블을 써보고싶은데....ㅠㅠㅜ

[골회]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tdpc
2등 tdpc
2022.10.06. 21:36

본문 中 "타협 없는 성능"

흠칫하게 되네요

[tdpc]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소식 IT 소식 게시판 이용 수칙 230127 admin 19.11.15 9 49293
핫글 소식 中 반도체 굴기 실패? 작년 폐업 기업 1만개 돌파 new BarryWhite 12:05 1 178
핫글 소식 스냅드래곤8 3세대 탑재 원플러스 패드 프로 27일 공개 new BarryWhite 12:07 1 323
48977 '月 100억불' 수출행진 무너진 반도체…1년5개월 만에 내리막 [1] 프로입털러 22.11.14 0 184
48976 脫 중국 가속…애플-삼성 '인도 쟁탈전 프로입털러 22.11.14 0 187
48975 SK·KT의 비원 ‘망사용료 강제’에… 과기부·공정위도 부정적 의견 [4] 프로입털러 22.11.14 7 823
48974 소식 IBM, ‘IBM 다이아몬드백 테이프 라이브러리’ 출시…데이터 복원력과 지속가능성 업그레이드 뉴스봇 22.11.14 0 110
48973 세기P&C, PENTAX KF 발표...12월 국내 출시 file 뉴스봇 22.11.14 0 111
48972 소식 프로젝트명 '콜럼버스'…LG화학, 북미 양극재 투자 사실상 확정 뉴스봇 22.11.14 0 130
48971 소식 밸브, SteamOS 3.4 프리뷰 업데이트 뉴스봇 22.11.14 0 164
48970 소식 日, 전기차 핵심기술 전력반도체 올인 S펜내장기원 22.11.14 0 162
48969 소식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80 FE PCB 유출, 상위 모델 대비 디자인? file 뉴스봇 22.11.14 0 249
48968 소식 중국 반도체 산업, 중장기적으로 개선될 것 뉴스봇 22.11.14 0 155
48967 소식 다운텀의 시작, 언제 반등할까?  뉴스봇 22.11.14 0 90
48966 소식 배터리 핵심소재, 자원안보 확보 차원에서 보호해야 뉴스봇 22.11.14 0 78
48965 소식 SK온-포드 유럽 배터리 합작사, 헝가리 공장과 판박이 뉴스봇 22.11.14 0 67
48964 소식 SKC, 테슬라 배터리용 고성능 동박 개발 뉴스봇 22.11.14 0 77
48963 소식 Arm, 2022년 2분기 로열티 역대 최고 기록 file 뉴스봇 22.11.14 0 112
48962 소식 엔비디아 DLSS 3의 프레임 생성 기술, AMD FSR과 인텔 XeSS와도 동작 file 뉴스봇 22.11.14 0 172
48961 소식 새로운 안드로이드 오토 베타 시작 [9] file 우주안녕 22.11.13 2 1191
48960 “‘아이폰’ 이제 그만 쓸까”…개기월식 사진 대결 ‘갤럭시’ 압승 [15] file aleji 22.11.13 6 1627
48959 소식 듀얼 후면 카메라, 90Hz 화면 및 무선 충전과 함께 제공되는 Google Pixel 7a 뉴스봇 22.11.13 1 406
48958 소식 iPhone 14 Pro 시리즈 생산에 큰 타격, Foxconn, 인도 인력 4배 증가 뉴스봇 22.11.12 0 457
48957 소식 새로운 Android Auto UI가 마침내 공개 베타 테스터에 제공됩니다. [4] 뉴스봇 22.11.12 3 1253
48956 '모바일 신분증' 통신3사 이어 카카오·네이버 준비 [6] scjang01 22.11.12 2 1001
48955 소식 넷마블, 3분기 매출 6944억원 영업손실 380억원 뉴스봇 22.11.11 0 173
48954 소식 미디어텍, 4K 120Hz 스마트 TV용 Pentonic 1000 SoC 출시 file 뉴스봇 22.11.11 0 256
48953 소식 미디어텍, 보급형 크롬북 위한 Kompanio 520/528 칩셋 발표 뉴스봇 22.11.11 0 137
48952 소식 Realme 10 5G는 Dimensity 700 및 50MP 카메라를 제공합니다. 뉴스봇 22.11.11 0 102
48951 소식 [영상] 삼성 P3 파운드리 라인, 내년 1분기에나 클린룸 구축 뉴스봇 22.11.11 0 348
48950 트위터 핵심임원 줄사표에 자금난…머스크 '파산 가능성'도 거론(종합) 프로입털러 22.11.11 1 573
48949 애플, iOS 16.2에서 다이나믹 아일랜드 살짝 줄여 [4] file Stellist 22.11.11 1 896
48948 소식 파트론, 삼성전자 차기 폴더블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공급사 제외 뉴스봇 22.11.11 3 484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