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망 사용료는 현재시점에서 어느편도 들기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비용 관련해서 공개된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지금 나오네요. 다른 자료 인용한거 현실성 떨어진다고..

 

근데 더 웃긴건 이 요금이 민간계약이다보니 딱히 공개할 의무도 없어서..

 

서로 그냥 비용공개는 구체적으로 안하는데 서로 자기가 정당하다 주장중인 내용입니다..

 

 

 

비용공개는 안하는데 서로 내말이 맞다 하면서.. 무한루프

 

댓글
20
불심
1등 불심
2022.10.12. 19:00

서로 유리한 것만 들고와서 누가누가 시끄럽나 떠드는 모양새죠. 악인전이 따로없습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2등 나르자
2022.10.12. 19:06

아예 공개 안하는건 그렇다 치는데

그 비용을 카더라로 풀면서 여론전 하는 꼬락서니는 좀 숭허다 생각합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얼음콜라
best 3등 얼음콜라
2022.10.12. 19:19

사실 어디 편들 필요도 없는 문제같아요.

양측 다 소비자편임을 자처하지만 본인들이 승리했을 경우 소비자에게 어떤 혜택이 있는지 설명 못 한다는 점에서 사실 어느 측도 소비자편이 아닌거같아요.

[얼음콜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얼음콜라 님께
2022.10.12. 19:22

네 이 댓글이 더 정확히 맞는것 같습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o_salt
best no_salt
2022.10.12. 19:19

글쎄요 통신사 편들 사람은 돈 먹은 정치인들 말고는 없어보이는데 더러운건 통신사쪽이지 반대쪽에 똥묻히려고 어떻게든 하는 모양새군요

[no_sal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2.10.12. 19:22

문제는 빅테크쪽이 승리했을 경우에는 우리 밥그릇도 제대로 못챙기는 대다가

차후 기회도 없을것이라는거죠, 외국기업이라서 말이죠

 

반면, 우리쪽이 승리했을때는 우리 법률로 차후 조정이 가능하다는겁니다

누가 정의롭냐 싸움 보다는 현실적 밥그릇 챙기기와 차후 조정이 가능 하냐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겠습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o_salt
best no_salt 나르자 님께
2022.10.12. 19:24

글쎄요 이용자 입장에서 통신사가 이겼을때 이점이 뭐가 있는지 도저히 알기 어려운데요

[no_sal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no_salt 님께
2022.10.12. 19:32

그건 어느쪽이 승리해도 마찮가지 아닐까요?

간접적으로 따지면, 세수라도 더 걷어들일수 있는쪽이 어떨까 일견 그런 생각도 듭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no_salt
best no_salt 나르자 님께
2022.10.12. 19:34

글쎄요 그동안 천문학적인 마케팅 비용 지출하면서 해저망 투자는 안하고 '2티어' 당해서 강제로 분담금 줄줄 새는 통신사에게 세수 보전이라니 공익에 기여하는 준국가기관의 모습이라고 보기에 참 어렵네요

[no_sal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no_salt 님께
2022.10.12. 19:56

그래서 이번에 통신사가 패한다 해서 그게 고쳐지겠나요?

오히려, 투자축소와, 요금인상의 이유만 더 늘려주는 꼴 아니에요?

이게 지금 통신사 심판론이라는 좀 이상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대에 좀 애석함을 느낍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별빛정원
best 별빛정원 나르자 님께
2022.10.12. 19:37

통신사에 이익이 생기면, 반드시 요금을 내릴 것입니다.

(맞나..)

그건 >우리< 밥그릇이 아니라, 통신사네 밥그릇이겠죠...

(통신사들한테 뒷돈 빵빵하게 받아쳐먹은 국회의원들이 발의신청한 그 법이 통과되거나)통신사쪽이 승리했을때는 한국의 법률로 (통신사들 배를 빵빵하게 불려줄 수 있도록)조정이 가능한거겠죠?

말은 정확하게 하셔야...

현실적인 통신사의 밥그릇 챙기기와, 통신사쪽이 유리하도록 차후 조정이 가능하냐는 현실적인 문제.. ㅎㅎ

 

그래서 아직도 단통법이 버티고 있네요..

이 X같은 법 언제쯤 없어지나...

(모두 다 같이 비싸게 사십시오!)

[별빛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별빛정원 님께
2022.10.12. 19:39

저는 근본적인 부분에서 보면 단통법의 문제는 시장논리에 맡긴다는게 문제였다 생각합니다.

 

따라서 새로운법이 비용의 적지 않은 부분을 인프라에 투자하고 국가가 관리,감독한다면 저는 찬성입니다. 시장논리에 맡긴다는 애매모호한것으로 그 비용의 처리를 민간 부문에 무작정 맡기지 말구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Futuristics 님께
2022.10.12. 19:39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별빛정원
별빛정원 Futuristics 님께
2022.10.12. 20:02

??? 단통법 얘기는 반대로 하신 것 아닌가요?

단통법이 시장논리에 맡겨서 문제다! 라고 읽히는데 맞나요?

 

1. 단통법은 국가가 관리, 감독해서 문제인 법인데요???

선택약정+공시지원금 둘 다 사용하지 못하고 한가지만 선택 가능하도록 법으로 막고, 최대지원금을 제한함으로써 소비자는 폰을 비싸게 사게 된 법인데요?

단통법 안나오는게 기존의 시장논리에 맡겨두는 상황이었습니다..

통신사끼리 보조금(지원금)으로 서로 고객유치를 위해 경쟁하고,

통신요금을 서로 낮춰서 고객유치를 하게 경쟁하도록 놔뒀으면

이익은 그대로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상황이었습니다.

무선인터넷도 5G망을 더 깔아서 통신사끼리 고객유치를 위한 경쟁을 했겠죠.

 

2. 이번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통신사끼리, 해외 통신사하고도 경쟁하도록 놔두면 통신사는 해저케이블을 깔아서 1티어로 올라가려고 했을거고, 그러면 해외통신사에게 줘야하는 접속료도 없어지겠죠.

또한 통신사 자체적으로도 양질의 컨텐츠를 통한 서비스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서 자체 OTT및 국내에서 생산되는 컨텐츠 서비스에도 많은 투자를 했을겁니다.

[별빛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별빛정원 님께
2022.10.12. 20:02

말씀하신 내용에 전 좀 의문이 있는게, 무슨 울릉도나 제주도가 아닌이상 해외망 해저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통신사들이 연합한 컨소시엄에 지분 참여를 합니다. 케이블이란게 한번 깔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가급적 고스펙의 케이블을 깔고 여러 통신사들이 연결해서 사용하는 구조이거든요.

 

솔직히 통신사 마케팅이고 뭐고 거지같은건 저도 소비자이고 이해합니다만 나라가 콧구멍만해서 내수시장 가지고 해외망 열심히 깔다보면 그걸 상쇄하기 위한 무선요금이 더 오를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지금도 현재 진행형입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별빛정원 님께
2022.10.12. 20:06

1. 단통법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단통법의 한계를 지적한 내용입니다.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은 단말기에 대한 보조금 상한선을 두어서 모두가 공평한 단말기 가격을 사게끔하는건 법으로 강제하였지만

 

그에 반해 통신 요금제 자체에 대한 규제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저는 그 문제점을 지적한것이구요. 시장 논리에 맡긴다는것도 다른선택지이지만 뭐 결론적으로 보면 저는 맞는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번 망요금 관련해서 법을 제정해야한다면 단통법처럼 반쪽짜리보다 국가의 관리감독이 더 꼼꼼하게 모든면에서 필요하다는 의미였습니다. 즉 법이 망 사용료만을 원가계산해서 받는것만 고려하지 않고 그 비용을 징수해서 다시 재투자에 대한 의무 부여 및 국가차원의 관리감독또한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지금현재 법안이 만약에 단순히 망실태조사후 사용료만받아 이후는 자율적으로 알아서 하세요 ~.~ 하면  법안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별빛정원 님께
2022.10.12. 20:10

그리고 통신사업자가.. 경쟁이라.. 제가 볼땐 뭐 경쟁이 가능하다고 보여지진 않지만 하면 좋겠죠?

 

우리나라 통신사업자 자체가 허가제이고 전파수 할당이나 이런 문제를 고려해본다면 네 .. 경쟁이 가능한 상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뭐 제 4이통 출범을 못한것또한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요.. 

 

뭐 안좋게보시는분들은 이걸 카르텔or 마피아라고 말할수도 있겠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심
불심 별빛정원 님께
2022.10.12. 19:54

통신사는 그동안 견제없이 자율경쟁을 시켰는데 지들끼리 담합했으니까 원래부터 나쁜놈이라 치고

그동안의 역사가 오늘에 이르러 많은 문제를 만든것 자체는 저도 이견이 없습니다. 중요 인프라인 만큼 이젠 국가차원에서도 뭔가 제재나 감독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빅테크라고 해서 봐줘봐야 얻어먹을건 없습니다.

 

지금도 국내에서 거둬들이는 매출은 축소신고 해서 세수 줄여버리는 놈들을 굳이 옹호할 이유는 없어요.
 

결국은 둘 다 양아치입니다. 그리고 누가 이기든 돈은 더 내야할 수도 있습니다.

[불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불심 님께
2022.10.12. 19:52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별빛정원
별빛정원 불심 님께
2022.10.12. 20:00

윗 댓글의 2. 내용으로 대신하겠습니다.

[별빛정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91 13
핫글 미니 미니기덕질이 너무 재미가 없네요 [7] 고슴도치 11:30 608 12
핫글 미니 현장나왔다가 봤는데, 갤워치 신형 테스트하나보데요? [9] update elcid 11:34 1020 12
핫글 미니 갤북 4 프로 산거 매우 후회되네요 [26] update Pepsi베어 17:46 509 10
7672 미니 안드 12 공인인증서 개노답이네요;; [15] 여가어딥미코 21.12.16 1584 12
7671 미니 3분기 삼성 폴더블 판매량 한국이 30% 점유 [8] file Thomasp5675 21.12.17 1305 12
7670 미니 이중잣대 [8] file 마키세크리스 21.12.18 908 12
7669 미니 대설주의보 속 폰카 📷 [8] file 개구리 21.12.18 1265 12
7668 미니 One UI 진짜 많이 발전했네요 [15] 시엠 21.12.19 1666 12
7667 미니 LG전자, 더 강력해진 울트라기어 게이밍 노트북 공개 [17] file TM.Roh 21.12.20 963 12
7666 미니 유튜버가 만들어 파는 폴드3 케이스입니다. [15] file Stellist 21.12.22 1748 12
7665 미니 갤럭시S22에 비스포크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14] file Stellist 21.12.27 2647 12
7664 미니 빙단또 주의) s22 베젤은 [8] file Karion 21.12.29 1656 12
7663 미니 스냅8 Gen1도 싱글 거진 1280점 나오는군요 [4] file 흡혈귀왕 21.12.31 1008 12
7662 미니 폴드3로 돌아왔슈 [2] file Idle6 22.01.01 735 12
7661 미니 원UI 4.0 제일 불편한게 이거네요 [2] file 두유 22.01.07 1009 12
7660 미니 그래도 전 엑시노스를 기대합니다 [25] file 띠링 22.01.09 1040 12
7659 미니 빙냥: 2200은 플래그십 AP 중 최악 [9] file AirDrop 22.01.10 1645 12
7658 미니 삼파 비판은 충분히 나올수있는 얘기인거 같아요 [26] AirDrop 22.01.10 1218 12
7657 미니 복귀기념 200만원짜리 태블릿 질렸슈 [22] file 닉포토 22.01.11 1436 12
7656 미니 MKBHD, 픽셀6 프로 버그 많아서 S21U 사용중 [10] file 구보 22.01.12 950 12
7655 미니 메타(페이스북)최근 자사 커스텀 개발 CPU생산을 위해 삼성과 접촉중 [1] 장준후 22.01.13 841 12
7654 미니 엑시노스 2100 멀티 4000점 돌파 [12] file 샐리 22.01.15 2072 12
7653 미니 배터리 교체되는폰 오랜만에 만지니까 새롭네요 ㅋ [11] file 감자해커 22.01.16 1403 12
7652 미니 엑시 2200 전량폐기했다던 그 유튜버는 어떻게 된건가요 [16] 카밀리아 22.01.18 1269 12
7651 미니 [루머] 갤럭시 스마트폰 플래그쉽 및 중,저가 모델 마케팅 전략 [14] 프로입털러 22.01.18 1356 12
7650 미니 과연 이번 S22 박스 디자인은? [2] 한겹 22.01.18 1083 12
7649 미니 담당자가 조금만 더 성의있게 답변해줬으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6] 하루살이2 22.01.20 751 12
7648 미니 M1 맥북에어 배터리는 정말 미쳤습니다 [4] Stellist 22.01.20 1496 12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