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Starlink 전력소모량을 비교해봤습니다.

Starlink : 최저 40W, 최고 80W, 멜팅모드 170W 가정시

 

- 국내 IPtime : 모델마다 대동소이하지만 고급모델이더라고 하더라도 최대 15W미만, 평균 5~10W

- ASUS RT-AC51U+ : 기능별로 대동소이하지만 무선만 사용할경우 10W 이내

- KT 기가 모뎀 : 최대 7W 이내

- 셋탑박스 : 최대 15W 이내

- 무선공유기 : 최대 10W 이내

 

참고로 셋탑박스랑 무선공유기도 Starlink에 비하면 전력소모가 소소한데 대기전력 엄청 쳐묵쳐묵한다고 전기료주범이라고 많이 까였죠.

 

Starlink를 국내에서 초고속인터넷 대용으로 사용하면 국내 환경상 무선공유기와 함께 24시간 켜놔야하는데..

가정에서 실 사용시 누진포함 갑자기 한달 전기료가 매우 무척 궁금해지는군요.

 

실제 Starlink사용시 국내에서 무선공유기 포함 24시간 켜놓는다면 실시간으로 최저 45W~ 최대 80W의 전기가 쭉 빨릴것 같습니다. 스페셜 이벤트로 눈 내리면 180W정도 소모하구요.

 

 

댓글
16
감자
1등 감자
2022.10.14. 08:47

산지에서 쓴다면 돈 더 쓰고 태양열 조합도 나쁘지 않으려나요 ㄷㄷ

[감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그렇군요
best 2등 그렇군요
2022.10.14. 08:48

어디 오지 같은 곳 아니면 국내에서는 크게 메리트가 없죠.

[그렇군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콜홍
3등 콜홍
2022.10.14. 09:29

인터넷 되는데 스타링크를 쓸 사람은 전국에도 별로 없고... 전 세계에도 별로 없어서... 

알면서도 스타링크를 쓰는거죠 뭐...

 

스타링크 쓸 사람에게는 의미 없는 비교가 아닐까 싶습니다(그림의 떡 같은 비교...) 

[콜홍]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콜홍 님께
2022.10.14. 10:01

내년 1분기에 진출한다고 들었는데 기대되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2022.10.14. 09:53

애초에 고정장치로 사용할꺼면 위성통신을 사용할 필요가 없쥬...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Minny 님께
2022.10.14. 09:57

스타링크 고정에 가깝습니다. 이동하려면 재등록절차 거쳐야한다고 해서요.

나무위키도 관련 내용이 적혀있긴한데 지정된 주소에서 50km이내라는데 거리는 사용기마다 차이가 크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Futuristics 님께
2022.10.14. 10:04

그러니까 더더욱 스타링크를 사용할 필요성이 줄어듭니다.

고정장치로 쓸 꺼면 그냥 유선이나 무선 뚫는게 비용측면이나 안정성측면이나 모든게 월등합니다. 스타링크의 유용성이 빛을 보려면, 결국 저 고정성 때문에 국내기준으로는 전기도 들어오기 어려운 산간오지에서 사용하는것 뿐인데,

 

그런 곳도 요즘은 무선 통신사에게 전화 안터져요 ㅠㅠ 하면 적어도 KT는 국가기간망 사업자라서 왠만하면 뚤어주거든요. 유선은 전봇대 세우고 하기 때문에 비용적 문제를 고객한테도 부담시키기는 하지만 무선은 왠만해서는 구축해줍니다. 그렇기에 더더욱 국내는 효용성이 떨어집니다.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Minny 님께
2022.10.14. 10:06

네.. 그냥 그제 youtube에서 공청회하는데 starlink 댓글만 쭈욱 ~ 달려서 무언가 달라질줄알았는데 전혀.. 이것도 잘못된정보가 크게 와전된듯합니다. 절대 대안은 아닌것 같네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Futuristics 님께
2022.10.14. 10:13

뭐 결과론적으로 보면, 통신사가 지금 하는 행동이 너무 얼처구니 없으니 

-> 그 대안을 찾자

-> 국내에서는 국내통신사를 벗어날 수 없대!

-> 그러면 스타링크는??

이렇게 된 의식의 흐름이 아닐까 합니다.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Minny 님께
2022.10.14. 10:14

네 그 의식의 흐름도 이해는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저걸 대안이라고 제시하면 결국 통신사가 말하는 특정계층 잘못된정보를 와전해서 오해를 야기한다에 힘을 실어주는꼴이라서요..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Futuristics 님께
2022.10.14. 10:11

스타링크가 강조하는게 국가구분없는 유선망의 한계를 위성간의 통신과 위성신호를 받아 인터넷을 연결해주기 때문에 저지연 고대여폭을 제공해줄 수 있다. 라는건데,

 

어디까지나 위성통신 중에서 그게 장점이라는거지, 유선망과 비교하면 어림없습니다. 물론 위성간의 통신이라는게 추가되어서 그 특성때문에 해저케이블로 연결된 유선망을 통한 해외지역 통신은 의외로 유선망보다 조금 더 빠를 수 는 있지만, 그걸 위해서 비싼 요금, 유지비와 구축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라고 한다면 글쎄요...

 

물론, 스타링크의 궁극적인 목적은 별도의 새로운 통신망을 구축하는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 자체적으로 지상국과 통신하면서 위성간 통신을 하며, 다시 지상의 사용자에게 뿌려주는건 기존 통신사와는 다르게 범지구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긴 하쥬. 그거의 최종 목표는 일론머시깽이가 하고싶은 화성갈끄니까... 해서 화성가서 인터넷 하고 싶은거고...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Minny 님께
2022.10.14. 10:12

네 근데 저런 현실적인 문제를 알지 못한체 그냥 단순하게 국내통신사? 안써! 스타링크! 스타링크 ! 스타링크! 말하며 대체한다고 말하는거 자체가 잘못된 정보이지 않을까 싶어서 오히려 통신사에게 불필요한 빌미나 더 안겨주는거 아닐까 싶긴하네요.

일단 2023년 1분기에 서비스하니 저도 오지산간 위주로 서비스하면 KT는 좋아라할듯 합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Minny Futuristics 님께
2022.10.14. 10:16

댓글을 나눠 적으니까 섞이네요..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위에 적은 댓글 있슴다~

 

이 문제의 근본적인 문제를 직면해서 해결해야 하는데, 갑자기 대안을 찾으려고 하니 이상한 소리가 나오는듯... 개인적으로 "2030 남자들, 잘못된 정보, 선동"  이라는 언행은 굉장히 불쾌하지만, 논리적으로 생각해서 합리적인 추론을 해야 하는 거에는 반성이 필요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Minny]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Futuristics
글쓴이
Futuristics Minny 님께
2022.10.14. 10:25

사실 망사용료 관련 공청회도 조금 의아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구글캐시서버 떡밥은 저 중학생때부터 유구히 전해지던 전통인데,
질의하신 기자분이 정확히 그 내용을 말한건 좋았으나
통신사가 "어차피 캐시서버가 있든 없든간 국내 트래픽구간은 트래픽 발생은 동일하다"라는 논점흐리기 답변을 시전했죠

 

여기에서 질의하신 기자분이 추가 질문으로 국내 구간이 아니라 해외구간을 포함 전 구간에 대한 이용료를 기준으로 재 질의를 하셨어야하는데 그걸로 끝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에 캐시서버를 두지 않을경우 국내 통신사가 해외 구글서버 접속을 위한 해외망사용료를 지불해야할텐데 이런경우 오히려 통신사가 손해를 보니 구글 캐시서버를 국내에 두는게 해외망사용료를 절약하는 통신사입장에서도 좋지 않냐? 이런 타협을 통해 통신사는 전체 지불하는 금액이 오히려 내려가는거 아니냐?

 

라는식으로 집요한 질문을 했었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질문을 날카롭게 할려고 하는데 답변이 애매하고 석연찮은데도 재질문으로 다시 반박이 되는게 없어서 그냥 형식적인 질문에 그치지 않았나 .. 감히 생각해봅니다.

[Futuristics]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인플라이트
인플라이트
2022.10.14. 13:11

스타링크보다 빨리 제4이통이 생겼으묜....

[인플라이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ourire
sourire
2022.10.14. 18:06

스타링크는 독도 같은 곳에 들어올 것 같더라고요

[sourir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29 13
핫글 미니 아침부터 개든든.jpg [7] updatefile 품귀문란 08:24 847 12
핫글 미니 [란즈크]갤럭시Z폴드6 슬림 울트라, 삼성 DB에 추가 신규 등록 [4] file 노다 01:16 1264 10
핫글 미니 폴드 슬림은 보급형이 아닌 고급형이 맞습니다. [20] update 흡혈귀왕 11:29 709 10
215039 미니 미게 잘 되네요 file 놋철씁니다 18.06.27 522 0
215038 미니 츄라이츄라이 [1] file Elsanna 18.06.27 542 0
215037 미니 와! 미게! Stellist 18.06.27 444 0
215036 미니 크흐 소통갓 베리힌님 file 놋철씁니다 18.06.27 501 0
215035 미니 여기 특별히 죽지 않으면 전 그냥 여기서 놀래요 [2] 놋철씁니다 18.06.27 939 0
215034 미니 근데 트래픽 늘어나면 어떻게 되나여 [1] file JordanKwon 18.06.27 599 0
215033 미니 안녕하세요 몽구스 18.06.27 235 0
215032 미니 모바일 ㅅㅅ file 놋철씁니다 18.06.27 747 0
215031 미니 청와통닭보다는 [2] 노랑통닭 18.06.27 613 0
215030 미니 근데 이거 XE예요? [1] file 놋철씁니다 18.06.27 866 0
215029 미니 도매인 이름 제가 한거임 생색 [1] file 놋철씁니다 18.06.27 586 0
215028 미니 안녕하세요~~ [2] 프로겐 18.06.27 422 0
215027 미니 닉넴 변경 놋철씁니다 -> Minny Minny 18.06.27 243 0
215026 미니 안녕하세요. 기립갤식입니다. [3] 기립갤식 18.06.27 532 0
215025 미니 KT LTE측정 [1] file Minny 18.06.27 357 0
215024 미니 구 미게 복구되었습니다. [1] Minny 18.06.27 379 0
215023 미니 소식 듣고 와봤는데... 상당히 좋네요 [1] 기븐 18.06.28 543 0
215022 미니 피난소 와봤습니다 [1] 늙은이 18.06.28 332 0
215021 미니 기어S4, 갤럭시노트9과 함께 공개예정 BarryWhite 18.06.28 310 0
215020 미니 픽셀3 & 픽셀3XL 디자인 [2] file BarryWhite 18.06.28 344 0
215019 미니 놋9 루머 BarryWhite 18.06.28 216 0
215018 미니 애플, LGD에 OLED 400만장 주문? BarryWhite 18.06.29 139 0
215017 미니 유출된 서피스폰 사진 file BarryWhite 18.06.30 369 0
215016 미니 스피어닉 -> 스피어 닉변했습니다 ㅅㅅ [2] 스피어 18.06.30 226 0
215015 미니 오늘도 미게는 시간을 달립니다 [4] 블랙로봇 18.07.02 247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