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urA

미니 사실 예전 한국통신이 다 했다고 봅니다.

  • AurA
  • 조회 수 1189
  • 2022.10.18. 11:06

관리자님 그러지는 않으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만일 이글을 지우시려면 통화 녹음 금지법 입법 당시의 글들도 전부 지우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 말해지는 망 사용료 이야기도 정치 이야기입니다. 그것도 지우시고 지우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은 단순히 kt의 민영화가 문제라는 글 입니다. 이 글이 문제면 통녹 금지 망사용료가 문제라는 글이나 찬성이라는 글이나 전부 정치 글입니다. 

 

그 이외에 모든 법이나 국가와 관련된 통신사나 기기 이야기들 예를들어 TV 1등급 화질 전파인증 이야기 해외기기중고 판매 이야기 공유기 커버리지 이야기 등등등 같은 이야기도 전부 지우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오히려 민영화로 망가졌죠. 

 

공기업일때 까지는 인프라가 괜찮았습니다. 

 

민영화 이후에 당연히 중요한건 마진입니다. 

 

KT가 최소 공기업이었으면 인프라가 지금보다 훨 나았을겁니다. 5g 기지국 권고? 권고가 무슨 필요가 있나요 그냥 예산 책정해서 하면 되는데. Kt 가 하면 skt 도 했겠죠. 

 

기업이 마진을 축구 하는건 애플이 잘 보여주잖아요? 민영화로 효율 적이게 되었죠. 마진 남기는데 효율적이 겠지만요. 

AurA
Galaxy book Flex2 16GB 1TB

Galaxy S10e - Galaxy Z flip4

Galaxy Tap S7 8GB

Galaxy Buds Live

Aurvana Air
댓글
33
연월마호
best 1등 연월마호
2022.10.18. 11:07

이건 아주 개인적인 감상인데, 민영화/국유화는 미코에서 다룰 주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연월마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AurA 연월마호 님께
2022.10.18. 11:10

여기보다 kt욕먹는 곳이 또 있을까요? Kt욕먹는 이유가 민영화 때문이라는 글인데요.

 

통신사 담합 등등등 모든건 민영화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미코 에서 어떤 이야기를 하나요. 요즘 통신사 국유화 해야한다는 이야기도 나오는데 거기도 그렇게 쓰셨나요?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arlight
Starlight AurA 님께
2022.10.18. 11:11

미코에서 할 얘기가 민영화밖에 없으신가요.. 민영화, 국유화는 이념적인(=정치적인) 선을 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건드리기 위험한 주제긴 하죠.

[Star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best AurA Starlight 님께
2022.10.18. 11:17

그런식이면 통신망이야기는 하나도 하지 말아야지요. 전파인증 이야기나. 아이폰 1차 공개 이야기도 라지 말아야지요. 그거 전파인증 때문이고 그 전파인증은 당연히 나라에서 하는거고 그것도 정치 이야기 겠네요.

 

여기 외국에서 기기 사시는 분들도 다들 정치 이야기 하는 겁니다 그럼. 공유기 커버리지 불만 외국 펌 이야기 전부 정치 이야기니 하지 말아야지요.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arlight
Starlight AurA 님께
2022.10.18. 11:18

전파인증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정치인이나 정당이 있으신지요?

[Star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best AurA Starlight 님께
2022.10.18. 11:21

글쎄요. 떠올라야 정치인가요? 그럼 안 떠오르는 건 정치 이야기가 아닌가요? 제가 그럼 그게 언제든 그 법을 만든 사람을 찾아서 보여드리면 그때부터 미코 에서는 전파인증이아기가 정치 이야기가 되나요?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arlight
Starlight AurA 님께
2022.10.18. 11:23

그 법을 만든 정치인을 들이미시면 그 글은 미코기준에서 정치글 맞습니다. 어쨌든 이런 말씀을 드리려고 했던게 아니고 정치적인 사안이 될 수 있음을 염려하는 글에 다른데도 그렇게 썼더냐 하시는 말씀이 좀 심해보여서 그랬습니다. 딱히 싸우자고 댓글 드린건 아닙니다.

[Starligh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best AurA Starlight 님께
2022.10.18. 11:27

여기 통화 녹음 금지법 나왔을때 그 이야기 난리 났고 아무 제재도 없었습니다. 그건 현재 진행 형이고 누가 입법 했는지도 나옵니다. 

 

이 이야기가 문제면 그 이야기들도 문제입니다.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연월마호
연월마호 AurA 님께
2022.10.18. 11:12

통신사 국유화는 제가 글을 못 봤습니다..;;

(미게는 워낙에 띄엄띄엄 보는 편이라..)

다만 같은 글을 봤다면 제 견해는 동일합니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제 미천한 생각일 뿐이니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

[연월마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AurA 연월마호 님께
2022.10.18. 11:44

글쎄요. 하실수 있는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렇다면 통녹 금지나 망사용료 문제 등등 전부 정치 이야기입니다.

 

제가 민영화된 직접적인 정치 관련 이야기를 했나요? 아닙니다.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하엘무야허
2등 미하엘무야허
2022.10.18. 11:11

근데 제가 알기로는 그 KT 민영화는 IMF의 여파라고 알고 있는...

[미하엘무야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AurA 미하엘무야허 님께
2022.10.18. 12:01

그때도 공기업이었습니다. 완전 민영화는 나중 일입니다. 국가기관이었다가 공기업이 된 후 부분 민영화 후에 민영화가 된 걸로 압니다.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3등 범퀴
2022.10.18. 11:18

그럼 지금 한전처럼 40조 적자하면서 성과급도 임원들 다받아가나요?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삼둥이 범퀴 님께
2022.10.18. 11:22

그럼 흑자일때는요? 흑자일때는 한전 칭찬했나요? 그리고 성과금은 당연히 매년 주는 겁니다. 실질적으로 그거까지 해서 연봉으로 주는 거니까요. 

[삼둥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범퀴
범퀴 삼둥이 님께
2022.10.18. 11:28

흑자일 때가 낫죠 칭찬하든말든 그게 중요한가요? 

한전 민영화하자는 얘기가아니라 공기업 장점만 들고와서 얘기할꺼면 무슨 말도안되는 이야기냐 하는거죠

[범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Qkooqq
Qkooqq 범퀴 님께
2022.10.18. 11:23

한전으로 흑자보려고 하면 전기료가 말도안되게 오르겠죠?

[Qkooqq]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존버합니다
best 존버합니다 범퀴 님께
2022.10.18. 11:27

그 공기업 성과급은 사기업같은 성과급이 아닙니다

[존버합니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cjang01
scjang01 범퀴 님께
2022.10.18. 11:30

사실 적자는 한전이 사기업이었다면 그냥 전기요금을 올리면 다 해결되는 문제일뿐이죠. 지금 통신사들처럼요

[scjang0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닮은살걀
best 닮은살걀 범퀴 님께
2022.10.18. 11:39

그 성과급은 그냥 내월급 일정분 떼어놨다가 받는성격입니다..

[닮은살걀]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intake 범퀴 님께
2022.10.18. 12:37

한전 적자는 연료비가 발전단가에 반영이 안돼서 그래요

국내 발전 비중의 2/3이 석탄+가스라서 국제 유가에 영향 엄청 많이 받아요

근데 우리나라는 전기요금을 국가에서 고정요금으로 딱 정해놨기 때문에 한전이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몇년 전부터 한전 사장이 심심하면 신문에다 콩보다 두부가 싸다고 기사 투척했던 게 그런 이유에서였습니다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전산쟁이
전산쟁이 범퀴 님께
2022.10.18. 14:39

공기업이 흑자 낼려고 맘 먹으면  나 같은 서민 그냥 죽어 납니다. 

공기업은 항상 적자가 나야하고  그 적자는 세금으로  막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세금은 없는 사람 보다 있는 사람이 많이 내기 때문에....

[전산쟁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Qkooqq
best Qkooqq
2022.10.18. 11:22

솔직히 통신은 우정사업같은거라 생각해서 국유화 하는게 맞는 선택인거같기도합니다. 망 투자같은건 그냥 쌩돈 들이는거가도하고..

[Qkooqq]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Qkooqq
Qkooqq Qkooqq 님께
2022.10.18. 11:50

재국유화가 힘들다면 망만이라도 다시 국유화 하는 방향으로요

[Qkooqq]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삼둥이
2022.10.18. 11:23

서방선진국 중에 통신사가 국유화된 곳이 어디에 있나요? 공산주의 국가면 모를까

[삼둥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AurA
2022.10.18. 11:45

관리자님 이글을 지우시려면 통화 녹음 금지 이야기들 망사용료 문제들 다 지우시고 지우면 인정합니다.  통화 녹음 이야기는 분명 지금도 진행중인 정치 이야기임에도 아무문제 없었습니다. 본 글은 그냥 민영화가 문제라는 이야기로 정치와 아무 상관 없습니다. 만일 있다면 본문에 추가한 것처럼 모든 글들을 지워야 하지 않을까 사료 됩니다. 민영화가 문제라는 게 정치 이야기면 통녹 금지 망사용료 등등이 문제라는 것도 정치 이야기입니다.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Chrop
Chrop
2022.10.18. 11:32

재국유화는 헌법문제도 있고 한미 FTA까지 같이 걸려버립니다 돈문제도 있고요(어디서 보기에는 20조정도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Chrop]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시릴라
시릴라
2022.10.18. 12:23

통신사 하나 정도는 국영이면 좋을 거 같아요.

[시릴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intake
2022.10.18. 12:26

공공기관 적자에 신경쓰기 시작하게 된 건 -> 요거는 정치가 좀 엮여있습니다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urA
글쓴이
AurA intake 님께
2022.10.18. 12:33

저는 그게 kt의 민영화의 이유중 하나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이 정치에 관련 된거라면 그 부분은 삭제 하겠습니다. 

[Aur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intake
intake AurA 님께
2022.10.18. 12:41

KT 민영화 시기는 IMF 이후인 02년인데... 언론에서 공공기관을 적자/방만경영으로 본격적으로 때리기 시작한 건 08년 이후부터였을 겁니다

[intak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앗싸구리
앗싸구리
2022.10.18. 12:39

망은 국유화하고 알뜰폰처럼 사업자에게 망임대해주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서로 따로 망 깔고 각자 쓰는것보다 훨씬 효율적일듯 한데요.

[앗싸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하루살이
2022.10.18. 13:15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부분도 다 옛날 이야깁니다. 90년대까지만해도 경제성장률이 상향곡선이던 시절이니 행정부가 자원을 동원해서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었던거구요. 당시 철도청 주도로 고속철도 시대를 연거랑 선생님이 언급하신 초고속인터넷 인프라도 그랬죠.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릅니다. 이미 경제성장이 둔화됐고 공공기관들도 다 긴축모드로 돌아섰어요. 현 상황에서 국유화하면 전혀 득 안됩니다. 철도공사만 봐도 신기술 도입은 뒷전이고 무조건 경영합리화 명분으로 경비절감에 목메고 경쟁입찰로 최저가에 싸구려차 떼오는데 혈안되어있어요. 2000년대 이후로는 예전처럼 정부 주도로 발전을 이루어낸 분야는 거의 없다고 봐야합니다.

[하루살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지나가던호갱
지나가던호갱
2022.10.18. 13:58

사실 통신사가 국유화되어 있다고 지금보다 더 나을 거라는 보장은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오히려 더 안 좋을 수도 있습니다. 국영기업들은 태생적으로 사기업만큼 효율적일 수가 없어요. 차라리 기간통신사들의 외국인 지분율 제한을 풀어서 외국 통신사/자본도도 한국 진입할 수 있게 해서 경쟁을 좀 더 촉진하는 게 그나마 더 도움이 될 겁니다. 근데 이건 올해 입법에서도 제외되었더라고요..

[지나가던호갱]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881 13
핫글 미니 일본 여행 Day1-2 [10] file 후루꾸루 24.06.12 369 9
핫글 미니 갤럭시 카메라 아쉬운 점 [11] 미덕 01:53 688 5
핫글 미니 플립6 스냅에 12기가에 [18] 빅코 24.06.12 978 4
177207 미니 결국 샀습니다. [4] file 그렇군요 22.10.26 634 5
177206 미니 혹시 폴드3 배터리점검 이런거 보신분 [4] file 골몽 22.10.26 433 1
177205 미니 아... 살까요...? [12] 그렇군요 22.10.26 919 1
177204 미니 애플은 레퍼런스 음색을 쫒아가는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9] WayBack 22.10.26 527 7
177203 미니 그나저나 탭S7 시리즈는 벌써 마지막 판올림이네요. [7] 늘늘늘 22.10.26 1029 5
177202 미니 아이폰 복잡한 암호 [6] 레몬생강차 22.10.26 732 2
177201 미니 버즈 시리즈 가격 방어가 엄청 안되네요 ㄷㄷ [14] qp 22.10.26 817 3
177200 미니 서피스9 Pro (i) 벤치결과도 나왔네요. [17] file Futuristics 22.10.26 830 2
177199 미니 뭔가 갈수록 스마트폰 시장 포자션들이 혼란스러워용. [4] MiKor82 22.10.26 652 1
177198 미니 옛날엔 밸류팩 업그레이드라는 것도 있었는데... [1] file MrGom™ 22.10.26 585 3
177197 미니 테크기어캐스트님도 서피스 사셨나 보군요. [4] file 룬룬 22.10.26 652 3
177196 미니 Freeform이 뭔가요? [1] file PatGelsinger 22.10.26 536 0
177195 미니 폴드4 베타 2차 후기 [3] ipksklee 22.10.26 608 0
177194 미니 마소가 서피스 프로9에 arm 라인 합쳐 내는게 별로 같아요. [6] 띠링 22.10.26 528 0
177193 미니 MS. 윈도우11 22H2를 위한 비 보안 업데이트 미리보기 KB5018496 배포. [1] 스퀴니 22.10.26 380 1
177192 미니 16.2에서 외장 모니터 확장 돌아와서 이걸로 일해보는 중인데 RBPT 22.10.26 238 1
177191 미니 결국 폴드 회전은 2개로 분리가 되기로 했군요 [2] file S펜내장기원 22.10.26 849 4
177190 미니 S21은 베타 더 안나오고 바로 정식으로 가려나요 [6] Chrop 22.10.26 498 2
177189 미니 제가 강박증 있는지 몰랐어요 [12] 아이폰14프로 22.10.26 681 1
177188 미니 연구결과 - 비디오게임, 아이들에게 '인지능력 이점' 제공 가능성 [3] 스퀴니 22.10.26 441 1
177187 미니 플립4는 베타2차펌 떴다고 하네요 [2] file aleji 22.10.26 485 1
177186 미니 macOS 스테이지 매니저 대충 휘갈겨 쓴 첫 경험 후기 [7] Lime 22.10.26 1292 2
177185 미니 애플 소프트웨어 역량 정말 예전만큼 못하네요. [9] 어디로가야합니까 22.10.26 1038 7
177184 미니 애플 : EU 규칙 따라 아이폰 및 애플 기기 USB-C 전환할것 [7] 다람쥐 22.10.26 896 12
177183 미니 S23, 탭S9 시리즈 KVM 활성화되면 짱이겠네요? [9] file 흡혈귀왕 22.10.26 1076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