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익명 게시판 *(파일럿)익명으로 대화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저격 #정치 #친목 금지

백신 미접종자의 코로나 감염 후기

저는 백신 미접종자입니다

 

진짜로 1차도 안 맞은.. 어찌 보면 희귀한 케이스죠

 

덕분에 당시에 학급에서 출결 관리한다고 백신 접종일을 조사하는 바람에 좀 눈치가 보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랬던 제가 올해 3월에 코로나 확진을 받았었는데

 

최대로 열난 게 37.8도... 아직도 기억합니다 

 

목 통증이랑 두통 빼면 의외로 열이 안 나서 놀랐던 기억이 있네요

 

현재 저희 동생이 코로나에 걸렸는데 

 

첫 날 열이 38도까지 올라가고 3일이 지난 지금 "정상 체온"을 유지 중입니다

 

반면 확진 당시 백신 3차까지 맞으신 저희 아버지는 상당히 고생하셨다고 하시네요

 

물론 백신 접종 여부만으로 이 모든 걸 단정지을 수는 없고, 연령, 건강상태 등 여러 요소를 따져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제가 안티백서는 아니고 백신 접종은 개인의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개인의 선택"이 존중되지 않는 사회를 봐왔기 때문에 좀 아쉬운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일반화할 수는 없겠지만 우선 저희 가족은 그랬었네요...! 

 

P. S. 진짜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는 건데 백신 안 맞고 어디 싸돌아다니고 그런 건 아니었습니다. 기숙사에서 집단감염이 터져버렸어요 ㅠㅠ 

댓글
22
best 2등 익명의 미붕이
2022.12.05. 09:11

1차 접종 시작될 당시의 치사율 높았던 코로나와

지금 유행하는 치사율이 많이 낮아진 코로나 변이는 많이 차이가 있죠 :) 

 

선생님께서 올해 코로나변이에 감염되셨을때 증상이 심하지 않았던건 다행이지만,

변이가 아닌 초기 코로나에 감염되셨었다면 또 달랐을거기때문에 그냥 운이 좋았다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익명의 미붕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15029964 익명의 미붕이 님께
2022.12.05. 09:20

치사율이 낮아진게 코로나가 약해져서 그런게 아니라 백신접종으로 인해서 그런거라....ㅎㅎ

[익명의 미붕이1502996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15029964 익명의 미붕이61058222 님께
2022.12.05. 09:26

변이될수록 치사율이 낮아진다니요...? 🙃

[익명의 미붕이1502996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익명의 미붕이47421021 익명의 미붕이15029964 님께
2022.12.05. 09:28

모든 전염병은 변이가 일어날수록 치사율이 낮아지고 전염력이 높아져 더 많은 숙주에 감염되는, '성공적인' 방향으로 진화합니다. 전염병의 가장 기본적인 현상 중 하나입니다.

[익명의 미붕이4742102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15029964 익명의 미붕이47421021 님께
2022.12.05. 09:40

치명율과 전파력은 당연히 반대되는 개념이긴한데, 모든 바이러스의 변이 단계가 갈수록 치명률은 낮아지고 전파력은 높아진다고 감염학에서 그렇게 가르치나요? (제가 의대에서 공부를 안해서 모르고 지나갔을 수도 있지만🤣) 사실 코로나도 변이형이고 매년 신종인플루엔자도 변이형이지 않나요? 

[익명의 미붕이1502996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익명의 미붕이47421021 익명의 미붕이15029964 님께
2022.12.05. 09:50

네, 의과대학 뿐만 아니라 전염병을 다루는 모든 자연/사회과학 학문에서 그렇게 가르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SARS-CoV-2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새로운 아형(Strain)이고, 오미크론(BA)는 SARS-CoV-2의 새로운 변이(Variant)입니다. 언제나 변이는 일어나고, 그 중에서 전염력이 크게 높아지게 된 변이만 저희가 알게 되는 것이죠.

새로운 아형(Strain)이 새로 탄생할 때에는 보통 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치명률도 올라가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Strain이 성공적인 우세종이 되면 거기에서 나타나는 변이(Variant)종은 점점 치명률이 낮아지고 전염력이 올라갑니다. 정확히는 치명률이 낮아지고 전염력이 올라간 변이가 여러 변이 중에서 성공하는 것이죠.

[익명의 미붕이4742102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56677248 익명의 미붕이15029964 님께
2022.12.05. 10:25

이걸 아직도 모르고 계셨다는게...

언론에서 조차 하도 떠들어서 기본 상식과도 같은 의학 지식인

[익명의 미붕이5667724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47421021 익명의 미붕이56677248 님께
2022.12.05. 10:35

법칙은 아니고 '현상'이라 모든 단일 사례에 꼭 맞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델타 변이의 경우에는 전염성과 함께 치명률도 크게 상승해서 당시 의료붕괴를 걱정하게 되는 주 원인이 되었습니다. 모든 경우에 대해서 무조건 맞다고 볼 순 없는 거죠.

다만, 장기적으로 볼 때 경기가 우상향하듯,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전염성이 높아지고 치명률이 낮아지는 쪽으로 가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 우세종인 오미크론도 초기종인 B.1.1.7에 비해서 전염성은 매우 높아지고 치명률은 낮아졌듯이요.

[익명의 미붕이47421021]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15029964 익명의 미붕이56677248 님께
2022.12.05. 12:28

치명률이 높은건 전파력이 당연히 낮으니, 시간이 지날수록 우세종은 치명률이 낮은 변이가 되죠. 이는 변이들 우세종의 추이를 발견할때 보는 방식인거죠. 이는 변이종간의 향후 추이를 보는 예측 일 뿐이고 이를 제가 그걸 모른다는게 아닙니다. 근데 말씀하신 건 변이 자체가 항상 치명률이 낮고 전파력은 높은 방식으로 돌연변이가 발생한다는건 자연법칙적으로 말이 안되는 것 같아서, 그럼 역사적으로 모든 감염병은 이전 감염병보다 낮은 치명률을 가지는 변이종들만 나타난다는 이야기와 같잖아요?! 제가 가진 상식으로는 아닌것 같은데, 나중에 찾아보거나 동료한테 물어봐야겠어요 ㅎㅎ 

[익명의 미붕이1502996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71714799 익명의 미붕이15029964 님께
2022.12.05. 12:21

윗분께서 잘 설명해주신 것 같은데

- 치명률이 낮은 방향으로'만' 진화 X

- 치명률이 낮아야 우점종으로 등극 O

=> 장기적으로 치명률이 낮은 방향으로 진화

치명률은 통계치이기 때문에 백신의 효과도 물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점종의 치명률 자체가 낮아지기 때문에도 감소. 특히, 백신이 변이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변이의 치명률 자체가 감소하는 것도 고려해야 함.

[익명의 미붕이71714799]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81178637
2022.12.05. 10:28

저도 걍 코로나 끝까지 안맞을 생각이었는데

올해 초에 무슨 미접종자는 영화관 식당은 물론이고 마트까지 못가게하려고 하길레 어쩔수없이 두 번 맞았는데

참 기분이 안좋더군요.

물론 아직도 감염된적 없고 사무실에 코로나 한바탕 휩쓸고 지나갔을때도 멀쩡했습니다.

같이 얼굴맞대고 밥먹으신분이 이틀 뒤에 확진됐을때도 말이죠

[익명의 미붕이81178637]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
2022.12.05. 10:59

아버지께서 아스트라제네카 맞으시고 부작용을 지금까지 겪고 계셔서 저희 가족은 모두 백신을 맞지 않았습니다.

저는 올해 초 델타변이 막바지에 걸렸었는데 37도 중반의 미열이 1주일 이상 지속되더라구요.

감기 증상보다도 후각상실이 훨씬 불편했습니다. 단계적으로 복구되는데 1달쯤 걸렸었네요.

이후 잘 지내다가 올해 여름쯤 다시 비강이 수영장에서 코로 물 들이킨 듯 쎄하길래 검사해보니 양성이었습니다만, 열은 커녕 간단한 감기증상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은 채 지나갔습니다.

[익명의 미붕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
2022.12.05. 12:09

변이할수록 치사율은 낮아집니다.

어디서 배우는게 아니라 코로나 변이만 봐도 몇몇 예외를 제외하곤 그렇죠

 

여튼... 저도 지금 확진자들 예후를 보면 3월에 미리 걸려둘걸 싶기는 하더라구요. 

[익명의 미붕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익명의 미붕이57360264
2022.12.05. 12:23

사실 기숙사생활 하시면서 백신 안맞을 수 있었다는것만 해도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주위 시선이나 활동 제한은 그 선택에 따라오는 책임인거구요

그나저나 증상 가볍게 넘기셔서 다행이네요

[익명의 미붕이57360264]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글쓴이
익명의 미붕이92309908 익명의 미붕이36654229 님께
2022.12.05. 14:30

개인 사정상 매주 외출 나왔었는데 매주 PCR 받고 들어갔었습니다

[익명의 미붕이92309908]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47306346
2022.12.05. 13:12

저는 맞고 영구적인 후유증얻어서 아무에게도 추천안해요.  어쩔수없이 3차까지 맞았지만요

[익명의 미붕이47306346]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익명의 미붕이36371023
2022.12.05. 17:52

저는 기저질환자라 3차까지 맞았습니다 근데 코로나 걸렸고 고열에 몸살에 죽는 줄 알았어요 ㅋㅋ 심지어 주변 사람들한테 전파까지 했구요 그래도 기저질환자니까 중증 예방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4차도 예약은 해놨습니다 

[익명의 미붕이36371023]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익명 게시판 이용 수칙 210721 [8] 21.05.25 16725 8 -52
핫글 코팅팽 다 긁혀서 마음이 아프네요 [14] 24.06.24 113 6 0
2880 서로의 존중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6] 22.12.12 476 11 0
2879 미게 분위기 좋군요 [4] 22.12.12 302 5 0
2878 알바 일주일 전 그만둔다고 말하는 거 [4] 22.12.12 289 3 -2
2877 은행은 왜 영문이니셜을 이름 앞에 붙여쓰는걸까요? [6] 22.12.12 397 2 0
2876 우리나라가 미래 먹거리는 잘 연구개발하고 있을까요 [3] 22.12.12 330 1 0
2875 호날두 만세 [9] file 22.12.11 401 4 0
2874 맥북에어 2011 사용중입니다 22.12.11 205 0 0
2873 알바 주말 지나야 연락 오겠죠...? [2] 22.12.11 321 0 0
2872 체벌, 폭력은 정당화 할 수 있는 일인가요? [13] 22.12.10 385 0 0
2871 요즘 갤럭시 스페이스 줌이 먹혔나봐요 [10] 22.12.10 434 2 0
2870 갤럭시 워치 삼성페이 가능성은 없는건가요? [10] 22.12.10 449 2 0
2869 크로아티아 -> 22.12.10 219 2 0
2868 와 크로아티아... [2] 22.12.10 336 1 0
2867 디스플레이 잘알 계신가요? [6] 22.12.08 491 3 0
2866 다음폰 뭘사야할까요ㅜ [8] 22.12.08 327 1 0
2865 삼성페이가 한국 NFC결제 보급에 큰 영향을 끼친게 맞을까요 [10] 22.12.08 510 1 0
2864 회사 꼬라지 개판이네요 [2] 22.12.08 453 4 0
2863 헛소리하는 사람들의 마음가짐 22.12.08 215 5 0
2862 오늘 바쁩니다. [2] 22.12.07 282 5 0
2861 코픽스 변동금리 쎄게 맞았네요. 22.12.07 225 2 0
2860 ios 노래가 저절로 멈춥니다 [2] 22.12.06 269 2 0
2859 모두가 사지 말라고 말렸던 '그 폰' 하루 후기 [6] 22.12.06 561 5 0
2858 축협 언플 좀 추하네요. [9] 22.12.06 659 7 0
2857 가족 중 2명이 코로나 확진이면 [4] 22.12.06 326 4 0
2856 아오 신한카드.. [1] 22.12.05 280 0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