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quStar

미니 스냅 8 Gen 2 도 피크성능엔 연연하지 말아야 합니다

  • AquStar
  • 조회 수 1951
  • 2022.12.23. 16:57

title-1024x768.jpg

2021120101000056300001741.jpg

 

다들 알다시피 최근 몇년간 안드로이드 진영의 심장인 AP는 정말 끔찍하다는 말 밖에 할 수 없었습니다.

퀄컴이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TSMC를 떠나 삼성 파운드리를 선택한 탓이기도 하지만

애플을 제외한 퀄컴을 대표로 한 ARM기반 칩제조사들이 어떤 노선을 탈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이야기도 해봅시다.

 

150325-phones-feature-qualcomm-snapdragon-865-image1-xkbzusucjf.jpg

 

ARM을 기반으로 한 칩 중 장점을 살려 저전력, 저발열을 메인으로 삼은 퀄컴의 마지막 칩인

스냅드래곤 865 시리즈 출시 당시에는 애플의 A칩에 성능으로는 밀렸지만 적어도 최근 몇년간 시달린

발열 이슈는 없던 명기라고도 합니다. 다만 ARM진영에서도 애플의 A칩을 따라잡을 칩셋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기도 했고, ARM Cortex-X 시리즈와 함께 일단 "전기를 쑤셔넣어봐" 로 방향을 전환합니다.

 

그 결과 스냅드래곤 865 대비 스냅드래곤 888 은

멀티스레드 성능 9% 향상을 위해 소비전력 37% 가 증가합니다.

888 대비 8 Gen 1은 9% 향상을 위해 소비전력 22% 가 증가했죠.

 

안드로이드 AP CPU.jpg

 

문제는 10W 이상의 전력사용량을 자랑하는 피크점수는 모바일 AP 에 전혀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동영상의 인코딩, 그리고 벤치마크를 실행하는 동안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데스크톱도 항상 CPU, GPU 100% 풀로 갈구는거 아니다시피

스마트폰의 CPU는 대부분 3~5W 정도의 전력사용량에서 대부분의 활동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상단의 그래프를 보면 낮은 부하에서 같은 전력을 소모할 때 스냅 888 과 8 Gen 1 은 모두 스냅 865 보다 성능이 달립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조사가 선택할 수 있는건 전세대와 동일 성능, 혹은 더 좋은 성능을 내기 위해 같은 작업에서 더 높은 전력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결국 높아진 전력소모량 만큼 발열이 증가합니다.

 

다행히 퀄컴은 자신들의 실수를 뒤늦게나마 깨닫고 삼성파운드리를 떠나 TSMC로 돌아가

덕분에 8+ Gen 1 은 865 보다도 전체적으로 나아진 성능을 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8 Gen 2 에서 다시 한번 욕심을 낸 퀄컴.

피크성능 긱벤치 5000점을 내기 위해 오히려 최대 전력 소모는 8 Gen 1 보다 높아집니다.

전체적인 전성비는 좋아졌다지만 11W 가 모바일 AP가 먹을 전력량은 아니죠,

게다가 이 긱벤치 5000점에 해당하는 성능을 모바일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위 그래프의 빨간 칸에 해당하는 3~5W 구간의 전성비가 월등히 증가하면서

벤치딸이 아니라 실제 체감 성능향상 및 배터리 효율이 꽤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드로이드 AP CPU 삼성 커스텀.jpg

 

그리고 루머대로 갤럭시 전용 오버클럭된 스냅드래곤 8 Gen 2 를 예상해보면 이렇게 볼 수 있을겁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이 중국 8 Gen 2 폰들이 긱벤치 5천점을 넘고 있는데

갤럭시의 유출된 긱벤치 멀티 점수가 5천점이 없다면서 발열 문제를 예상하고 있는 와중

갤럭시 전용 오버클럭 8 Gen 2 가 기본칩과 전력소모가 같은데 클럭만 향상된다면

10W 이상 소모하는 긱벤치의 허황된 멀티점수와 별개로 같은 전력 소모 대비 10% 에 가까운 성능향상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AP GPU.jpg

 

GPU 부분에서는 지금까지 복도에서 손들고 서있던 8 Gen 1 도 변명의 여지가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888 혼자 계속 복도에서 손들고 서있어야 하네요.

스냅드래곤 865 를 비롯한 이전세대까지 계속 우울했던 GPU 성능은 8 Gen 1 의 등장으로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다만 역시 8 Gen 1 의 전성비는 매우 좋지 않습니다.

 

이론상 8 Gen 1 의 CPU와 GPU가 모두 최대 클럭으로 작동하면 22W 를 사용할 정도니 도대체 삼성 파운드리가 뭘 만들었는지 알 수도 없을 정도입니다.

 

그나마 CPU에서 주춤하던 퀄컴은 GPU 에서 8+Gen 1 에서 전력소모량을 줄이고 8 Gen 2 에서는 성능향상을 추가로 성공합니다. 

물론 GPU 사용량 역시 벤치마크와 별개로 실사용에서는 3~5W 구간이 가장 실용적입니다.

이쪽에서도 대폭 성능향상을 볼 수 있죠

 

 

Screenshot-20221222-171104.jpg

 

https://www.phonearena.com/news/snapdragon-8-gen-2-chip-test-gpu-gaming-vs-apple-a16-iphone-14-pro_id144427

 

다만 모바일 환경에서 20~30분 이상 섭씨 40도 전후로 스로틀링을 억제할 수 있는 전력사용량은 5~6W 전후로, 8 Gen 2 가 아무리 성능과 전성비가 모두 향상되었다고 해도

최대 9W 에 가까운 전력소모량을 스로틀링 없이 잡아내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야 합니다.

 

중국 제조사들의 스냅드래곤 8 Gen 2 모델이 출시되면서 Vivo X90 Pro+ 의 벤치마크 테스트 등을 보며

8 Gen 2 의 3D마크 안정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일명 "착한 온도" 와 안정성을 둘 다 잡는건 최신예 모바일 AP 시장에서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냅드래곤 8 Gen 2 의 CPU&GPU의 깡성능 및 전성비 향상은 몇년간 침체되어 있던 안드로이드 AP 가 오랜만에 기지개라도 펼 수 있는 상황이 아닌가 합니다.

댓글
12
스퀴니
1등 스퀴니
2022.12.23. 17:02

본문 내용 대부분 이해되는데 저 중간에 삼성커스텀 오버클럭 버전이 그렇게 초록선으로 나올수 있을까요??

잘 모르는 분야이지만 저런 그래프는 나올수 없다고 아는데..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gamma
gamma 스퀴니 님께
2022.12.23. 19:25

혼자 개선 공정 적용이면 모를까 현실적으로 같은 물건 중에 클럭마진 좋은거 선별했을거라 저렇게 나오기 어렵지요.

물량까지 따져보면 단순 오버클럭버전일 가능성이 높아서 피크 클럭에서 전력 더 먹을 가능성이 높고요.

[gam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스퀴니
스퀴니 gamma 님께
2022.12.23. 20:09

네 저도 그럴거 같아서 적은 댓글이었습니다

[스퀴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털고양이
2등 털고양이
2022.12.23. 19:59

클럭이 올랐는데 전력소모가 같다는 것이 어디 출처인가요?

그래프가 저렇진 않을것 같은데..

전력소모가 낮은 칩을 골라낸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고 하던데요

[털고양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3등 Eomjunsik
2022.12.23. 18:50

저도 항상 AP는 전성비만 보면 된다고 봅니다. 긱벤치 점수, 삼디막 안정성.. 다 무슨 의미가 있는 지표인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이미 현대 AP는 스마트폰이 요구하는 성능을 아득히 뛰어넘은지 오래입니다.

[Eomjunsik]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요그
요그
2022.12.23. 17:13

옳은 말씀입니다. 피크성능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내냐가 더 중요하지요

그래도 이번 8젠2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속성능도 꽤 개선된거 같거든요

[요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케이비어
best 케이비어
2022.12.23. 17:47

그렇다고 해도 "우리는 성능 향상이 없는대신 전성비를 챙겼습니다"라고 광고했다가 먹힐지 잘 모르는 상황이라 그것도 나름 도박인듯해요..

[케이비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르자
나르자
2022.12.23. 17:53

요즘 스펙 올려치기라는 못된 버릇이 자꾸 도지고 있는데

거장들의 쓴소리가 필요하다고 보긴 합니다.

[나르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노틀담의꼽추
노틀담의꼽추
2022.12.23. 19:28

애플도 빅코어는 피크성능 조금올리려고 지나치게 전력을 소모하는 경향이있는데 애플은 미들코어에가까운 전력효율 사기인 리틀코어로 커버를치니 해당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데 안드로이드는 그렇지못하죠.. 리틀코어가 워낙구리니..

 

[노틀담의꼽추]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다물
다물
2022.12.23. 20:51

기술의 한계로 모바일부터 pc까지 전력 먹여서 억지로 성능 올리고 있죠. 특히 모바일 칩은 배터리를 사용해서 발열과 전력사용량에 민감한데 말이에요.

[다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dlwlrma
dlwlrma
2022.12.23. 23:56

888 8gen1급의 설사급 성능은 아닐거라고 봅니다...

[dlwlrm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558 13
핫글 미니 버즈3 프로, 워치 울트라가 벤츠 출신 디자이너 첫 제품이라네요. [40] file Stellist 24.06.25 1856 26
핫글 미니 스마트태그2 업데이트 [13] file a1001 24.06.25 1034 12
핫글 미니 갤럭시탭 S9 FE 질렀습니다 [8] file Pepsi베어 24.06.25 682 6
181631 미니 JBL은 다 좋은데.. [7] file 고라니는멋져 23.01.02 463 3
181630 미니 모토로라야..모토로라야..안드13을 내놓거라.jpg [1] file 스퀴니 23.01.02 403 0
181629 미니 15w 무선충전속도 엄청느리네요 [5] 출사표 23.01.02 618 0
181628 미니 맥북에어 얼리 2014뭐에 써야할까요? 찰랑찰랑 23.01.02 222 1
181627 미니 S22U 튜닝한 GCAM으로 찍어서 라이트룸 보정한 결과물입니다. [6] file 쿠키스무디 23.01.02 788 7
181626 미니 삼성케어 플러스 쓰는데 갤럭시 폴드4 생폰 괜찮을까요??? [4] 파랑새 23.01.02 1202 1
181625 미니 시각적, 비주얼, 빚얼 file AlieNaTiZ 23.01.01 447 0
181624 미니 불치병 고쳤습니다 [2] file KIKIRAKA 23.01.01 998 3
181623 미니 s23은 사전예약 혜택이 중요하겠네요. [10] 이시우배찌 23.01.01 1276 3
181622 미니 인텔e코어가 면적에서만 효율적인건 아닙니다 [12] 노틀담의꼽추 23.01.01 997 3
181621 미니 서피스 프로 8 i5로 원신 가능할까요? [11] KIKIRAKA 23.01.01 1761 0
181620 미니 그냥 S20때는 없었지만 S21부터 생긴 티어 구분을 짚어보자면 [4] microLED 23.01.01 963 0
181619 미니 웹 페이지를 데스크톱 앱으로 전환하는 Gluon 등장. Electron의 대체제 [2] 스퀴니 23.01.01 478 1
181618 미니 윈도우11 파일 탐색기 오류 [2] 숨겨진오징어 23.01.01 259 0
181617 미니 28w 이하에서 인텔과 AMD는 [18] astra 23.01.01 777 0
181616 미니 S10도 덱스모드에서 UHD 출력되는군요. 흡혈귀왕 23.01.01 395 2
181615 미니 좋은 공유기를 쓰면 뭐가 좋나요 [11] file RBPT 23.01.01 1301 14
181614 미니 글로벌 갤럭시 S23,23+ 8GB & 256GB 시작은 국내에선.. [9] 다람쥐 23.01.01 1278 4
181613 미니 인텔과 암드보면 꼭 제품이좋다고 잘팔리는건 아닌거같더라고요.. [27] 노틀담의꼽추 23.01.01 887 1
181612 미니 공유기 고장났네요 👍 [8] 내이름은커난 23.01.01 647 0
181611 미니 케이스,보조배터리,맥세이프 핑거링 file 출사표 23.01.01 308 0
181610 미니 1월 3일. 마이크로소프트와 FTC간의 첫번째 재판 전 청문회 열려 스퀴니 23.01.01 169 0
181609 미니 2022 마지막날에 샀슈 [2] file Tabs 23.01.01 535 6
181608 미니 삼성 4nm 5nm 수율 좋다는 글을 봤는데 [8] 갠냑시 23.01.01 1183 1
181607 미니 s23 플러스는 별로일려나요? [7] 이시우배찌 23.01.01 913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