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quStar

미니 스냅 8 Gen 2 는 무엇을 기대할까? 8 Gen 1 의 문제점에 대해

  • AquStar
  • 조회 수 1613
  • 2022.12.30. 22:50

 컴퓨터 칩의 공정개선이 더뎌지고 있는 와중 새로운 신제품들은 전세대 제품들보다 성능을 향상시켜야 하는 것이 기업이 해야 할 일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 세대별로 설계변경을 통한 성능의 향상이 한계에 다다르는 현재.

 

 가장 쉽게 칩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은 높은 전력을 할당하는 것으로, 같은 공정의 같은 제조설계라면 전력을 많이 할당받을 수록 성능은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높은 전력의 소모는 필연적으로 높은 수준의 열을 발산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크기의 폼팩터에서 30분 이상 섭씨 40도 안팎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꾸준한 성능을 내게끔 할 수 있는 최대 전력소비량은 기껏해야 5W 내외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스마트폰 AP의 소모 전력은 높아져만 갔고 안드로이드의 칩셋과 애플의 A칩 모두 멀티코어를 모두 최대 소비전력은 10W 를 훌쩍 넘기게 됩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작업은 기껏해야 4W 이내에서 발생하며 심지어 AP를 혹독하게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는 원신 같은 게임에서 조차 CPU와 GPU를 모두 합쳐 5~7W 사이의 전력만을 사용합니다.

 

 결국 위와 같은 이야기를 종합하면 스마트폰 AP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낮은 고점, 높은 고점" 이 아니라 고점은 낮더라도 저전력에서 높은 성능, 즉 저점이 높은 것이 체감성능과 배터리, 발열 모두 뛰어나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부분이 ARM 레퍼런스 코어가 매우 실망스럽고, 애플의 A칩이 매우 잘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스냅드래곤 CPU 비교 (멀티).jpg

 

 상단의 그래프가 퀄컴의 최근 몇년간의 플래그십 AP인 스냅드래곤 8 시리즈의 CPU전성비 곡선이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 멀티코어 2500점 부근의 소모전력입니다.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데이터는 TSMC의 4nm 공정인 스냅드래곤 8+ Gen 1 이나, 8 Gen 2 는 물론, 7nm 공정이었던 스냅드래곤 865 에 비해서도 삼성파운드리의 5nm, 4nm 공정인 스냅드래곤 888 과 스냅드래곤 8 Gen 1 의 동일성능 대비 소모전력이 높다는 것입니다.

 결국 888 이나 8 Gen 1 이 865 에 비해 고점은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작업에서는 같은 성능을 내려면 더 높은 전력을 소모해야 하고 그로 인해 더 높은 수준의 발열을 낼 수 밖에 없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심지어 CPU에 한해서는 888 에 비해서 8 Gen 1 이 더 전성비가 좋지 않아 삼성 파운드리의 4nm 공정이 얼마나 처참했는지 알 수 있는 직접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냅드래곤 CPU 비교 (싱글).jpg

 

 특히 삼성 파운드리의 4nm 공정 스냅드래곤 8 Gen 1 의 CPU 는 어느 부분이 문제였을까요?

 

 리틀코어를 무시하고 미들코어와 빅코어의 싱글코어 성능만을 비교했을 때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스냅드래곤 8 Gen 1 의 싱글코어는 빅코어인 ARM Cortex-X2 보다 A710 코어의 전성비가 더 좋지 않습니다. 극단적으로 말해 칩 사이즈를 키워 미들코어인 A710을 전부 제거하고 빅코어만 4개를 넣는 편이 오히려 더 전성비가 좋았을겁니다.

 그에 비해 TSMC가 제조한 스냅드래곤 8+ Gen 1 과 스냅드래곤 8 Gen 2 의 경우에는 빅코어의 전성비와 미들코어의 전성비가 비슷한 수준이거나 미들코어의 전성비가 더 좋은 구간이 있기 때문에 일상 작업에서 가장 부하가 많이 걸리는 미들코어의 전성비에서 상당한 향상을 볼 수 있습니다.

 

 

원신 테스트.jpg

 

 그렇게 실전 테스트를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스냅드래곤 8 Gen 1은 CPU부터 전성비가 좋지 않다보니 초기부터 CPU클럭을 상당히 높여 60프레임을 유지하는 초반 3분동안은 평균 7.6W 의 전력을 소비하는데 이는 A15 바이오닉이 탑재된 아이폰 13 프로 맥스의 5W 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위에서도 말했다시피 스마트폰 크기에서 5W 이상의 소비전력은 급격한 온도상승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스로틀링 기준이 상대적으로 여유있는 엔지니어링 기기조차 테스트 3분 이후 스로틀링으로 인해 CPU클럭의 저하, 그로 인한 게임 프레임 저하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스냅드래곤 888 보다 8 Gen 1 이 CPU 전성비가 좋지 않은 사실에도 불구하고 GPU의 큰 성능향상으로 실제 게이밍 성능은 비슷한 전력소모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수준입니다, 만약 스냅드래곤 8 Gen 1 의 GPU가 888 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소폭의 상승에 그쳤다면 상황은 더 악화되었을 것입니다.

 

 

SD8G2.jpg

 

 퀄컴은 2년간의 잘못된 선택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깨닫고 몇가지를 개선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제조 파운드리를 다시 TSMC로 변경한 것, 그리고 두번째는 코어의 구성을 1+3+4 에서 1+(2+2)+3 으로 변경한 것입니다.

 퀄컴이 4개의 리틀코어를 구성한 것은 부족한 리틀코어의 성능을 물량으로 공략해 리틀코어의 낮은 성능으로도 최대한의 효율을 당겨보자는 것이었지만 현실은 이상과 너무 달랐습니다. 리틀코어의 전성비도 딱히 더 좋지 못했고, 미들코어를 오히려 하나 더 늘리는 것이 앱 사용, 게임 등에서 더 효율적이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SD8G2 미들코어 비교.jpg

 

 많은 앱들이 이미 멀티코어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3개의 미들코어가 2.8GHz 만큼 필요한 작업을 한다면 4.7W 의 전력을 소모하지만 미들코어가 4개라면 2.05GHz 로 작동해 3.3W 의 전력만 있으면 됩니다.

 1+3+4 구성일 때 3개의 미들코어만으로 부족한 작업에서는 빅코어인 X코어까지 사용해야 했지만

1+(2+2)+3 구성에서는 빅코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그 성능을 발휘하고 전력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원신 테스트 2.jpg

 

 그렇게 스냅드래곤 8 Gen 2 의 원신 테스트를 보면 30분간 50대 후반 프레임을 유지하면서도 5.7~5.9W 로 스냅드래곤 8 Gen 1 당시의 7.6W 에 비하면 훨씬 적은 전력만으로도 게임을 구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대로 인상적인 부분은 CPU의 작동클럭, 빅코어는 1.5GHz 도 채 되지 않는 낮은 클럭으로, 미들코어 역시 2GHz 미만의 클럭으로 작동하면서 높은 프레임을 내는데 스냅드래곤 8+ Gen 1과, 8 Gen 2 의 CPU 성능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스냅드래곤 8+ Gen 1 과의 소비전력 차이도 인상적입니다.

 다만 이렇게 빅코어를 내리고 미들코어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스케줄러는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8 Gen 2 가 탑재된 다른 기기들의 분석도 봐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퀄컴은 2년간의 긴 방황을 마치고 다시 원래 부모의 품으로 돌아와 상당히 만족할 수 있을만한 칩셋을 출시했습니다. 그 실패과정에서 삼성 파운드리는 전체적인 전성비 뿐만이 아니라 빅코어보다 효율이 나쁜 미들코어를 만들어낸 잘못을 반성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TSMC의 제조로 많은 것이 나아졌다지만 여전히 "높은 고점" 에 집착하는 ARM레퍼런스 코어의 성능은 아쉽고 그렇기에 퀄컴의 차세대 CPU인 Oryon 이 더 기대될 수 밖에 없습니다.

댓글
9
Yoneki
1등 Yoneki
2022.12.30. 22:54

이미 전력기준 한참앞쪽에서부터 시작하는 삼성제 그래프...ㅠㅠ

어디서부터 잘못된걸까..

[Yoneki]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best 3등 Kerubim
2022.12.30. 23:16

발표에서 내세우기 제일 좋은 지표는 피크치 성능이다보니 다들 그쪽으로 치중할수밖에 없죠

그래도 공정개선에 정체가 오고 화룡으로 다시 데이더니 전력소모에도 좀 신경쓰는 게 다행이긴 합니다

[Kerubim]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비둘기야먹자
비둘기야먹자
2022.12.30. 23:26

폰에서는 가솔린보다 디젤엔진이 유리한거군요ㅋㅋ8gen2를 삼성에선 어떻게 셋팅할지 정말궁금합니다

[비둘기야먹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세츠나
세츠나
2022.12.30. 23:46

865가 괜히 명기라 불리는게 아니었군요

[세츠나]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오꾸리
오꾸리
2022.12.31. 00:15

애초에 전성비에서 TSMC N6 공정에도 처발리는 삼성의 4,5nm 공정이라...

[오꾸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경전철(이엿던것)
경전철(이엿던것)
2022.12.31. 00:27

A77+A55로 갔으면 N7보다 약간 잘나왔겠지만.. X1, X2, A510의 트롤이..

[경전철(이엿던것)]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나랏미
나랏미
2022.12.31. 00:30

근데 결국 저 수치들도 방열설계 잘되어있고 쓰로틀링 잘 걸지 않는 샤오미라서 저정도 나온거지 특정온도에서 칼같이 쓰로틀링 거는 갤럭시가 저렇게 나올거라곤 생각하기 힘들거 같네요

[나랏미]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한마루
한마루
2022.12.31. 07:01

캬... 이런 리뷰를 원했습니다. 정말.

[한마루]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109 13
핫글 미니 삼성 소프트웨어가 진짜 짜치는 점... [11] file Stellist 12:19 867 14
핫글 미니 스냅x 엘리트 에뮬레이팅 효율 엄청 좋다고 하네요 [9] updatefile 212212 14:21 403 10
핫글 미니 루머대로 E2500 수율문제라면 [22] update 톰슨가젤 14:10 496 8
206572 미니 라이젠모바일 드라이버 AMD직접배포로 포트나이트성능 20%향상 [2] 스퀴니 19.03.04 129 0
206571 미니 근데 다들 홍체인식 극혐하시네요.. [16] Minny 19.03.04 321 0
206570 미니 개통 아직도 안되네요 [1] 배붕이 19.03.04 81 0
206569 미니 노트FE가 가장 이상적인 생체인식 시스템이죠 [4] 갤럭시S2 19.03.04 214 0
206568 미니 갤럭시S10 슈퍼 슬로모션은... 여전히 화질은 기대하면 안되는군요. [7] Stellist 19.03.04 343 0
206567 미니 S11 향상될 부분이 [7] 쏘렌토 19.03.04 268 0
206566 미니 삼성의 자율주행 기술 [5] qazsdf 19.03.04 239 0
206565 미니 버즈 사은품 신청들은 하셨나요 [12] file Helix 19.03.04 328 0
206564 미니 삼성 노트 쓰면서 제일 유용하게 쓰는 게 [3] 트라이스타 19.03.04 156 0
206563 미니 디바이스 케어앱 업데이트 시급하군요 [2] file Helix 19.03.04 191 0
206562 미니 앞으로 4년 뒤면 EL-QLED를 볼 수 있을지 [10] 다잊어야해욥 19.03.04 234 0
206561 미니 빅스비 정말 유용하네요 [3] digital12 19.03.04 186 0
206560 미니 드디어 왔습니다 [7] 북극곰플 19.03.04 220 0
206559 미니 빅스비 맵핑 알림창 내리거나 올리게 할수 없나요? 로로 19.03.04 67 0
206558 미니 이번 S10에 소소한? 의미없는? 개선점 [5] 프라페노 19.03.04 242 0
206557 미니 삼성님 [성공]함께크는성장 19.03.04 134 0
206556 미니 사실 전 이때까지만 해도 화웨이 폴더블이 나아보였어요 [12]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03.04 322 0
206555 미니 SKT 5G 요금제 인가 신청은 28일에 했군요 file 숲속의참치 19.03.04 91 0
206554 미니 갤10+ 기본 전면카메라 버그인지... [1] wooing 19.03.04 172 0
206553 미니 과기부가 5G 푸쉬를 강하게 하네요 [3] 숲속의참치 19.03.04 171 0
206552 미니 [pic] 오늘의 갤럭시S10 사진 [13] file Stellist 19.03.04 444 0
206551 미니 액정파손보험은 삼성닷컴에서 가능하다고 [2] 은돌이 19.03.04 153 0
206550 미니 갤10 갤9보다 3d성능이 넘사로 좋아졌네요. [7] file 1200DMIPS 19.03.04 316 0
206549 미니 아 압력감지 홈버튼 빠진거 생각외로 적응이 힘드네요 ㅋㅋ [5] Helix 19.03.04 205 0
206548 미니 불사과 [7] file 비온날흙비린내 19.03.04 268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