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Ap좋은놈

미니 안드로이드폰은 사실상 치킨게임 시작한 건 아닐까요?

지금 글로벌 침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것 같습니다

 

사실상 900달러 이상 플래그시장은 애플이 90퍼이상 수익 독점 구조고

 

그 이하 안드로이드라는 공통 os 쓰는 제조사들은 수익악화가 날로 심해지고 마진이 매해 실적마다 줄어들고 있어서 레드오션중에 레드오션인데요

 

딱 자동차 시장에서 세단이마 경차 시장을 보는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고 중대형 선호로 북미에서는 많은 제조사가 세단시장 철수를 했죠. 포드 Gm 등이 세단은 아에 접었고 도요타 폭바도 라인업 대폭 정리했는데 안드폰도 이런 상황 아닐까요

 

국내에서도 박리다매로 경차수요가 많지만 알다싶이 경차 마진이 안드 보급형마냥 극악으로 낮아서 최근 국내 쉐보레도 인기모델이던 스파크 그런대로 팔려도 단종시켜버렸고요

 

뭔가 마진 즉 순이익은 줄고있고 심지어 시장초기와 다르게 폰 교체주기도 길어지고 있고 중고시장 비중이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는 시점이라 샤오미가 됐던 삼성이 됐던 bbk그룹이 됐던 최근 라인 축소 적자나 마진이 많이 줄고 있는데 

 

중국제조사 몇개는 중국부동산기업 마냥 당이 강제로 통합시키거나해서 치킨겜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삼성도 계속 이렇게 손놓고 고마진 시장 뺏기고 있지만 일단 안드로이드에서 차별화가 됐던 치킨겜이 됐던 이기고나서 900달러 이상 플래그시장 노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글이 길었는데 요약하자면

애플은 럭셔리 중대형 차량 vs 안드로이드는 경차 소형차

이런 구도로 수익성이 악화일로라 치킨겜이 시작되고 강한 1인 또는 2~3인이 살아남지 않을까 싶습니다

 

판매량이나 점유율로는 경차나 안드로이드폰이 많고 망할일 없는 수요가 있는시장이지만 마진이 극악으로 안남아서 기업들이 버티기 힘들다는거죠

댓글
6
rofl
1등 rofl
2023.01.13. 12:25

하이엔드 시장은 애플이 완전히 장악한 걸로 끝났고 중저가폰은 말씀대로 안드폰 제조사들만의 출혈경쟁 중인 것 같은데, 중저가폰에서의 위너가 되어도 하이엔드 재도전 성공은 불가능해 보입니다. 전세계 반응을 보면 사실상 하이엔드는 아이폰, 중저가는 안드폰으로 인식이 완전히 자리잡은듯해요.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이라세오날
2등 이라세오날
2023.01.13. 12:26

중국은 손해 봐도 어차피 공산당이 보조금 쥐어주면 그만이고, 내수빨도 있으니 안드에서 끝까지 살아남는건 중저가형 중국제 안드폰이 아닐지

 

플래그쉽은 극소수의 갤럭시(살아남는다면)와 대다수의 구형~신형 아이폰이 차지할것 같구요

[이라세오날]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rofl
rofl 이라세오날 님께
2023.01.13. 12:34

중국 내수도 애플이 많이 갉아먹는 중이라 중국 업체들 고민도 깊을 것 같습니다

[rofl]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패주초
3등 패주초
2023.01.13. 13:18

한국시장이 베가 엘지 블렉베리(?) 삼성 기타 브랜드였다가

삼성....뭐 구글? 대충 이렇게 정리되었듯이

중국도 그렇게 되겠죠

암만 14억 인구라도 지금 제조사는 너무 많고

이번 기회에 차차 정리될거 같은데

그렇게 합쳐진 중국회사가 삼성에게 본격적으로 위협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솔직히 삼성 바형폰이 이정도 까지 중국 공세에 버티는게 놀라워요 그냥 남들 다 하는 부품 넣고 하던대로 하는데

[패주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p좋은놈
글쓴이
Ap좋은놈 패주초 님께
2023.01.13. 13:21

개인적으로 삼성이 그나마 대항했던 가장 큰 이유는 미국 특히 트럼프 때 화웨이랑 zte 조져준 게 크다고 봅니다. 거기에 다해 천만다행으로 EUV 반도체장비 제재 가해서 7나노 이상 못가게 막은 것도 우리입장에서는 다행이고요

[Ap좋은놈]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코러스
코러스 패주초 님께
2023.01.13. 20:47

맨날 삼성 경쟁자라고 하던 샤오미는 부진에 빠졌죠. 중국회사가 삼성을 위협한다는 소리는 몇년전부터 나왔지만 플래그쉽 시장을 공략한 중국폰들은 다 망했고 중저가도 삼성이 약간이지만 우위긴 하죠.

[코러스]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963 13
핫글 미니 국내는 폴드6 플립6는 딱히 문제없을 것 같네요. [16] 엔당이희망입니다 24.06.13 1009 16
핫글 미니 OneUI 6 Watch 충전 애니메이션 [14] file 일.칠칠이사오삼팔오 24.06.13 1293 13
핫글 미니 미디어텍 정말 달리나보네요 [16] 흡혈귀왕 24.06.13 1361 11
183727 미니 엑시노스2400 양산계획 잡혔습니다 [15] 갠냑시 23.01.29 1218 4
183726 미니 2분기에 1KG 미만 15인치 신형 그램 출시 루머(?)가 있습니다 [16] file PatGelsinger 23.01.29 779 2
183725 미니 옛날에 상상한 미래 스마트폰 어떤게 있으신가요? [4] file 쏘고보니선임 23.01.29 536 3
183724 미니 NVIDIA의 쿼드 슬롯 GeForce RTX 4090Ti/TITAN 800W 그래픽 카드의 사진이 찍혔습니다 [1] file PatGelsinger 23.01.29 435 1
183723 미니 삼성전자는 메모리 산업에서 큰 고비에 직면해 있습니다 file PatGelsinger 23.01.29 492 0
183722 미니 방황하는 노트9 유저의 고민 Section31 23.01.29 331 0
183721 미니 아이폰 강화유리 뭐가 좋나요? [16] 미세먼지주의보 23.01.29 562 1
183720 미니 샀슈! [6] file 미세먼지주의보 23.01.29 485 10
183719 미니 현재 S23 스펙&가격 유출정보 신뢰성이 어느정도인가요? [5] CaffeineJuice 23.01.29 855 0
183718 미니 [단독] 갤22 발열에 놀란 삼성…2년간 '엑시노스' 안 쓴다 [4] file Aimyon 23.01.29 868 5
183717 미니 OneUI 5.1 개선점이 사실이라면 [2] [성공]함께크는성장 23.01.29 1021 1
183716 미니 갤럭시 S23 시리즈와 함께 출시될 OneUI 5.1 기능들 [5] AquStar 23.01.29 1629 15
183715 미니 점점 기기 용량에 대한 집착이 줄어듭니다 [10] file 크나앙 23.01.29 809 6
183714 미니 현재 의문(?)의 가성비폰 [7] 베이어 23.01.29 2335 21
183713 미니 이런 무선 충전기가 있을까요? [2] 룬룬 23.01.29 387 0
183712 미니 유튜브 어제부터 뭔가 이상해요 [1] 나르자 23.01.29 447 1
183711 미니 s23노멀기준 15만이라는 인상가격대비 스펙은 진짜 아쉽네요 [5] 황비서 23.01.29 983 7
183710 미니 솔직히 S23 판매량 현상유지정도같습니다. [8] 어디로가야합니까 23.01.29 878 0
183709 미니 전 s23보단 갤북3 울트라가 기대가 됩니다 [5] file 인헤리턴스 23.01.29 590 1
183708 미니 S23이 딱히 망할거같진 않습니다 [8] 코러스 23.01.29 1529 10
183707 미니 오늘 길게 나갈일이 있어서 14프로 배터리 테스트 해봤습니다. [10] file 닐멘 23.01.28 963 0
183706 미니 지금 루머상으론 S23 기본 모델도 512 있는거죠? [5] 천지수 23.01.28 999 0
183705 미니 리눅스의 Wine 8.0.. 어디까지 되나 테스트해봤습니다..jpg [9] file 스퀴니 23.01.28 741 6
183704 미니 모니터랑 사운드바 보고있는데 [3] file 출사표 23.01.28 402 0
183703 미니 삼성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써봤습니다 [5] file 쑥부쟁이 23.01.28 1495 1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