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코크니코알라

미니 2억화소? 1억화소? 4800만화소?

미코 눈팅하며 어쩌다 주워들은 지식으론 2억화소, 1억화소 이런 센서가 진짜 순수 2억, 1억 화소 센서가 아니라 들었어요.

센서크기 자체는 1억이나 2억이나 4800만이나 심지어 1200만이나 다 같을수도 있다더군요

대신 개별 픽셀의 크기를 쪼개 화소수를 늘린거라고요.

개별 픽셀의 크기를 줄이다보니 한 픽셀당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같이 줄어 4개, 9개, 16개의 픽셀을 하나의 픽셀처럼 묶어 동작시키는 픽셀비닝이 나왔고요.

 

여기서 하나 의문이 들었습니다. 센서 크기가 깡패다란 말이나, 굳이 픽셀비닝을 하는 이유, 이미지센서 신제품만 나오면 쏟아지는 각종 신기술들 모두 한 방향을 가리키는 것 같더라고요.

->센서에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고 최대한 손실없이 신호로 변환한다.

 

그렇다면 굳이 1억, 2억씩 되는 엄청나게 높은 화소를 가져감으로 얻는 이익이 뭔가요? 1200만 화소짜리에 그 각종 신기술들을 도입하면 더 좋은 센서가 되는거 아닌가요?

전문지식은 전무하고, 그냥 일반상식마저 부족한 저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댓글
15
Oxc.suga
1등 Oxc.suga
2023.01.18. 20:41

센서 화소와 판형자체는 별로 관계가 없는 것이 맞습니다.

고화소 센서의 이점이라면, 광량이 충분하고, 모든 조건이 탁월할 때, 디테일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고, 이것이 소형 기기 특유의 후보정 위주의 발전과 더불어, 하나의 기믹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가혹한 환경에서는 1200만 화소 오리지널 센서가 동 판형 기준으로 리모자이크 등의 화질 저하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고화소 센서보다 더 우월한 면이 있어, 중형-대형 카메라에서는 아직까지 고화소 열풍이 불지는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화소의 우월한 디테일이 중대형 카메라에 언제 적용될 지는 아무도 모르죠...

결국에는 디테일 측면에서의 이점을 가져가고자 하고, 동시에 마케팅적 측면을 강조(결국에는 숫자로 나타나는 것이니만큼...)하려는 풍조의 결합 아닐까요?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Oxc.suga 님께
2023.01.18. 20:44

그리고, 1200만 화소는 4K 촬영의 한계점이기도 해서, 단순 사진촬영 용도라면 충분할지도 모르겠지만, 8K 이상 고해상도 동영상 촬영시에는 48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 센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S21에서 3배 망원카메라가 1.08배 크롭방식으로 동작하는 GW2 센서였는데, 8K 촬영을 위해서는 이 센서로만 촬영할 수 밖에 없어, 화각 이슈가 불거지기도 했습니다. 결국, 12MP 센서의 동영상 촬영에서의 한계점을 여실히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코크니코알라
글쓴이
코크니코알라 Oxc.suga 님께
2023.01.18. 20:46

폰카는 칩셋을 통한 후보정이 강하게 개입하니 저조도에서 받는 불이익을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다 생각해서 사용하게 되는거군요... 점점 카메라보단 칩셋으로 그리는 그림같은 느낌이 드네요

[코크니코알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코크니코알라 님께
2023.01.18. 20:46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코크니코알라 님께
2023.01.18. 20:51

결국, 스마트폰은 전문가용 카메라와는 달리, 후처리를 모두 제한된 자원 속에서 자동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드러나는 일종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가 사진편집하는 거 보면, 보정 전 후로 완전 딴 사진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폰카 후보정은 그냥 개껌처럼 보일정도로...

근데 폰카 사진이 그리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로는, 다시 말하지만 성능이나 시간면에서 성능적으로 제한적인 부분이 많아서 생기는 문제로, 보정 결과가 어설퍼보이는 것도 그 탓일 겁니다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2등 Oxc.suga
2023.01.18. 20:45

숫자에 현혹되는 일반인의 한계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DR 스탑이나 판형이나... 일반인들은 별로 관심없지 않겠습니까...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Oxc.suga 님께
2023.01.18. 20:45
회원님 2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3등 Sparrow
2023.01.18. 20:48

픽셀비닝 고화소 센서가 같은 크기의 저화소 센서와 비교해서 범용성에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4mm와 48mm화각을 쓰려면 두 개의 렌즈가 필요하지만, 고화소 광각 센서만 있으면 하나의 렌즈로 무손실12mp 1~2배 줌을 구현할 수도 있죠.

물론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아직까지는 고화소 기능을 알뜰하게 활용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지만요 ㅠ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Sparrow 님께
2023.01.18. 20:53

오, 화각에 변화를 주는 것이라면 크롭 말씀하시는 걸까요?

근데 제한된 판형에서 고화소 센서면, 화소 하나 크기가 겁나 작아질텐데 크롭 품질도 덩달아 떨어지지 않나요?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tellist
Stellist Oxc.suga 님께
2023.01.18. 21:04

크롭 품질이 당연히 별도의 2배줌 카메라를 탑재하는 것보다는 못하지만, 그래도 저화소 센서를 크롭할때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4800만화소 센서로 2배 크롭하면 그래도 1200만화소 결과물을 얻을 수 있지만, 1200만화소 센서를 2배 크롭하면 300만화소에 불과하거든요.

 

더 극단적인 케이스로 가보면, 1억 800만화소 센서는 3배 크롭해도 1200만화소 결과물이 나오지만 1200만화소 센서를 3배 크롭하면 130만화소 남짓에 불과하게 됩니다. 아무리 픽셀당 수광면적이 넓다고 하더라도 이미지 크기 자체가 요즘 시대에는 어디 써먹기 어려운 900p급 저해상도 결과물밖에는 찍지를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려요.

[Stellist]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Oxc.suga
Oxc.suga Stellist 님께
2023.01.18. 21:06

아, 저화소 센서 크롭은 생각도 못하고 있었네요. 훨씬 결과물이 떨어지네요;;

거시기 플래그십 폰에는 그래도 광학줌이 들어가는 이유는 중저가 폰과 차별화를 위한 거겠죠?

[Oxc.suga]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Sparrow
Sparrow Oxc.suga 님께
2023.01.18. 21:20

아이폰14pro가 48mp를 이용한 2배 크롭 줌을 지원하는데, 픽셀크기가 1.22um이라 웬만한 망원센서 수준의 픽셀피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망원 렌즈보다 밝은 조리개도 수광량에 이점이 있겠지요 ㅎㅎ

개인적으로 수광량보단 리모자이크 알고리즘이 얼마나 성숙한지가 크롭줌 화질을 결정하는 것 같아보이더군요.

개인적으론 14pro 2배 크롭줌의 퀄리티가 가장 좋아보였습니다 ㅎㅎ

[Sparrow]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뭉게뭉게해
2023.01.18. 21:12

주광에선 화소하나의 크기가 1.4마이크로미터만 되도 충분합니다

애매한 저조도에서 불리하니 계속 크기가 커지고 있죠

4k를 맞춰야하니 1200만

8k를 대비해야하니 4800~5000만

저조도 대응해야하니 픽셀비닝 뭐 이런 이유로 현재카메라 화소랑 센서크기가 정해지고 있죠

[뭉게뭉게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고민은배송을늦출뿐
고민은배송을늦출뿐
2023.01.18. 21:16

20221010_134233.jpg

20221020_131952.jpg

20230118_210843.jpg

20230118_210929.jpg

휴대폰의 고화소가 기믹이라는 소리도 듣기는 하는데

휴대폰 1200만 화소에서 볼수없는

카메라 느낌의 해상력을 흉내는 낼수 있는

나름의 존재 의의가 있습니다.

물론 주광에서지만요

 

[고민은배송을늦출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5098 13
핫글 미니 요즘 iOS macOS 보면 선개통 후완공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14] update Terrapin 24.06.17 1034 15
핫글 미니 S24+는 지금까지 써본 폰중에서 가장 만족스럽네요. [21] file Gottago 24.06.17 1279 9
핫글 미니 비전프로 OS 2.0 핸드 트래킹 개선의 비밀 [1] file HSC 24.06.17 566 5
184112 미니 유튜버들 벌써 23 실물공개 올라왔네요. [1] 섭힝 23.02.02 587 0
184111 미니 갤럭시 언팩 한글자막은 어디서 보나요? [4] 고기마스터 23.02.02 285 0
184110 미니 리들리 스콧 영감님 나왔네요?ㄷㄷㄷㄷ 흡혈귀왕 23.02.02 255 0
184109 미니 리들리스콧 ㄷㄷ 목적격관계대명사 23.02.02 175 0
184108 미니 울트라 단독색상 4개로 나오나 보네요? [1] file 냥냥18세 23.02.02 315 0
184107 미니 23시리즈 가격 [3] 목적격관계대명사 23.02.02 596 4
184106 미니 드디어 시작하네요 zxc122 23.02.02 76 0
184105 미니 3시 칼같이 다같이 유튜브 올라오네요 file 목적격관계대명사 23.02.02 214 0
184104 미니 200MP는 디테일 인핸스드 모드가 없나보네요. 흡혈귀왕 23.02.02 191 2
184103 미니 추가) 앗... 200mp 촬영 딜레이가.. [3] file 구보 23.02.02 606 6
184102 미니 갤북3 프로 360 가격도 있긴 하네요 [9] file 개🐶 23.02.02 510 1
184101 미니 갤북2 프로 360 취소하는 게 맞겠죠? [3] 당신말이맞습니다 23.02.02 410 0
184100 미니 노트북 참 계륵이네요. [2] AlieNaTiZ 23.02.02 323 0
184099 미니 갤럭시북 프로 신모델 배터리만 아쉽고 다 좋네요 rofl 23.02.02 304 1
184098 미니 갤북 그램 라이젠은 안들어가나요.. [1] WayBack 23.02.02 215 0
184097 미니 오목교 전자상가 그램 리뷰 댓글 [2] file 에피 23.02.02 1332 16
184096 미니 갤럭시S 회심의 한방 file HSC 23.02.02 497 3
184095 미니 갤북프 샀슈 :) [8] file 하늘목장 23.02.02 1473 7
184094 미니 갤북3프 왜 실버는 구매 오픈안될까유 ㅠㅠ file 우주안녕 23.02.02 239 0
184093 미니 이쯤되니 갤럭시S도 뭔가 대박포인트 뭐 없을까요? [7] 하와와와와우 23.02.02 461 1
184092 미니 갤북프3 잘나오긴 했는데 인텔 14세대 기다려 봅니다 [3] 올라온다진짜 23.02.02 568 6
184091 미니 안드로이드 x86은 설치 iso가 있는데 ARM 버전은 없는걸까요? 흡혈귀왕 23.02.02 236 0
184090 미니 엥? 이거 완죠니 개떨이갤북 아니냐? [7] file 오토카모 23.02.02 776 8
184089 미니 1340p, 1360p 실 성능은 어떠려나요 [3] KSP공돌이 23.02.02 1304 0
184088 미니 삼성 특유의 가격 후려치기를 기대하면서 [2] Aimer 23.02.02 443 0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