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Won

미니 스마트싱즈 스테이션은 당최 개념 이해가 잘 안 되네요...

  • Won
  • 조회 수 1099
  • 2023.02.08. 09:30

제가 그래도 나름 테크에 뒤떨어진 사람은 아닌데,

"무슨무슨 스마트 허브" 이런 건 한 번도 써 본 적이 없어서

개념이 당최 손에 잡히질 않네요..

 

지금 예를 들면

휴대폰에 앱을 LG 씽큐, 스마트싱즈, TPlink의 TAPO를 깔아서 쓰고 있습니다.

 

집의 에어컨과 공기청정기는 LG씽큐로

건조기는 스마트싱즈로,

스마트플러그와 스마트전구, 홈IP카메라는 TAPO로

 

이렇게 각 스마트기기를 앱에 등록해서,

밖에 나가 있을 때도 집 안의 기기들을 켜고 끄는 등 컨트롤할 수 있잖아요?

 

근데 스마트싱즈 스테이션은 어떤 역할을 하는 건가요? ㄷㄷㄷ

얘가 무슨 동작을 하는지, 어떤 일을 하는 건지 도통 감이 안 잡히네요 ㄷㄷㄷㄷ

 

설명을 읽어 봐도 잘 모르겠단 ㄷㄷㄷㄷㄷㄷ

댓글
24
addce
1등 addce
2023.02.08. 09:34

wifi로 구동되는 제품들 이외의 스마트 기기들을 허브에 등록시키고 그 허브를 통해서 컨트롤하는거 아닌가요?

[add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addce 님께
2023.02.08. 09:40

아, 제가 열거한 3가지 앱은 전부 wifi 기반으로 등록해서 쓰는 거네요.

 

그렇지 않은 것들도 관리하는 컨트롤타워(?) 뭐 그런 정도로 생각하면 될까요?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addce
addce Won 님께
2023.02.08. 09:51

네네 그렇게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아래분이 그림으로도 설명해주셨네요

즉 와이파이가 되는 제품들은 직접 각 회사 제품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해서 컨트롤 가능하고

 

그이외 통신 규격을 가진 제품들은 허브에 등록해서 저희가 명령을 내리면 서버와 허브가 통신하고, 허브가 그에 따른 제품 컨트롤한다. 

[addce]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우주안녕 님께
2023.02.08. 09:42

잇섭 거는 봤는데, 밤에 누워서 졸릴 때 봐서 그런가 이해를 못 했고요

아래 거는 이따가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우주안녕
우주안녕 Won 님께
2023.02.08. 09:47

자체적으로 인터넷 연결(와이파이 혹은 유선) 가능한 기기들은 허브가 필요없습니다. 근데, 이게 전력소비가 크다보니 컨센트에 꽂아두고 쓰는 제품들은 상관없습니다만, 아닌 제품(대표적으로 커텐, 동작감시 센서, 스위치들등)들은 저전력 신호를 사용합니다. 이들은 허브가 필요한것이죠. 또, 이런제품들은 컨센트에 안꼽아도 되니 설치상의 제한이 없어 이들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ㅎㅎ

[우주안녕]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미주
3등 미주
2023.02.08. 09:39

일종의 게이트웨이 역할입니다

사용자 폰이랑 직접 통신 해야 하거나 직접 네트워크에 붙지 못하는 애들을 네트워크에 붙여주는거죠

[미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미주 님께
2023.02.08. 09:43

WIFI 방식이 아닌 애들도 관리 가능,

싹 묶어서 관리, 뭐 이런 정도로 이해하면 얼추 맞을지 모르겠네요 ^^;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불펌냥이
불펌냥이
2023.02.08. 09:40

wifi이외의 저전력프로토콜 zigbee zwave등을 사용하는 iot단말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목적입니다.

wifi기반의 iot제품들만 사용한다면 필요가없지요.

저도 스마트허브 구성하기 귀찮아서 스마트전구같은것도 다 wifi용으로 구성해놔서

별 필요가없는 제품이네요

[불펌냥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불펌냥이 님께
2023.02.08. 09:45

아... 그럼 저의 현재 상황에서는 필요가 없는 제품인 거네요.

추후 WIFI 이외의 방식을 사용하는 IOT기기를 사고, 묶어서 관리하고자 한다면

필요한 것일 것 같고요?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
감자
2023.02.08. 09:41

iot 기기 중에선 wifi 이외의 통신 방식만 지원하는 녀석들이 있습니다. 얘들은 제조사의 허브를 추가로 장착하고 제조사 앱에서 제어를 해야 합니다. 

이러면 각 제조사 앱에 등록된 애들끼리만 제어를 공유할 수 있죠. 그래서 싱스 스테이션(통합 허브)을 통해 타사 제품도 스싱에 등록해서 제조사 상관 없이 묶어서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더 많은 자유로운 루틴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감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감자 님께
2023.02.08. 09:53

앗, 지금 문득 든 생각인데요

스마트폰으로 컨트롤해서 IR 신호를 쏴 주는 기기 있잖아요?

 

원래라면

선풍기, 에어컨, TV, 공기청정기 등의 개별 기기들이 WIFI방식을 지원한다면

앱에서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데

 

그게 안 되는 애들은, 스마트폰으로 이런 IR 기기에다 신호를 쏘도록 명령하고,

각 기기들을 리모컨 쓰듯이 제어하는데

 

여기서 IR을 지그비(?) 그런 통신 신호로 치환해서 생각하면

얼추 비슷한 비유가 될 것 같단 생각이 드는데요... 맞을까요? ^^;;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감자
감자 Won 님께
2023.02.08. 10:02

맞는 비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제조사별로 ir 기기를 사야 했다면 스싱 하나로 된다고 할 수 있죠.

[감자]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L.Elwin
L.Elwin Won 님께
2023.02.08. 12:49

비슷다고 보시면됩니다. 와이파이 특성 상 소모전력이 크고 많은 수의 장치 연결 시 망 부하가 심해서 직비나 스레드 기반의 별도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별도 통신망+자동화 서버 역할을 하는게 허브입니다.

 

특히 와이파이 같은 경우 대부분 로컬 작동이 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를 경유해서 느린 경우가 많고 회사가 망하게되면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로컬 구성이 심플한 직비를 주로 사용합니다.

 

댓글의 예시랑 비슷하다고 볼수있습니다. 심지어 직비 제품들 중에서 IR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니버셜 IR 리모트 제품이 있습니다. 

Screenshot_20230208_124153_Home Assistant.jpg

 

[L.Elwi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투야
투야
2023.02.08. 09:46

저는 대충 이런 느낌으로 연결되는거라고 이해했어요 

KakaoTalk_Photo_2023-02-08-09-45-56.jpeg

[투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best Won 투야 님께
2023.02.08. 10:08

고퀄 그림까지 ㄷㄷ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댓글을 친절하게 달아 주시고,

이 그림을 보니 개념이 잡혔습니다.

 

그러니까, WIFI 방식은

각 기기가 해당 회사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개별적으로 통신하는 건데

 

지그비 같은 저전력 통신 방식은 스테이션이 로컬에서 관리하고,

그 스테이션이 외부와의 통신을 전담하는 거군요?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투야
투야 Won 님께
2023.02.08. 10:01

넵 맞습니다!

이거 그림이면 대충 한방에 이해되는데

갤탭 있으니 금방금방 그리기 편해서 좋네요 ㅋㅋ 

[투야]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KSP공돌이
KSP공돌이
2023.02.08. 09:58

전 스마트싱스 허브 사용중인데 지그비, Z-wave 만 사용하는 서드파티 제품군은 제조사 자체 허브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싱 허브나 스테이션 하나만 있으면 통합해서 사용 가능하니 편리해집니다. 당장 스싱 앱 에서 제품 추가 눌러보면 제조사 목록이 끝도없이 나열되어 있는데 거기서 wifi는 지원 안하는 물건들이 생각보다 아주아주 많습니다.

[KSP공돌이]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KSP공돌이 님께
2023.02.08. 14:19

넵, 이해가 가네요. 감사합니다.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앗싸구리
앗싸구리
2023.02.08. 10:26

보통 iot 기기들이 전원연결없이 배터리로 동작하는게 많다보니 wifi는 전력소모가 커서 저전력 프로콜인 지그비 matter등으로 연결되고, 그래서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허브가 필요한 듯 하더군요

[앗싸구리]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앗싸구리 님께
2023.02.08. 14:19

각 기기들의 허브가 필요한 상황에, 그걸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는 중추적 역할을 스싱스가 한다.

 

이 정도로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섭힝
섭힝
2023.02.08. 13:16

wifi기반 기기들은 

기기-집와이파이-자체 회사들 서버-Smartthings-사용자 인터넷-사용자

이런식으로 거쳐갑니다. 일단 wifi 자체가 전력이 많이 먹어서 스마트플러그류 말고 보통 센서들은 wifi 모듈을 안 넣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자체 회사들이 망해서 서버 내려버리면 그 iot 기기들은 무용지물이 됩니다.

 

그래서 나온게 zigbee나 요즘엔 메타나 등등 이런 통신방법이고, 와이파이보다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대신 얘네들은 서버에 안물려 그냥 조작이 안되니 얘네들을 모아서 통신해주는게 허브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기-zigbee 통신-Smartthings hub-통신사 등-사용자

이런식으로 보시면 될거에요. 회사 서버들이 망해도 계속 쓸 수 있고, 또 단계가 적어서 훨씬 빠릅니다. 아마 ST hub류가 있으면 사용자 단에서 통신사 서버 거치는거 없이 내부망 로컬로도 조작 가능할 겁니다. 그래서 훨~씬 빠르죠. 

[섭힝]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포인트봇
포인트봇 섭힝 님께
2023.02.08. 13:16
회원님 1포인트 채굴 성공!
[포인트봇]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Won
글쓴이
Won 섭힝 님께
2023.02.08. 14:20

네, 댓글들을 읽고 이해하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Won]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6337 13
핫글 미니 솔직히 저도 엑시에서 뭔가 큰 기대를 하는 단계는.. [35] 흡혈귀왕 24.06.22 1277 17
핫글 미니 아이폰 교통카드 임박?? [14] 에피 24.06.22 1152 13
핫글 미니 한국형 쿠다 만든다네요 [14] file 룬룬 24.06.22 1118 13
187335 미니 삿슈 [2] file rgb푸딩 22.02.10 260 5
187334 미니 iPadOS 15.4 개발자베타 2도 충전이슈 그대로입니다 Taek 22.02.11 260 0
187333 미니 폴드4에서는 커버도 S펜 되겠죠? [1] sourire 22.02.16 260 3
187332 미니 저도 22U 필름 탑승했습니다 file 샤크바프론 22.02.25 260 0
187331 미니 갤탭s8 쿠폰으로 버즈 프로 주문! [1] file 시키에이키 22.02.26 260 6
187330 미니 어차피 유튜브랑 커뮤니티에서 민초홀릭 22.03.04 260 1
187329 미니 흠.. 10분뒤에 Nothing 이벤트 하네요 스퀴니 22.03.23 260 1
187328 미니 샀슈 [4] file 쿼드쿼드 22.03.27 260 7
187327 미니 모바일 라이트룸 프리셋 보통 어디서 구하시나요? [1] swing546 22.04.08 260 0
187326 미니 삼각대 추천 좀 해주세요! [2] 아수슨스브 22.07.20 260 1
187325 미니 ios15.6 rc2올리신 분 계시나요? [4] 유각수23 22.07.20 260 0
187324 미니 일단 워치5 40미리 구매 file Minny 22.08.11 260 1
187323 미니 제 폴드 4는 언제올까요... [2] file 아르띠 22.08.22 260 0
187322 미니 MS 10월 이벤트, 신제품 발표 리스트 [1] PatGelsinger 22.09.24 260 1
187321 미니 오랜만에 워치 페이스 좀 바꿔봤습니다. file 그렇군요 22.09.26 260 0
187320 미니 샀슈 했는데.... file sourire 22.10.08 260 0
187319 미니 저도 사용자 휴대폰 핫스팟 기능 적용되었네요 [3] [성공]함께크는성장 22.10.15 260 1
187318 미니 길고 긴 지방출장을 마치고 드디어 수령하였습니다 [2] file 쿼드쿼드 22.10.22 260 3
187317 미니 워치 5 질문 [3] file 룬룬 22.11.03 260 0
187316 미니 Realme 10 Pro+ 2160Hz 초 고주파 디밍 지원 패널 탑재 file PatGelsinger 22.11.19 260 0
187315 미니 웬디, 히타치 하드 좀 추천해주세요 [15] MiKor82 22.12.02 260 0
187314 미니 AX86U 펌웨어 업데이트 후에 좀 빨라졌습니다. file 도저히못참겠다 22.12.15 260 0
187313 미니 샀슈 [1] file 쿼드쿼드 22.12.21 260 2
187312 미니 클렘쉘 모드에서 윈도우 헬로우 쓰시는 분 계시나요?? 비둘기야먹자 23.01.07 260 0
187311 미니 s23진동이 궁금하네요 불펌냥이 23.02.02 260 0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