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미니기기 / 음향 게시판 *스마트폰과 PC, 카메라, 스피커 등 IT 미니기기와 음향기기에 관해 교류하는 게시판입니다.

Futuristics

미니 22년 상반기 전자지급서비스 이용현황 (한국은행)

한국은행 (Bank of Korea)가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른 전자지급서비스 통계와는 별도로 2016년부터 조사 및 발간하는 전자지급 서비스 이용현황 (2022)년도 버전입니다.

 

* 간편결제서비스의 정의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된 (2015.03) 이후 간편 인증수단(비밀번호,생체정보)를 이용한 결제 또는 송금서비스

 

* 전체 시장 규모

2022년 상반기중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실적 (일평균)

- 이용건수 : 2,137만건 (전기대비 8.3% 증가)

- 이용금액 : 7232억원 (전기대비 10.7% 증) 

 

* 최근 3년 이용금액 

mspaint.png

 

[1]삼성페이의 결제실적

삼성페이의 결제실적은 LG페이와 혼재되어 등재되어있고 특정 페이서비스에 대한 이용 현황은 별도로 추산되지 않습니다. 다만, 삼성페이 점유율이 90% 라고 가정할경우, 휴대폰 제조사에 해당하는 일일 총 금액 1703억원의 90%인 1532억원 (일평균)을 연간 (365)으로 환산시 50조 9180억원의 이용금액을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2]전자금융업자의 결제금액과 비중은 매우 높은데 왜 경쟁이 치열하고 점유율이 낮다고 평가되는건가요?

휴대폰 제조사는 단 2곳 (삼성페이,LG페이)인데 반해 전자금융업자의 페이 서비스 규모는 은행권,카드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전체 페이 (심지어 조사안된곳도 있음)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장이 크지만 경쟁하는 페이 사업자가 너무 많아 개별적인 한개 페이당 갖는 점유율이 낮고 경쟁이 치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애플페이가 들어올경우 전 카드사 기준 지불하는 수수료가 몇백억인가요?

애플페이의 국내 수수료율은 알려져있지 않으나 정설적으로 알려지는 수수료 0.15%를 기준으로 가정하고, 국내 컨택리스 단말기가 보급되지 않았음을 감안하여 50%의 가중을 두어 전체카드사 도입시 이용금액을 추산하면 다음과 같이 예상금액을 추산할 수 있습니다.

 

[A] 삼성페이 일평균 금액 (전체금액의 90%) : 1532억원

[A1] 국내 스마트폰 시장 애플 점유율 (2022.06기준) : 20%

[B] 컨택리스 보급이 더딘것에 따른 결제 가중치 (50%) 

[C1] 일평균 결제금액 : 153억 2천만원 

[C2] 연간으로 환산 결제금액 : 5조 5918억

 

[D] 연간 애플페이 수수료 (0.15%-- 이 수치는 알려진바가 없음으로 가정) : 83억 877만원 

[ETC] 연간 컨택리스 보급율에 상관없이 삼성페이만큼 결제한다고 가정했을경우 수수료 : 167억 754만원

 

[A]의 삼성페이 점유율은 2022.06기준 LG스마트폰 점유율 10%를 적용하여 90%로 가정하였습니다.

[B]는 가정치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당분간은 50%보다 더 낮을것으로 예상합니다만, 50%를 가정하여 적용)

[C]는 일평균 결제금액으로 50%만 애플페이로 결제했을때 예상금액입니다.

[C2]는 일평균 결제금액을 365을 곱한것입니다.

[D]의 애플페이 수수료는 알려진바가 없으므로 추정치입니다.

[ETC]는 컨택리스 보급에 관계없이 100% 삼성페이처럼 결제시 스마트폰 점유율에 따른 가정입니다.

 

[3-1] 애플페이 수수료 0.15%는 가맹점이나 소비자가 지불하게 되나요?

애플페이 수수료 0.15%는 가맹점이나 소비자가 지불하지 않습니다.

금융감독당국이 도입시 '직접적'으로 이 수수료를 소비자나 가맹점에 떠넘길 수 없음을 명시했습니다.

 

다만, 카드사는 페이 수수료를 금감원에 결제원가에 포함해달라는 내용이 단독보도가 있었습니다.

 

https://www.etnews.com/20230316000187

 

결제원가에 포함시 카드사가 4년 기준으로 산정되는 카드 수수료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것으로 보여지며 다음 수수료 산정은 2024년에 이루어집니다. 페이수수료가 결제원가에 포함시 카드사가 가맹점에 카드 수수료 인상에 탄력을 받아 인상시 최종적으로 간접적으로 부과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금감당국이 이를 거부한 상태입니다.

 

[4] 간편결제가 일평균 7천억원을 차지하는 시장인가요?

기존 삼성페이,LG페이가 차지하는 페이 시장의 일평균 결제금액은 1703억 2천원이며 연간환산시 62조 1668억원의 시장입니다. 나머지 기타 전체 페이의 경우 일평균 결제금액은 3641억 6천만원이며 연간환산시 132조 9184억원의 시장입니다. 모든 간편결제금액을 합칠경우 일평균 결제금액은 7231억 7천만원이며, 연간환산시 263조 9570억 5천만원의 시장입니다.

 

한국은행 통계에서 조사된 페이사업자는 51개로 51개 사업자 전체가 일 평균 7천억원의 결제금액을 발생한다고 보면 맞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5] 카드 시장 점유율에 체크카드 실적은 포함하나요?

카드 시장 점유율에 체크카드실적은 별도로 산정하며 신용판매 실적이 보통 신용카드 점유율을 평가하는 요소이기때문에 체크카드 이용실적은 카드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단, 이 한국은행 통계에서는 체크카드 실적을 포함한 통계치를 제시했습니다.

따라서 차후 매 분기마다 금융감독원 공시자료에 따른 신용카드사 점유율에는 체크카드에 대한 결제 비중은 제외되나, 애플페이 수수료등은 한국은행 통계치에 체크카드에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수료는 체크카드 이용 금액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위 계산 전체가 삼성페이 금액을 기준으로 한 가정치입니다.)

 

[6] 페이 시장 전망이 좋은편인가요?

페이시장이 전망이 좋은 부분과 안좋은 부분 모두 전망 가능한 상태입니다.

작년기준 이용건수 9.7%, 이용금액 11.7%를 증가한 아직 성장세가 뚜렷한 시장입니다.

 

한국 사회가 고령화가 지속됨에 따라 60대이상의 모바일뱅킹 이용율은 20%대에 불과한만큼 점점 고령화에 진입하는 한국사회 특성상 고령층에 대한 배려가 필요할것으로 보이며, 현재 출산율등을 고려한다면 페이시장도 어느정도 성장후 정체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본 글의 국내 스마트폰시장 점유율은 갤럽 스마트폰 조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09

 

삼성스마트폰 점유율 : 66%

애플아이폰 점유율  : 20%

LG스마트폰 점유율 : 10%

팬택,기타,응답거절 : 4%

 

* 본 통계에서 말하는 페이 사업자

- 전자금융업자 (35개) 

카카오페이(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KG이니시스(KPAY), 토스페이먼츠(Paynow), 하렉스인포텍(UBpay), NHN페이코(페이코), 섹타나인(카드자동결제), 스마트로(SS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페이), G마켓글로벌(스마일페이), 에스에스지닷컴(SSG페이), 롯데멤버스(L.pay), 인터파크(원페이), 우아한형제들(배민페이), 쿠팡페이(쿠페이), 십일번가(SK페이), 다날(NC페이, 아프리카페이 등), 쿠콘(체크페이), 위메프(위메프페이), 세틀뱅크(세틀뱅크머니), 코나아이(코나카드 등), 한국조폐공사(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차이코퍼레이션(차이페이), 통통(센드), 뱅크샐러드(뱅샐머니), 한국선불카드(모바일팝), 로드시스템(로드페이), 불루월넛(Took), 지머니트랜스(지머니페이), 인스타페이(인스타페이), 당근페이(당근페이 결제 서비스), 한국전자영수증(원터치페이), 핀샷(코인샷 머니),온오프코리아(NFC모바일 단말기 결제서비스), 비즈플레이(-)

 
- 휴대폰제조사 (2개)
삼성전자(삼성페이), LG전자(LG페이)
 
- 금융회사 (14개)
BC카드(페이북), 국민카드(앱카드, KB페이), 롯데카드(앱카드, 핸드페이), 삼성카드(앱카드), 신한카드(PayFAN), 우리카드(우리페이), 하나카드(하나1Q페이), 현대카드(앱카드),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모바일현금카드)2), 국민은행(리브간편결제서비스), 농협은행(올원페이, NH앱캐시), 신한은행(SOL Pay), 하나은행(N Wallet, 돈통 등), 케이뱅크(케이뱅크페이)
 
[7] 위 통계에서 애플페이는 없고 왜 추산치만 계산되어 있나요?
22년도에 애플페이가 출시하지 않았습니다.
 
23년도에 애플페이 통계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래 이유로 인하여 24년 전체분을 제대로 포함한 25년도부터 정상적인 통계를 볼 수있을것으로 예상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24년도 제대로 볼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만 다른 복수카드사가 애플페이를 도입하느냐, 서비스 주관사의 의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23년도 1분기 끝자락에 애플페이가 오픈 
- 컨택리스 결제 기기 보급 부진
- 온라인 결제 오픈하지 않음
- 온라인 결제 제한 사항
- 가맹점 제한등
 
 

 

 

 

댓글
1
polorbear
1등 polorbear
2023.03.26. 17:16

어우야.. 뭔 페이가.. 이리 많은지...  회사들 마다 하나씩은 다 있는듯..

[polorbear]님의 댓글을 신고합니다. 취소 신고
취소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사이트 이용 수칙 230228 수정 file admin 18.08.04 114593 13
핫글 미니 마소는 제발 기본 앱의 웹앱화를 멈춰달라..!! [15] file Fluent 24.06.03 954 16
핫글 미니 애플 제품들이 중고판매도 잘되네요. [22] 잇흥 24.06.03 1030 14
핫글 미니 iPhone 16 Pro Max [11] updatefile iceuniverse 24.06.03 1252 11
190422 미니 애플은 내후년까지는 4기가 가도 문제 없을 거 같아요 [5] [성공]함께크는성장 19.10.15 241 1
190421 미니 이런 원리 아닐까요 [8] qazsdf 19.10.16 241 0
190420 미니 지문인식 같은 기기 보안 관련된 건 [1] [성공]함께크는성장 19.10.17 241 0
190419 미니 미코인들이 좋아하는 통신사는? [22] 헤페바이쎄 19.10.22 241 0
190418 미니 유출된 Microsoft Surface Headphones 매트블랙 색상이라는데유 [1] 김뉴비 19.10.30 241 0
190417 미니 아이폰 가격인하에 중국/미국시장에서 급방긋 file Futuristics 19.10.31 241 0
190416 미니 QB823은 Type-C 아웃이 하나밖에 없는게 아쉽네요 [1] Score_고동빈 19.11.04 241 0
190415 미니 혼자서 못드는 거인용 키보드 헤엄치는고래 19.11.09 241 0
190414 미니 스냅865가 원칩으로나오고 엑시990이 투칩으로나올가능성은? [2] 우주정력황제갤럭시엠 19.11.10 241 0
190413 미니 근데 업뎃에 크게 삼성이 신경 안쓰는게 [5] 헤엄치는고래 19.11.22 241 0
190412 미니 가성비 최고 최저가 4k 모니터 [2] 액티브r 19.12.03 241 0
190411 미니 995? 9835?가 a78을 쓸지 그냥 오버클럭해서 내놓을지 모르겠네요. [3] Qkooqq 20.01.31 241 0
190410 미니 초창기 카메라는 대형카메라밖에 없었죠. [2] 액티브r 20.02.01 241 0
190409 미니 s10 수리 체크리스트 [1] 라테린 20.02.26 241 0
190408 미니 A시리즈도 os2회 S시리즈도 os2회는 에바같아요 [13] 멜로엘로 20.03.07 241 1
190407 미니 삼성이 또 타임머신타고 트랙패드 베꼈네요 ㅉㅉ 갤럭시S2 20.03.18 241 0
190406 미니 노트9 업데이트 하신분들중에 홈버튼 오류 있으신분 안 계신가요 [2] qp 20.03.31 241 0
190405 미니 현재 나오는 픽셀 비닝과 노키아 퓨어뷰 기술의 차이점??? [2] 난거북넌토끼 20.04.27 241 0
190404 미니 LG전자는 신제품 공개 행사 관계자 설명이 없네요 [12] 프로 20.05.07 241 0
190403 미니 샌디스크 양방향 usb 질문 드려요. [2] file 심플리 20.05.08 241 0
190402 미니 5핀 -> 타입c 젠더도 헐거워지네요 Angry 20.05.13 241 0
190401 미니 크로뮴 엣지는 제일 좋은게 [1] [성공]함께크는성장 20.05.28 241 0
190400 미니 WWDC20 1일차부터 5일차까지 요약 프로 20.06.27 241 0
190399 미니 테크닉뉴스 사이트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기변증 20.07.29 241 0
190398 미니 아 빅스비가 전장 콕핏에도 들어가죠? 내일도맑은하늘처럼 20.07.30 241 1

추천 IT 소식 [1/]

스킨 기본정보

colorize02 board
2017-03-02
colorize02 게시판

사용자 정의

1. 게시판 기본 설정

게시판 타이틀 하단에 출력 됩니다.

일반 게시판, 리스트 게시판, 갤러리 게시판에만 해당

2. 글 목록

기본 게시판, 일반 게시판,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썸네일 게시판만 해당

3. 갤러리 설정

4. 글 읽기 화면

기본 10명 (11명 일 경우, XXXXX 외 1명으로 표시)

5. 댓글 설정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은 댓글에 표시를 합니다.

6. 글 쓰기 화면 설정

글 쓰기 폼에 미리 입력해 놓을 문구를 설정합니다.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